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활동 내용 분석

Lee, Eu Ddeum;Park, Su Jin;Yoo, Rhee Hwa;Hong, Su Jang
이으뜸;박수진;유리화;홍수장

  • Published : 2011060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of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specific programs analyzed are the forest healing programs, operated by the Korea Forest Foundation, from the years 2008-2010. Twenty four programs were collected during the three years, each analyzing target, content and composition. These programs were then sorted into one hundred and thirteen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which consists of six standards: Field, aim, subject, place, participation and level. As a result, it is apparent that first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relating to proceed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that included the forest interpretation activity and the learning activity, such as a lecture. Furtherm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re are more activities involving expertise. It is important to state that the schedul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mostly consisted of suggested activity names, often with an abstract and/or comprehensive concept; thus not offering contents about the intervention of the healing purpose. Therefore, in the design stag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we must state the activities of the composition for individualized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clear analysis of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we must develop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and formed activities, through study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for the individual.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활동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한국녹색문화재단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한 총 24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각각의 사례별로 대상, 내용, 구성 등을 1차 분석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활동 113개를 도출하여 영역, 목표, 주제, 활동장소, 실시주체 및 난이도 등 총 6가지의 기준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활동은 주로 심리 정서적 안정을 치유 목표로 진행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부분이 숲해설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는 강의 등 학습활동이 포함되는 사례가 많았으며, 혼자 할 수 있는 활동 보다 전문가가 개입하여 진행하는 활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대부분 단순히 활동명만 제시되어 있거나 활동명과 함께 추상적이고 포괄적 치유의 목표가 제시되어 산림치유로서의 치유적 개입에 대한 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계획단계에서 참여자에 대한 뚜렷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위한 구성활동을 도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및 구성활동에 대한 대상별 효과성 평가 연구를 통해 보다 전문성 높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erniss, C., Goleman, D. 2001. The Emotionally Intelligent Workplace. Jossey-Bass
  2. Duncan, J.J., Gordon, N.F., Scott, C.B. 1991. Women walking for health and fitnes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 3295-3299.
  3. LaCroix, A.Z., Leveille, S.G., Hecht, J.A., Grothaus, L.C., Wagner, E.H. 1996. Does walking de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spitalizations and death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4: 113-120.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6.tb02425.x
  4. Morris, J.N., Hardman, A.E. 1997. Walking to health. Sports Medicine 23(5): 306-332. https://doi.org/10.2165/00007256-199723050-00004
  5. Shoemaker, C.A., Diehl, Elizabeth R.M., Carman, J., Carman, N., Stoneham, J., Lohr, V.I. 2002. Interaction by design: bringing people and plants together for health and Well-being: An International Symposium. Iowa State Press.
  6. 기영화. 2001.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학지사 p19.
  7. 김기원, 이연희, 김하윤, 김철영, 김재원, 유리화. 2008. 산음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운영 프로그램 구상안.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41-44.
  8. 김영곤. 2001. 보완대체의학. 대한의학서적. p4.
  9. 김영남. 2007. 노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미영, 장유진, 박천호. 2010.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화훼연구 18(2): 136-141.
  11. 신동현, 황혜정, 김종규, 조원근. 2010. 알콜중독자에 대한 의미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활동의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138-140.
  12. 심혜숙, 한기백. 1996. 체험수준 변화에 의한 게슈탈트기법 적용 집단상담의 과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8(1): 101-133.
  13. 오대민. 2004. 원예치료의 사회복지 정책 도입을 위한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오대민, 장유진, 소인섭, 이영현, 허무룡, 최영애, 허북구. 2006.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4(1): 104-109.
  15. 유리화, 정성애. 2009. 산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 활용사례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45-51.
  16. 이상미. 2006.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준우 외. 2008. 치유의 숲 조성 모델 개발 기본설계(안). 국립산림과학원 내부자료.
  18. 이지혜, 김혜지, 이상미, 이애경, 서정근. 2009. 원예치료에서 치료 및 재활영역 논문의 원예활동 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3): 25-30.
  19. 장명국 외. 2008. Healing in forest-manual book. 한국 녹색문화재단, p21.
  20. 장유진, 한고운, 홍종원, 윤성은, 박천호. 2010. 원예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원예과학기술지 28(4):701-707.
  21. 정여주. 2003.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22. 천성문, 박명숙, 박순득, 박원모, 이영순, 전은주, 정봉희. 2006.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3. 최영애. 2003. 원예치료. 학지사.
  24.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9. 원예치료 연구논문에 나타난 집단원예치료 요소에 대한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4): 21-29.
  25.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10.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른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 및 원예활동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2):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