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Creative Activity in Geoscience Area: The Case of the KIGAM's Creative Geo Educamp

지질과학분야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자료 개발 및 보급: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reative Geo Educamp 사례를 중심으로

  • Cho, Hyun-Ju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Jong-Ra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Received : 2010.10.18
  • Accepted : 2010.12.16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reative Geo Educamp-the thematic trips with geoscientist, donation of KIGAM's intellectual properties. It was carried out twice and each time took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16 hours. There were 35 secondary science teachers (2010. 7.6.-8.) and 31 elementary teachers (2010. 7.20.-22.).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contribute the public education by using intellectual properties of KIGAM. Textbooks and kits were developed for the cre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they were donated as educational materials. The surve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a high satisfaction of the textbooks and kits developed. Its figures are 4.45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4.8 of elementary teachers out of 5 point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식재산 교육기부의 효과를 연수 참여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Creative Geo Educamp-"지질과학자와 함께 하는 테마여행"이라는 주제로 2010년 7월 6일부터 8일까지 중등교원 35명,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초등 교원 31명을 대상으로 합숙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수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축적해온 지식재산을 활용하여 공교육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수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교재와 kit를 개발 보급하였다. 설문 결과, 교사들은 교재와 kit는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에 적절한지에 대해 중등 교원이 4.49, 초등 교원이 4.80으로 응답하여 높은 타당성을 나타냈고 향후 지질분야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a,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 http://http://ncic.kice.re.kr/
  2. 교육과학기술부, 2009b,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학기술부, http://http://ncic.kice. re.kr/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28 p.
  4. 김용훈, 2010, 이공계 기피현상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위치 재구조화 정책 방안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7, 183-202.
  5. 김윤정, 2007, 자연사 박물관을 활용한 중학교 지질단원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 p.
  6.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 1999, 초.중.고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194-203.
  7. 김희수, 2000, 지구과학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1, 116-127.
  8. 나재준, 박종범, 국동식, 2010,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학습의 효과-중학교 2학년 “지구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64-171. https://doi.org/10.5467/JKESS.2010.31.2.164
  9.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 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47-761.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747
  10.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 김승범, 2009, 전북 부안군 봉화봉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0, 883-896.
  11.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 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 13-21.
  12. 박희제, 2005, 한국인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분석: 세대, 성, 전공계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3, 1-23.
  13.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 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 241-252.
  14. 이기영, 2007,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811-824.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811
  15.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8,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 506-519. https://doi.org/10.5467/JKESS.2008.29.6.506
  16. 이선경, 신현정, 명전옥, 김찬종, 2010,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9, 47-55.
  17. 이영준, 2002,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55-172.
  18.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RRE 200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 344 p.
  19. 이지현, 남정희, 문성배, 2003,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66-74.
  20. 이창진, 정상원, 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1-57.
  21.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49-658.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공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기부 운동 운영가이드.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106 p.
  23. 허정희, 2010,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의 운영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3 p.
  24. Chang, C.-Y. and Weng, Y.-H.,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n earth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41-451.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66502
  25. Gilbert, J.K., Boulter, C.M., and Elmer, R., 2000, Position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and in design and technology education. In Gilbert, J.K. and Boulter, C.J. (eds.),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c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3-18.
  26. Haigh, M., 2007, Can investigative practical work in high school biology foster creativit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123-140. https://doi.org/10.1007/s11165-006-9018-5
  27. Hoang, T., 2007, Creativity: A motivational tool for interest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2, 477-483.
  28. Kwon, Y.-J. and Lawson, A.E., 1999, Why do most science educators encourage to teach school science through lab-based instruction? A neurological explan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 29-40.
  29. Moldwin, M.B., Fiello, D., Harter, E., Holman, G.,Nagumo, N., Pryharski, A., and Takunaga, C., 2008, Using sunshine for elementary space science education: A model for IHY scientist-teacher partnerships. Advaces in Space Research, 42, 1814-1818. https://doi.org/10.1016/j.asr.2007.12.005
  30. Nelson, T.H., 2005, Knowledge interactions in teacherscientist partnerships: Negotiation, consultation, and reje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6, 382-395. https://doi.org/10.1177/0022487105279938
  31. Oliver, J.S. and Simpson, R.D., 1988, Influences of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ience self concept on achievement in science: A longitudinal study. Science Education, 72, 143-155. https://doi.org/10.1002/sce.3730720204
  32. Reynolds, A.J. and Walberg, H.J., 1991, A structural model of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97-107. https://doi.org/10.1037/0022-0663.83.1.97
  33. Taylor, A., 1997, Learning scienc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chool Science Review, 79, 39-46.
  34. Wenham, M., 1998, Art and science in education: The common ground. Journal of Art and Design Education, 17, 61-70. https://doi.org/10.1111/1468-5949.00106

Cited by

  1. A Study on the Talent Development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in IS-Geo of KIGAM: Focusing on the Training Needs Analysis and Training Performance Assessment vol.37, pp.4,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4.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