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on of Korean Cuisine Restaurants of Foreigners Living in the Korea

국내거주 외국인의 정주화에 따른 한국 음식점 선택

  • Received : 2010.09.28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The article is to investigate selection of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levels of acculturation for foreigner living in Korea and to suggest some guidelines for drawing them and enlargement in consuming market. Out of 250 questionnaires, 2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showed visiting for taking experience other culture and learning technology & training, not knowing well much about Korean culture, and eating experience Korean food on 30.5%, less than 2 years length in Korea. And the most difficult points are showed unclear communication, rude behavior, attitude, and language in living Korea. Second, the purpose of visiting restaurant is to spend good time with friends and to eat out special food, then foreigners usually have lunch & dinner Korean food, their own food on weekend. Third, 'service' and 'sanitation & cleanness' factors were ranked highly for foreigners living less than 2 years, but 'location' factor was ranked highly for residents living more than 4 years in the Korea. Last, foreigners living less than 2 years recognized highly on 'identification and Korea culture' in the Korea.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에 기준이 되는 거주기간에 따른 한국 음식점의 선택과 문화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더 넓은 소비시장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250부를 배포하여 22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들은 기술습득과 훈련, 타 문화 및 경험을 습득하기 위해 방문하였고, 한국문화에 대해 보통이거나 잘 모르며, 한국음식에 대해서는 30.5%로 조금 잘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은 2년 미만이고, 한국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은 의사소통의 불명확성, 무례한 행동 태도 언어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음식점을 이용하는 목적은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특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이고, 한국음식은 점심과 저녁에 먹는 반면에 모국음식은 시간적인 여유가 많은 주말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음식점선택에서 2년 미만인 경우 '서비스' 와 '위생 및 청결' 요인을 높게 인지하는 반면에 4년 이상은 '입지' 요인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문화 적응도에서 2년 미만인 경우가 '정체성 및 한국문화'를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P. B. Gove, S. B. Flexner, and L. C. Hauck, 'The Random Hous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nd ed. New York: Random House.
  2. J. S. Kim and M. M. Chan, “Acculturation and dietary habits of Korean Americans”, British J. of Nutrition, No.91, pp.469-478, 2004. https://doi.org/10.1079/BJN20031068
  3. 유명기,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제27권, pp.145-180, 1995.
  4. K. W. Seo, A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 on Korea restaurant of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MS Thesis, Kyoung Hee University, 2003.
  5. 조선일보, 2009. 8.6
  6. 권석임, 윤숙자, “서울 거주 중국인들의 한국전통 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권, 제1호, pp.17-30, 2006.
  7. 윤혜려, “국내 체류 외국인들의 출신지역에 따른 한식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0, 제3호, pp.367-373, 2005.
  8. 설원식, 이동훈, 고경일, 주규희, “재한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1권, 제3호, pp.712-733, 2007.
  9. 이연정, “방한 일본관광객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56-164, 2007.
  10. 장문정, 조미숙,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15권 3호, pp.215-223, 2000.
  11. 배영희, 진린쟈오, “한국음식점에 대한 외국인의 기호도, 인지도 및 고객 만족도”, 외식경영연구, 제6권, 제2호, pp.85-100, 2003.
  12. 이상미, 정현영, “국내거주 외국인의 한식 레스토랑 선택과 만족도 및 재방문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1호, pp.293-313, 2009.
  13. 장정희, 서선희, “외국인의 출신국적과 관여도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와 한국 음식점 이용 행태”,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4호, pp.141-160, 2009.
  14. 김선주, 조미희, 이경희, “국내거주 외국인의 음식선택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1-149, 2010.
  15. 정규엽, Hotel Restaurant Marketing, 서울: 연경문화사, 2001.
  16. E. Cadotte and N. Turgeon, “Key factors in guest satisfaction”,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8, No.4, pp.44-51, 1988(2). https://doi.org/10.1177/001088048802800415
  17. S. M. Morgan, “Benefit dimensions of midscale restaurants chains,”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34, No.2, pp.40-45, 1993. https://doi.org/10.1177/001088049303400210
  18. 김홍범, 허창, “고객의 외식동기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차이: 외국 체인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05-221, 1998.
  19. 주규희, 설원식, “한국 거주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7 추계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p.355-371, 2007(10).
  20. 주나미, 심영자, 이경아, 정희선, 박선정, 전희정,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주한 미국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6호, pp.9-15, 2001.
  21. 김선아, 이민아, 김은미, 이승주, “외래관광객과 주한 외국인의 한국음식 및 전통외식업체에 대한 인식 차이비교분석”, 한국조리과학학회지, 제20권, 제6호, pp.619-629, 2004.
  22. 전선규, 박재수, “해외주재원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불확실성 감소와 해외체류에 대한 만족”, 경영학 연구, 제29권, 제2호, pp.197-212, 2000.
  23. 심영자, 정복미, 김은식, 주나미, “미국 거주 기간에 따른 재미한인들의 한국음식 세계화에 관한 설문 조사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10-215, 2000.
  24. D. Bojanic and Y. Xu, “An investigation of acculturation and the dining-out behavior of Chinese living in the United States,” Int'l J. Hospitality Management, Vol.25, No.2, pp.211-226, 2005(6).
  25. K. Cason and N. Ly, Current dietary pattern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Topics in Clinical Nutrition, Vol.18, No.4, pp.291-301, 2003. https://doi.org/10.1097/00008486-200310000-00010
  26. M, Dato-on, Cultural assimilation and consumption behaviors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J. of Managerial Issues, Vol.12, No.4, p.427, 2000.
  27. X. A. Guadalupe, K. Mueller, E. Lopez-Madurga, N. R. Campbell, and J. P. Elder, “Restaurant and food shopping selections among latino women in southern California,” J.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105, No.1, pp.38-45, 2005(1). https://doi.org/10.1016/j.jada.2004.10.023
  28. 박지영, 외국인 노동자의 식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