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Reflective Thinking on Teaching Science of Elementary Teacher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5.17
  • Accepted : 2011.11.0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of elementary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teachers. This study was divided in former, middle, and later periods, and consisted of monitoring their own teaching, interviewing, journal writing, discussion with peer teachers and teacher training. Data included descriptions of nine science classes, nine interviews, seven journals and the journals of the researcher. Data analysis tools were the frameworks of the questions, feedback, teaching methods, elements of teaching behavior, and reflection levels.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data, and quoting of descriptions related to th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mainly technical reflection, but changed to show more practic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the later period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Second, instruc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r elementary teachers meaningfully changed the question, feedback,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elements of teach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struc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r elementary teachers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in improving teaching elementary science,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used in this study made possible the higher level of reflection and appropriate teaching behavior.

이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력이 18년인 A교사와 4년인 B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장학은 수업장학 전기, 중기, 후기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서 VTR을 통해 자기 수업 검토하기, 면담하기, 동료협의하기, 저널쓰기와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9회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한 수업관찰 기록지와 9회의 면담을 기록한 면담 기록지, 교사가 작성한 7회의 저널 기록지, 연구자가 작성한 수업일지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 반성 수준 분석틀, 질문 분석틀, 피드백 분석틀, 교수 방법 분석틀, 교수 행동 요소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관련 사례를 제시하는 질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 기간 동안 교사의 반성 수준과 반성 내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면담 기록지와 저널 기록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 모두 기계적 반성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러나 수업장학 중기 이후에는 기계적 반성이 감소하고 실천적 반성과 비판적 반성이 증가하였다. 반성 내용은 72개의 유형이 분석되었다. 그 중에서 10번 이상 반성한 내용은 수업 자료, 수업 시간, 수업 전개 방법, 수업 목표 달성, 학생 행동 특성, 학생의 흥미와 관심, 수업 방법 개선, 탐구 방법 개선에 관한 내용이었다. 특히, 학생의 흥미와 관심, 수업 방법 개선, 탐구 방법 개선은 수업장학 후기에 더욱 빈도수가 증가하였는데 그러한 결과는 교사의 실천적 반성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질문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교사 모두 확산적 질문의 빈도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교사 연수를 실시한 수업장학 후기에 확산적 사고 질문이 크게 증가하였다. 피드백의 변화는 수업장학 후기에 교사 모두 지연적 피드백이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추가적 질문이 증가하였다. 교수 방법은 관찰 실험 활동과 질문 대답 활동 위주의 수업을 진행했으며 다양한 교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수 행동 요소는 모두 29개가 분석되었는데, A교사는 27개, B교사는 28개의 교수 행동 요소를 사용하였다. 수업장학 후기에 새롭게 늘어난 교수 행동 요소를 살펴보면, A교사는 학생의 질의응답 활동이 추가되었고, B교사는 개념 정의 및 확인, 변인 확인 및 통제, 실험 시간 안내, 실험결과 예상, 학생 질의응답, 후속 학습 안내 활동이 늘어났다. A교사는 수업장학 이후에 일관성 있게 다양한 교수 행동 요소를 사용하였고, B교사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는 데 개방적이었으며 다양한 교수 행동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은 경력이 많은 교사와 적은 교사 모두에게 높은 수준의 반성과 바람직하고 다양한 교수 행동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교사의 자발적인 자기수업 관찰, 면담, 저널쓰기와 명시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현주(2004). 수업 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 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재술(1994). 학교 과학교육의 과제와 과학교육 연구회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103-108.
  3.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박영신, 오필석(2006). 과학 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 과학 교사와 경력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4. 김효남, 박도영(2008). 미국과 한국의 초등학교과학 수업의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12(1), 39-54.
  5. 노영희(1997).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교육의 방향. 제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중앙 유아교육학회, 121-145.
  6. 박미화, 이진석,이경호, 송진웅(2007). 과학 수업에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7. 박은혜(1996). 반성적 사고와 유아교사교육. 유아교육연구, 16(1), 175-192.
  8. 변영계, 박혜련(2002). 수업장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교육연구, 12, 23-43.
  9. 성은영(2006). 반성적 사고 중심의 질문개선 교사교육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변화와 교육적 의미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6(6), 59-81.
  10. 신애경(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효과. 초등과학교육, 26(4), 428-439.
  11.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 권용주, 정재구, 서지혜, 이혜정(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65-582.
  12. 유홍옥(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치원교육 실습과 예비교사의 발달적 변화. 유아교육학논집, 9(1), 257-277.
  13. 이근준(2005). 중학교 초임과학교사들의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요소와 탐구요소, 탐구수준에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영석, 이세나(2004).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위한 소고: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1(4), 229-254.
  15.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2007)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질문과 피드백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16.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7), 893-906.
  17. 정진우, 이근준, 김진국(2006).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 27(4), 364-373.
  18. 정현숙(2002).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 상지여자대학 논문집, 21, 221-240.
  19.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Y: Longman
  20. Blosser, P. E. (1973).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Washington, OH: Education Associates.
  21. Cook, G. (1996). Using clinical supervision to promote inquiry. Journal Staff Development, 17(4), 46-50.
  22.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D. C. Heath.
  23. Feldman, S. (1998). Informal work and social change. NY: Ithaca.
  24. Fettig, D. (1999). A study of the Colton and Sparks-Langer framework for teacher reflection and a description of its use with experienced classroom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5. Garcia, M.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level of teacher development as Measured in teachers'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6.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 definition and implment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1), 33-49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12-U
  27. Kindsvatter, R., Wilen, W., & Ishler, M. (1988). Dynamics of effective teaching. NY: Longman.
  28. Korthagen, F. (1985). Reflective teaching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5), 11-15. https://doi.org/10.1177/002248718503600502
  29. Pultorak, E. G. (1996). Followl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flection in Novice Teachers: Three Years of Investig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2-30.
  30. Ross, D. D. (1989). First Steps in developing a reflective approac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0(2), 22-30. https://doi.org/10.1177/002248718904000205
  31. Sergiovani, T. J., & Starratt, R. J. (1983). Supervision: A redefinition(6th Ed). Boston: McGraw-Hill. of Curriculum Studies, 23(6), 507-536.
  32.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3.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4. Sparks-Langer, G. M., & Colton, A. B.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37-44.
  35.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https://doi.org/10.2307/1179579
  36. Ward, J. R., & McCotter, S. S. (2004) Reflection as a visible outcome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243-256. https://doi.org/10.1016/j.tate.2004.02.004
  37.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38. Zeichner, K. M. (1981). Reflective teaching and field based experience. Interchange, 12(4), 1-22. https://doi.org/10.1007/BF01807805
  39. Zeichner, K. M., & Liston, D. P. (1987). Teaching student teachers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view, 11(5), 565-575.
  40. Zeichner, K. M., & Liston, D. P. (1996). Reflective teaching: An introduction. Mahwah, NJ: Erlbaum.

Cited by

  1.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73
  2.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70
  3.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vol.57,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3.57.6.789
  4. 대학 수업컨설팅 체제 분석 및 시사점 vol.16,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116
  5. 초등과학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초보교사의 제스처 특징 비교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vol.37, pp.3, 2018, https://doi.org/10.15267/keses.2018.37.3.296
  6. 스테이션 교수전략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를 중심으로 vol.16, pp.6, 2011,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