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산군 보호수 실태조사를 통한 효율적 관리방안 제언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by Actual Condition Survey of Protected Tree in Yesan-gun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승진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안옥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Kang, Bang-H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Cho, Seung-Jin (Relationship of Dankook University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Son, Jin-Kwan (Relationship of Dankook University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Mi-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Ahn, Ok-S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투고 : 2011.08.08
  • 심사 : 2011.09.20
  • 발행 : 2011.09.30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ld tree (protected tree) and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old tree to make hold a sustained function a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rural area. We surveyed 96 old trees at 69 farm villages in Yaesan-gu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species of tree was investigated with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Quercus acutissima, Pinus densiflora, Celtis sinensis, and Juniperus cbinensis order. Most of them located at the inside (43.6%) and the entrance (35.1%) of a village, and at mountain slope (31.9%) and alluvial plain (25.3%) in terms of distribution topography. The existing place of pollution source was investigated with 61%, and the pollution sources were blocks, construction materials, cement packings, farm machines and living garbage. The place where the rates of bare ground were more than 50% for the root region of a protection tree was 63%. The tree surgical operation was investigated in 37.5% of protection trees, and 12.5% of protection trees were investigated with a tree surgical operation being immediately.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condition of old tree at study sites was 18.6 points. A monitoring class was divided by public monitor 59.3%, main monitor 38.5%, and dead tree 2.2% on the basis of that information. Hereafter, we will conduct to promote the management guideline and develope culture contents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전유, 2005, 수목외과수술, 나무종합병원.
  2. 강현경, 이승제,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I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36-45.
  3. 강호철, 이정환, 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실태와 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68-83.
  4. 강호철, 이정환, 이광수, 사공영보, 2005,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 : 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4), 27-36.
  5.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korean.go.kr.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보고서 : 강원도, 경상남도.
  7. 김근호, 2007,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한국조경학회지, 33(3), 1-17.
  8. 김근호, 2011, 경산시 보호수의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농업생명과학연구, 45(2), 69-83.
  9. 김영선, 오구균, 이두표, 김우열, 2008, 현존식생 비오톱 보전등급가치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008(1), 140-142.
  10. 김용수, 임원현, 1996, 연구논문 : 도시역 거수목의(巨樹木) 잔존형태와 그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14-28.
  11. 김승환, 김순희, 1996, 부산시 노거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생육환경 및 배치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2), 86-98.
  12. 김석규, 2002, 도시공원녹지의 토양환경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일, 2005, 해남군 보호수의 생육상태 조사 및 보호방안, 강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식, 이창훈, 박인환, 이혜영, 2009, 전라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 분석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36-147.
  15. 김학범, 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김현정,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 2007, 서울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27-140.
  17. 문화재청, 2002,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연구보고서(서울, 인천, 경기, 충북, 전북, 전남지역).
  18.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 2000, 전북지역 노거수 자원의 실태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86-96.
  19. 박봉주, 윤용한, 김원태, 이원호, 2007, 충주시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60-71.
  20. 방광자, 설종호, 1999, 노거수의 이식시 뿌리활착을 위한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7(0), 49-55.
  21. 변규열, 2005, 도시 가로수 생육기반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 제47조(산림유전자원보호림등의 지정 등).
  23. 서울특별시, 1997, 보호수 유지관리 방안조사 연구.
  24.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 2009, 보호수 생육 환경 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화성시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25. 손진관, 신지훈, 안필균, 강방훈, 2011, 생육환경에 따른 보호수 이미지 평가 연구 : 예산군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7(2), 33-42.
  26. 심근정, 강신용, 김수봉, 김용수. 1999, 농촌지역 노거수의 변천과정과 보전대책 : 경남 합천군을 대상으로, 환경과학논집, 4(1), 79-95.
  27. 심우경, 1991, 한국 보호수의 상징적 가치와 보호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91-104.
  28. 안병회, 이명우, 2009, 법정 보호수의 관리실태 및 전통경관 특성 : 전라북도 고창군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 학술대회지9(2) : 95-98
  29. 이경준, 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 : 노거수 편, 아카데미서적.
  30. 이규송, 최오길, 김석철, 2002, 답압이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5(5), 321-328.
  31. 이승제, 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임혁성, 심우경, 2005, 노거수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94-101.
  33. 윤용한, 주진희, 2010, 제천시 보호수의 생유환경 및 관리현황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67-74.
  34. 장동수, 이종범, 2008, 사진을 통해 본 보호수 변천 과정 및 보전방안 연구 : 평택시 보수를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26(4), 49-58.
  35. 장명준, 2003, 노거수의 생육환경 및 보호에 관한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은재, 김종원, 2007, 노거수 생태와 문화, 월드사이언스.
  37. 정근, 서정영, 이재근. 2009, 노거수(老巨樹)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38. 정종수, 2007, 노거수 외과수술 실태 및 보존관리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정종수, 주상현, 이재근, 2008, 노거수 외과수술실태 및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1), 97-105.
  40. 정진철, 전경수, 장규관, 최정호, 1993, 노거수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 원광대학교 논문집, 12, 369-383.
  41. 조성진, 박천서, 엄대익, 1990, 토양학, 향문사.
  42. 조정록, 2004, 순천시 노거수 관리 및 보호대책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재웅, 김동엽, 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44. 하태주, 방광자, 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 활력도측정에 관한연구 : 경상도 천연기념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100-107.
  45. 허상헌, 하재호, 2004, 경주시 보호수 생육실태 연구, 한국환경과학학회, 13(10), 883-890.
  46. Woodland Trust 홈페이지, 2011, http://woodland-trust.org.uk.
  47. Forestry Commission, 2003, Forests & water guidelines 4th edn, Forestry Commission, Edinburgh.

피인용 문헌

  1. The Health Analysis of Protected Tree 'Zelkova serrata' Using an Ultrasonic Tomograph vol.17, pp.2,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