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ing Modifications to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for Korean Foods

한식 분야의 듀이십진분류법 수정 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1.11.25
  • Accepted : 2011.01.3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Based upon its variety and specialties, Korean food has the potential power to become globalized, and a national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global competitiveness. In this process, a proper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bout Korean foods should be given a prior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status and case studies of Korean foods in Korean libraries, to understand how much Korean foods are represente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what should be improved, and to suggest a modified expansion of DDC 22. In so doing, an attempt is made to provide some evidences of the revision of DDC 22 as well as useful practices of modified DDC 22 in Korean libraries.

한식은 세계화의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한식의 다양성과 특수성이 국가경쟁력을 제공하는 국가 홍보 전략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바탕이 되어야하는 것이 한식과 관련해서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조직화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식에 관한 자료의 분류 현황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식이 문헌분류표에 반영된 정도와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사항을 파악하고 DDC의 수정 전개안의 제안을 통해 DDC 22판 개정의 근거와 국내 도서관의 DDC 수정 전개 활용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율촌재단

References

  1. 강인희. 1987. 韓國의 맛.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Kang, In Hee. 1987. Hangukui Mat. Seoul: Daehan Textbook Publishing.)
  2. 김경미, 김경임, 김상연, 안선정. 2005. 푸드 스타일링. 서울: 교문사.(Kim, Kyung Mi, Kim, Kyung Im, Kim, Sang Yeon, & An, Sun Jung. 2005. Food Styling. Seoul: Kyomunsa.)
  3. 김정현, 강명수. 2008. KDC 제4판 식품영양학 분야의 수정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171-188.(Kim, Jeong-Hyen & Kang, Myeong-Su. 2008. “The improvements of the food and nutritionfield in the 4th edition of KDC.”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171-188.)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171
  4.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2: 서울.경기도. 파주: 교문사.(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2008. Hangukui Jeontong Hyangto Eumsik 2: Seoul․Gyeonggi-do. Paju: Kyomunsa.)
  5. 방신영. 1957.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서울: 장충도서출판사.(Bang, Shin Yong. 1957. Uri Nara Eumsik Mandeuneun Beop. Seoul: Jangchung Books Publishing.)
  6. 이미화, 정연경. 2010.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17-137.(Lee, Mihwa & Chung, Yeon Kyoung. 2010.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food and culture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117-137.)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117
  7. 이민아. 2008. 한식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식 세계화 비젼 및 전략안. [online]. [cited 2010.8.8]. .(Lee, Min-A. 2008. Hansik Marketing Mohyung Yeongu: Hansik Segyehwa Vision mit Jeolyakan [online]. [cited 2010.8.8]. .)
  8.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서울: 신광출판사.(Lee, Hyo Ji. 1998. Hangukui Eumsik Monhwa. Seoul: Shin Kwang Publishing.)
  9. 정연경, 최윤경. 2010.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43-57.(Chung, Yeon-Kyoung & Choi, Yoon-Kyung.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od andcultur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43-57.)
  10. 한식재단 홈페이지. .(Korean Food Foundation. Homepage. .)
  11.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1989. 한국의 전통음식. 서울: 교문사.(Hwang, Hye Sung, Han, Bok-Ryo, & Han, Bok-Jin. 1989. Hangukui Jeontong Eumsik. Seoul: Kyomunsa.)
  12. Juvan, Simona, Bartol, Tomaz, & Boh, Bojana. 2005. “Data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in newly-emerging scientific fields.” Online Information Review, 29(5): 438-498. https://doi.org/10.1108/14684520510617992

Cited by

  1. A Study on Structure of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Organizing Korean Food Information vol.47, pp.1,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