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on of Silage Corn Hybrids for Paddy Field in Chungnam Region

충남지역 논 재배에 적합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 선발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hybrid for silage at paddy field at Chungnam region. Among agronomic characteristics, 'P32T83' hybrid was somewhat strong for waterlogging and good stay green, and low ear height as 57 cm and thicker stem diameter as 15.1 mm, and higher sugar content as 12 (Bo, %).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P32T83' hybrid were the highest 55,220 kg/ha and 19,680 kg/ha, respectively. 'NC7117' hybrid was thicker as 15.5 cm and somewhat strong for waterlogging.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NC7117' were 50,890 kg/ha and 19,110 kg/ha, respectively. The 'P32T83' hybrid was high as 81.9%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32T83' and 'NC7117' hybrid could be recommended as having good characters according to production, waterlogging tolerance, stay green, sugar content, and stem diameter at paddy field in Chungnam region.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 배수가 불량한 논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여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할 목적으로 충남 서천농가의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4품종과 도입품종 14품종 등 18품종을 시험한 결과 생육 특성면에서는 P32T83이 경직경이 15.1 mm로 굵고 착수고가 57 cm로 낮으며, 당도가 $12B^{\circ}$로 높고 생초수량이 ha당 55,220 kg, 건물수량이 19,680 kg, TDN 수량이 13,280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및 NDF 함량이 낮고, 건물소화율도 81.9%로 가장 높게 나타나 사료가치도 우수하였다. 다음으로 NC7117이 경직경이 15.5 cm로 굵고 생초수량이 ha 당 50,890 kg, 건물수량이 19,110 kg, TDN 수량이 12,160 kg으로 양호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보여 밭작물 옥수수와 같은 수준의 수량 및 품질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을 논에 재배하면 밭 재배에서와 같은 수준의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조무환, 권찬호, 한건준, 김종관. 1992.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I. 지역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한초지 12(3):161-172.
  2. 김종근, 정의수, 서성, 강우성, 양종성, 조영무. 1998. 재식밀도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1):49-54.
  3. 김종덕, 김동암, 박형수, 김수곤. 1999. 파종시기 및 품종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I.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사초수량. 한초지 19(3):211-220.
  4. 박근제, 김원호. 2002. 벼 대체 논 사료작물 재배 및 이용기술.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pp. 39-91.
  5. 이봉춘, 정지훈, 김정인, 윤영남, 홍성준, 곽도연, 홍연규, 강항원, 이기운. 2008. 옥수수 재배지의 벼검은줄오갈병 매개충인 애멸구의 보독충율.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3):226-228. https://doi.org/10.5423/RPD.2008.14.3.226
  6. 이호진, 김수형, 이홍석. 1994.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 한작지. 39(6):585-593.
  7. 이석순, 김태주, 배동호, 함태수. 1986. 남부지방에서 국내육성 및 도입옥수수 품종의 사일리지 생산성. 한작지. 31(2):156-161.
  8. 지희정, 김충수, 홍범용, 이희봉. 2006. 논 토양조건에 따른 찰옥수수 교잡종의작물학적 특성. 충남대 농업과학연구. 33(2):123 -127.
  9. 지희정, 이종경, 김기용, 윤세형, 임영철, 권오도, 이희봉. 2009.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비교. 한초지 29(1):13-18.
  10. 지희정, 김원호, 이상훈, 조중호, 권오도. 2011. 중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비교. 한초지 31(2):127-134.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2. Go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13.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Des Moines, IA.
  14.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t. of Anim. Sci.
  15. SAS. 2002. Users guid ; Statistics, Version 9th. SAS Institute, Inc, Cary, 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