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Identifying Improved Building Height Regulations for Managing Natural Landscape 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n and around National Parks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자연경관관리를 위한 층고규제 합리화 방안

  • Lee, Gwan-Gy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1.10.24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quantitative criteria for setting reasonable standards and regulations for building heights 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nside national parks or those connected to their borders. Heights of all building s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were simulated in order to determine heights of ridge lines of sight passing the upper parts of buildings from a main view point. Where a facility's zone is located at the inside or boundary of inland mountainous national parks, and there are coastal type national parks with mountains in the background, the study recommended assigning the maximum allowable height of a building as 8.82m if national park authorities intend to preserve the ridges at three-tenths the height of a mountain. It amounts to 3 or 3.5 stories when it is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floors. It is desirable to apply this standard to accommodations like a hotel except lodge or cottage as the maximum allowable height of a building. Nevertheless, when there aren't back mountainous areas among coastal-type national parks, there is a need for applying a separate standard. If an equal and uniform standard is applied to all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t becomes difficult to address local differences when managing landscape. There must be flexibility when applying a standard,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location of view points,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selection of view points, and differences in view angles, etc. Thus, there is a need for different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that address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of different zones.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단시설지구 건축물의 높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건축물 상단을 지나는 조망선이 배후산지의 몇 부 능선까지 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로 내륙의 산악형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입지하는 시설지구와 배후 산지가 있는 해안형 국립공원내의 시설지구의 경우, 3부 능선 보전을 목표로 하게 될 때 최대 허용 건축물 높이를 8.82m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층수로 환산하면 3~3.5층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최대 허용 높이를 규정하는 것으로 랏지, 코티지 등을 제외한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해안해상형 중에서 배후 산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집단시설지구에 동등한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가 어렵다는 점과 조망점의 위치, 조망점 선정방법의 차이, 조망각도 차이 등의 변수에 따라 기준 적용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향후 높이규정과 함께 각 지구별 경관계획에 의해 해당 지구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관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훈(2001) 도시조망권과 경관관리:외국 도시의 조망권 확보 사례. 도시문제 36(10):34-48
  2. 목정훈(2005)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망경관 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58-7
  3. 변병설, 유헌석, 최재용, 배수진(2000) 경관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4. 송인주 등(2007) 자연경관영향 평가기법 및 자연경관심의제 운영매뉴얼 개발. 환경부 보고서.
  5. 양병이, 박종화, 양윤재, 송병화, 이관규(2001)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서울특별시 보고서.
  6. 이규목, 이인성, 박문호(2000)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보고서.
  7. 이정형(1998) 미국에서의 조망경관시책의 유형과 운용수법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8):165-167
  8. 이채성, 김기호, 고일두, 최왕돈, 박상필, 백홍렬, 노현진(2003) 주요 산 주변 조망경관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보고서.
  9. 장인영, 신지훈, 조우현, 신영선, 김언경, 권윤구, 임승빈(2011)조망 및 지형특성에 따른 경관고도 도출과 적용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9(1):35-45.
  10. 최재용, 유헌석, 박창석, 주용준, 장광은(2004) 자연경관보전․ 관리를 위한 제도운영방안 연구. 환경부 보고서.
  11. 환경부 자연보전국 역 (1995) 자연환경영향평가 기술매뉴얼.日本自然 環境環境影響評価研究会. 自然環境影響評価技術マニュアル 서울: 자연보전국.
  12. 환경부(2009) 자연자원과 내부 통계자료
  13. City of Laguna Beach(1999) Diamond/Crestview Specific Plan.
  14. City and County of Denver(2001a) Washington Park View Plane.
  15. City and County of Denver(2001b) Ruby Hill View Plane.
  16. City and County of Denver(2001c) Southmoo rPark View Plane.
  17. City and County of Denver(2001d) The Denver View Plane Ordinance, Article4. Restrictions on Structures Within Areas Necessary to Preserve Mountain Views.
  18. Dearden, P.(1985)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in landscape evaluation. Canadian Geographer 29:263-265 https://doi.org/10.1111/j.1541-0064.1985.tb00371.x
  19. Ente Parco nazionale del Vesuvio(2001) Le fonti normative e i regolamenti dell'Ente Parco nazionale del Vesuvio.
  20. Laguna Beach Municipal Code. Title 25 Zoning, 35 Specific Plan,100 Building Heigh
  21. Planning Department, Hong Kong SAR Government(2002) Urban Design Guildelines for Hong Kong.
  22. Parks Canada(2004) Banff National Park Management Plan.
  23. Parks Canada and Jasper National Park(2010) Jasper Community Substantiality Plan.
  24. Parsons, R.(1991) The potential influence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on human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1-23.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002-7
  25. 日本 国立公園 計劃作成要領(2003).
  26. 日本 国立公園 集團施設地區 等 管理規則(1952).
  27. 日本 自然公園法.
  28. 日本 自然公園法 施行令.
  29. 日本 自然公園法 施行規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