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od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enarios Coupled with GIS Data

GIS 자료와 연계한 시나리오별 홍수피해액 분석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Received : 2011.10.25
  • Accepted : 2011.11.2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 simple and an improved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flood damage were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D-FDA) has been applied since 2004 in Korea. This study evaluated flood damage of dam downstream using considering MD-FDA method based on GIS data. Firstly, flood water level with FLDWAV (Flood Wave routing) model was input into cross section layer based on enforcement drainage algorithm, water depth grid data were created through spatial calculation with DEM data. The value of asset of building and agricultural land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was evaluated using building layer from digital map and agricultural land map from landcover map. Also, itemized flood damage was calculated by unit price to building shape, evaluated value of housewares to urban type, unit cost to crop, tangible and inventory asset of company connected with building, agricultural land, flooding depth layer. Flood damage in rainfall frequency of 200 year showed 1.19, 1.30 and 1.96 times to flood damage in rainfall frequency of 100 year, 50 year and 10 year respectively by flood damage analysis.

우리나라는 홍수피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편법과 개선법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2004년도에 개발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이용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액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배수강제알고리듬에 기초한 횡단측선 레이어에 FLDWAV 모델을 이용한 홍수위 자료를 입력한 후 DEM 자료와의 공간연산 처리를 통해 침수심 격자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건물 레이어와 토지피복도에서 추출한 농경지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체별 건물과 농경지 자산가치를 평가하였다. 또한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도시유형별 가정용품 평가액, 농작물 단가정보, 사업체의 유형 및 재고자산 평가액 자료를 건물, 농경지, 침수심 레이어와 연계하여 항목별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홍수피해액 분석을 통해, 200년 빈도의 홍수피해액이 100년, 50년, 10년 빈도에 비해 각각 1.19배, 1.30배 그리고 1.96배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 2007,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7권 제6B 호, pp.815-819
  2. 건설부, 1985, 하천시설기준.
  3. 건설교통부, 1993, 하천시설기준.
  4. 건설교통부, 2000, 하천설계기준.
  5. 건설교통부, 2001,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개선방안 연구.
  6. 건설교통부, 2002, 하천설계기준
  7. 건설교통부, 2004a,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8. 건설교통부, 2004b, 하천설계기준.
  9. 백형조, 이현석, 이용곤, 고덕구, 2006, "내수침수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범람 비교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206-1210.
  10. 복정수, 2007, 수치모형을 이용한 교량에 의한 수리학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1. 윤희천, 민관식, 김민규, 2010,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3권, 제3호, pp.91-101.
  12. 이건행, 최승안, 김형수, 심명필, 2006, "다차원 홍수피 해산정방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액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4B호, pp.363-369.
  13. 이근상, 유병혁, 이을래, 박진혁, 2009, "하천 만곡부를 고려한 GIS 기반 침수지역 레이어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1.
  14.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김형수, 2006, "GIS 기반의 분포형 홍수피해산정 기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3B호, pp.301-310.
  15. 한국개발연구원, 2003, 수자원(댐)부문사업의 예비타당 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16. Biza, P., Gimun, V., Christian, H. and Smith, G., 2001, "The Use of a GIS-based Software Tool for Benefit-Cost Analysis of Flood Mitigation Measures in the Czech Republic", DHI Software Conference: DHI Software
  17. BTRE, 2002, "Benefits of flood mitigation in Australia", Bureau of Transport and Regional Economics Report 106.
  18. Dutta, D. and Heath, S. 1998, "Methodology for Flood Damage Assessment using GIS an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echnology Tools for Natural Disaster Risk Management, Bangkok, Thailand, Feb. 1998, pp.109-124.
  19. http://www.vegetables.pe.kr.
  20. USACE, 1998, HEC-FDA : Flood Damage Analysis User's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