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a Preserved Tree as Growth Environment - Focused on the Zelkova serrata in Yesangun -

생육환경에 따른 보호수 이미지 평가 - 예산군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 ;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안필균 (단국대학교 대학원) ;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5.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o evaluate the value of a preserved tree as rural landscape resource, the growth environment and health condi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image evaluation was implemented on land~ape architectural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for zelkova trees in Yesan-gun. The image evaluation results of zelkova trees were as followings; 1) Typical image of preserved tree examined by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Old', 'Big', and 'Good'. 2) The 'big' image of zelkova tree and the height of tree, the width of tree crown, the breast girth of tree, the root girth of tree, the external formation of tree, and the health of tree bark is mutually related.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g' and the external formation and the width of tree crown is high. 3) Typical image of preserved tree examined by Likert Scale were 'Natural', 'Green', 'Peaceful', and 'Rural'. 4) The preservation necessity for preserved tree was highly related with the state of ground, and the management necessity for preserved tree was highly related with contamination level and the state of grou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plan for preserved tree are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basis of these result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이승제,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서울.인천.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36-45.
  2.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korean.go.kr
  3. 김태식, 이창훈, 박인화, 이혜영, 2009, 전라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36-147.
  4. 네이버 영어사전, http://endic.naver.com.
  5.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 2000, 전북지역 노거수 자원의 실태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86-96.
  6. 박창석, 2002, 농촌어메이니에 기초한 노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 학회지, 37(6), 21-35.
  7. 방광자, 이승제, 강현경, 2003,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3), 35-45.
  8. 심근정, 강신용, 김수봉, 김용수, 1999, 농촌지역 노거수의 변천과정과 보전대책-경남 합천국을 대상으로-, 환경과학논집, 4(1), 1-17.
  9. 심우경, 1991, 한국 보호수의 상징적 가치와 보호대책, 한국정원학회지, 9(1), 91-104.
  10. 안동만, 손주동, 김명수, 2005, 농촌경관의 농촌다움과 선호도 평가 연구 -내국인과 외국인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1(3), 43-52.
  11. 안명준, 배정한,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 2008, 농촌어메니티 경관의 평가체계개발과 적용 -2007 농촌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4(2), 77-84.
  12. 이동근, 옥주희, 홍찬성, 윤소원, 박창석, 윤현석,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1(2), 21-34.
  13. 임현석, 심우경, 2005, 노거수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94-101.
  14. 정근, 서정영, 이재근, 2009, 노거수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15. 조순재, 이상문, 김혜민, 강방훈, 김상법, 최재웅, 김훈희, 박창석, 윤희정, 허준, 윤원근, 이병기, 조영국, 이재준, 전영옥, 박휘,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농림부, 59-64.
  16. 조정록, 2004, 순천시 노거수 관리 및 보호대책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Cited by

  1.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 in Agricultural Landscape vol.19, pp.3,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3.59
  2. 노거수의 가치 평가 연구 - 경주 계림숲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 vol.34, pp.4, 201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4.051
  3. 경기도 광주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vol.29, pp.4, 2011, https://doi.org/10.5322/jesi.2020.29.4.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