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 Received : 2011.05.17
  • Accepted : 2011.06.21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In this study,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in the 3rd or 4th grade science lesson in 2010 were selected. Researchers constructed interview guide in three parts includ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science writing, the status of science writing teaching and the difficulties of science writing in their classes. For the investiga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nfamiliar with the word ‘science writing’ and considered science writing as a writing using science learning contents. Also, they think that teaching science writing in their science lessons was not needed and didn't assess and provide detailed feedback with the students' written works. Most teachers needed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for science writing. To develop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use of writing for learning in science, they will need to participate in science writing programs for in-service teachers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should also be developed.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과학 글쓰기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나온 3-4학년 과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 과학 글쓰기 지도 현황, 과학 글쓰기 지도의 어려운 점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별로 1회의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모두 전사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한 후 인터뷰 가이드를 중심으로 교사들의 응답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과학 글쓰기라는 용어를 생소하게 느끼고 있으며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된 과학 글쓰기의 목적에 대하여 과학적 사고력 향상, 학습한 과학 내용의 이해, 창의적 사고력의 향상으로 서로 다르게 인식하였다. 또한, 과학 글쓰기의 정의에 대하여 과학 지식을 활용한 글쓰기,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글쓰기, 과학적 사고력을 구체화하는 글쓰기라고 생각하였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 교육에서 과학 글쓰기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않았다. 둘째, 과학 글쓰기 지도 현황에서 교사들이 한 학기 동안 과학 글쓰기를 지도한 횟수는 0회에서 4회까지 교사마다 달랐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 글쓰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지도 방법 및 자료의 부족 등으로 과학 글쓰기 지도 계획이나 준비를 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별도의 과학 글쓰기 과정 및 방법에 대한 지도 없이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 글쓰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한 차시 시간의 1/3을 과학 글쓰기 활동에 할애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글을 평가하지 않거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았다. 이러한 지도 현황은 앞서 논의한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관련이 있다. 교사들이 과학 글쓰기의 의미, 목적, 필요성 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올바른 과학 글쓰기 지도 및 평가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셋째, 과학 글쓰기 지도 시 어려움에서 10명 중 7명의 교사는 과학 글쓰기에 대한 생소함과 지도 및 평가 방법의 부재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 간의 과학 글쓰기 능력 개인차와 지도 시간의 부족 등으로 지도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과학 글쓰기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교수 및 평가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현 교육 현장에서는 과학 글쓰기 교육이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학 교육에서 과학 글쓰기가 바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지도 및 평가 도구의 개발, 교사 연수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 김지숙, 권혁순(2006). 과학 글쓰기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006년도 국제세미나 및 제49차 동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102.
  3.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4.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5. 박영민(2003). 과학영역의 작문에서 예상독자 유형과 은유의 전략. 국어교육학연구, 16, 189-224.
  6. 박은희, 전영석, 이인호(2007). 초등 분야 과학논술대회 참가자들의 과학 글쓰기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85-394.
  7. 박정은,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2009).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24-847.
  8.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교수 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9. 손정우(2009). 과학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연구. 과학영재교육, 1(3), 21-32.
  10. 신선경(2008). 과학 탐구와 과학 글쓰기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24, 75-99.
  11. 신영준, 황현옥, 박헌우(2009).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한 과학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151-161
  12. 오윤선(2009). 이공계 대학생의 학술논문쓰기 교육과 평가항목. 국제어문, 45, 303-334.
  13. 이인영(2010). 루브릭이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우리말글, 48, 29-53.
  14. 정혁, 정용재, 송진웅(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15. 최병선(2009). 글쓰기의 평가 기준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 38집, 393-411.
  16. Elander, J., Harrington, K., Norton, L., Robinson, H., & Reddy, P.(2006). Complex skills and academic writing: a review of evidence about the types of learning required to meet core assessment criteria.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1(1), 71-90. https://doi.org/10.1080/02602930500262379
  17. Ellis, R. A.(2004). University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science through wr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5), 1835-1853.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243772
  18. Fellows, N. J.(1994). A window into thinking: Using student writing to underst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85- 1001.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1
  19. Garcia-Mila, M., & Andersen, C.(2007). Developmental change in notetaking during scientific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8). 1035-1058. https://doi.org/10.1080/09500690600931103
  20. Glynn, S. M., & Muth, K. D.(1994). Reading and writing to learn science: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1058-1073.
  21. Hand, B., & Prain, V.(2002). Teachers implementing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junior secondary science: A case study. Science Education, 86, 737-755. https://doi.org/10.1002/sce.10016
  22. Hand, B., Prain, V., Lawrence, C., & Yore, L, D.(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enhanc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0), 1021-1035.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165
  23. Honig, S. L.(2010). A framework for supporting scientific language in primary grades. The Reading Teacher, 64(1), 23-32. https://doi.org/10.1598/RT.64.1.3
  24. Kelly, G. J., Chen, C., & Prothero, W.(2000). The epistemological framing of a discipline: Writing science in university oceanograph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91-71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691::AID-TEA5>3.0.CO;2-G
  25.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 108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2)36:10<1065::AID-TEA2>3.0.CO;2-I
  26. Klein, P. D.(1999). Reopening inquiry into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to-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1(3), 203- 270. https://doi.org/10.1023/A:1021913217147
  27. Klein, P. D.(2004). Constructing scientific explanations through writing. Instructional Science, 32, 191-231. https://doi.org/10.1023/B:TRUC.0000024189.74263.bd
  28. Moffet, J.(1992). Active voice : a writing program across the curriculum 2nd ed. Portsmouth, NH : Boynton/Cook Publishers.
  29. Moskal, B. M.(2003).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classroom performance assessments and scoring rubric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8(14).
  30. Patterson, E. W.(2001). Structuring the composition process in scientific wr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 1-16. https://doi.org/10.1080/09500690117425
  31. Prain, V.(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32. Prain, V., & Hand, B.(1999).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51-16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51::AID-SCE4>3.0.CO;2-S
  33. Rivard, L.(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0
  34. Takao, A. Y., Prothero, W. A., & Kelly, G. J.(2002). Applying argumentation analysis to assess the quality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scientific writ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1), 40-48. https://doi.org/10.5408/1089-9995-50.1.40
  35. Yore, L. D.(2000). Enhancing science literacy for all students with embedded reading instruction and writing-to-learn activities.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5(1), 105-122. https://doi.org/10.1093/deafed/5.1.105
  36. Yore, L. D., Hand, B. M., & Florence, M. K.(2004). Scientists' views of science, models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 369. https://doi.org/10.1002/tea.20008
  37. Yore, L. D., Florence, M. K., Pearson, T. W., & Weaver, A. J.(2006). Written discourse in scientific communities: A conversation with two scientists about their views of science, use of language, role of writing in doing science, and compatibility between their epistemic views and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109-14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01
  38. Wellington, J., & Osborne J.(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39. Wollaman-Bonilla, J. E.(2000). Teaching science writing to first graders: Genre learning and recontextualization.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35, 35-65.

Cited by

  1.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vol.32, pp.1,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129
  2. 발성사고법을 이용한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과정 탐색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881
  3.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Assess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Using Science Writing vol.52, pp.3, 2011,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75
  4.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 적용의 효과: 고등학교 화학 I을 중심으로 vol.59, pp.1,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5.59.1.69
  5.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vol.60, pp.5,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5.342
  6. A Study on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vol.23, pp.None, 2017, https://doi.org/10.24008/klle.2017..2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