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s of Energy Nutrient Intake,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Staple Food Consumption -Based on the First to the Forth(1998~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IV-2)-

한국인의 에너지 영양소의 섭취와 다소비 음식 및 주식류 섭취비율의 추이 -I기~IV기-2차(1998~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안은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강민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공정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최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박영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이진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Received : 2011.11.02
  • Accepted : 2011.11.29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aple food consumption trend of Koreans using KNHANES(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ient intake of 38,840 participants of 1998~2008 KNHANES, over 6 year old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major staple food intakes, twenty four hour recall data was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as follows. Despite westernized diet, ranking in the primary energy source of food showed similar patterns. But total calory intake was reduced over the past 11 years and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take was increased. Relative proportions of protein and fat intake was reduced. The major carbohydrate and protein source of Koreans was rice and grains. Pork and ramen were the major fat source food. Although intake levels were different by gender, age and areas, carbohydrate of rice was primary source of energy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지̇.정효지.임정현.이연숙.송윤주(2011)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패턴 변화추세. 한국영양학회지 44(2), 152-161.
  2. 김근영.진현정.윤석원(2009) 도시가구의 쌀 소비지출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경제 32(1). 111-130.
  3. 김성곤.김애랑(1989) 서울지역의 라면소비 실태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4(4), 395-404.
  4. 김성용(2010) 식품소비지출의 다양성 변화에 대한연령-세대-연도 효과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논집 33(1), 21-39.
  5. 김영아.김동진.변광인(2010) 주류 선택 유형에 따른 주류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6(2), 232-242.
  6. 김영옥(2008) 쌀 소비실태에 따른 국민건강 상태의 변화. 식품산업과 영양 13(2), 15-21.
  7. 류정아(1996) 한국 음식문화의 변화양상과 여성. 한국여성학 12(2), 155-190.
  8. 문현경(2003) 식생활의 전통성 유지 측면에서 1995년과 2001년의 학교급식 식단 비교분서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9(1), 47-56.
  9. 배유미.송덕희.안홍석(2011) 한식 식단 급식을 제공받는 경기도의 일부 중학생과 학부모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급식 만족도.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7(2), 118-129.
  10. 보건복지부(2009) 2009 국민건강영양통계.
  11. 보건복지부(2006)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고서.
  12. 송홍규.김홍길(2008) 외식소비자의 건강메뉴성향이 건강외식지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2(1), 83-99.
  13. 유현정.김양하(2008)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영양소섭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1(6), 510-517.
  14. 이종호(2009)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외식행동과 식생활습관 및 패스트푸드 섭취빈도와 비만도의 관계. 한국조리학회지 15(3), 225-235.
  15. 이철호.주용재.안기호.류시생(1998) 지난 1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습관의 변화와 보건영양상태의 추이분석. 한국식문화학회지 3(4), 397-406.
  16. 정광현(2002) 외식유형별 이용성향에 따른 선택속성 차이연구. 관광․레저연구 13(2), 113-128.
  17. 정진은.이경원.조미숙(2010) 면류 섭취가 한국인의 식생활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문화학회지 25(2), 109-116.
  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7) 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분석 2007.12.
  19. 한국당뇨협회(2009) 당뇨병, 오해와 진실-쌀밥 대신 잡곡밥을 먹어야 한다? 월간 당뇨 (11), 38-38.
  20. 통계청(2010) 양곡소비량조사-곡류별/용도별 연간 1일소비량. http://kostat.go.kr

Cited by

  1.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Health Indices by the Intake of Noodles vol.31, pp.4, 2016, https://doi.org/10.7318/KJFC/2016.31.4.373
  2. Energy intake from commercially-prepared meals by food source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01 and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vol.11, pp.2, 2017, https://doi.org/10.4162/nrp.2017.11.2.155
  3. 한국인의 잡곡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분석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vol.24, pp.6, 2014, https://doi.org/10.17495/easdl.2014.12.24.6.748
  4. Study on White Rice Consump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 in Korean Elderly: Focused on Muscle Mass vol.21, pp.5, 2011, https://doi.org/10.20878/cshr.2015.21.5.014
  5. 한국 성인의 칼륨 섭취 현황 :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vol.50, pp.1, 2011, https://doi.org/10.4163/jnh.2017.50.1.98
  6. 1400-1800년대 문헌연구를 통한 전통 면식(麵食)의 재료와 조리법 및 특성 고찰 vol.32, pp.5, 2017, https://doi.org/10.7318/kjfc/2017.32.5.361
  7. 한국 성인의 시판 주식류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vol.23, pp.8, 2011, https://doi.org/10.20878/cshr.2017.23.8.006
  8. 중년남성에서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건강지표 -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vol.31, pp.6, 2018, https://doi.org/10.9799/ksfan.2018.31.6.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