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termining System for the Category of Ne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Decision Tree Model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결정모형 개발

  •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 곽민정 (평택대학교 디지털응용정보학과) ;
  • 강임옥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과)
  • Received : 20100900
  • Accepted : 2010110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tarted in July, 2008. We try to make up for weak points and develop a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pgrade the rating model of the category of need for long-term care continually. We improve the rating model using the data after enforcement of the system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long-term care marketplace. A decision tree model was adpoted to upgrade the rating model that makes it easy to compare with the current system. This model is based on the first assumption that, a person with worse functional conditions needs more long-term care services than others. Second, the volume of long-term care services are de ned as a service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changing circumstances. Rating models have to be continually improved to reflect changing circumstances, like the infrastructure of the system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ance beneficiary.

노인장기요양보험은 2008년 7월에 시작된 이후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은 상태이다. 그 중에서도 장기요양급여의 진입장벽을 결정하는 등급결정모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제도 시행 이후 급속히 변화하는 장기요양 시장의 현실을 등급결정모형에 반영하고자 제도 도입 이후의 자료를 활용하여 등급결정모형을 구축하여 현행 모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등급결정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이것은 현행 모형과 비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형은 기능상태가 나쁜 사람일수록 장기요양서비스량이 많을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장기요양서비스량을 서비스 제공시간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변화된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등급결정모형을 보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향후에도 서비스 인프라, 급여 이용자의 특성 등 계속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하여 등급결정모형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임옥, 한은정 (2009).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량 분석 및 등급결정모형 개선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 강현철, 한상태, 최종후, 김차용, 김은석, 김미경 (1999). SAS Enterprise Miner를 이용한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 및 활용-, 자유아카데미.
  3.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보건복지가족부 (2004). 공적노인요양보장체계 개발연구(II) -평가판정체계 및 수가 급여체계-.
  4.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장기요양서비스량 측정 및 기준 개발 연구.
  5.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제도시행 이후 주요 성과.
  6. 보건복지가족부 (2007). 노인장기요양제도 등급판정도구 요양인정점수 산출 통계기법 연구 최종보고서.
  7. 선우덕, 이수형, 손창균 등 (2008). 노인장기요양보장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 김미경, 이성건 (2000). SAS Enterprise Miner를 이용한 데이터마이닝-기능과 사용법-, 자유아카데미.
  9. 통계청 (2008). 2008 고령자 통계, 서울.
  10. 한상태, 강현철, 이성건, 정요천 (2004). 교차판매(Cross-Sell) 스코어링 모형 개발, <응용통계연구>, 17, 229-238. https://doi.org/10.5351/KJAS.2004.17.2.229
  11. 한은정, 송기준, 김동건 (2009a). Random Forests 기법을 이용한 백내장 예측모형-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검 자료에서-, <응용통계연구>, 22, 771-780.
  12. 한은정, 이정석, 김동건, 강임옥 (2009b).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급여 권고모형 개발, <응용통계연구>, 22, 1229-1237. https://doi.org/10.5351/KJAS.2009.22.6.1229
  13. Breiman, L. (2001).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45, 5-32. https://doi.org/10.1023/A:1010933404324
  14. Breiman,L., Friedman, J., Olshen, R. and Stone, C.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Pacific Grove.
  15. SAS Institute (2003). Data Mining Using SAS Enterprise Miner: A Case Study Approach, SAS Institute INC.
  16. SAS Institute INC. 홈페이지 http://www.sas.com/apps/demosdownloads/emtreedesk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