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Open Inquiry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 to Conduct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 Received : 2010.08.04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open inquiry activities of the newly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for each grade level and to teach open inquiry activities and selection of rational inquiry activities. For this study, 470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ranging from 3rd to 6th grades were surveyed. The experiment plans written by stud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se criteria consisted of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type, and suitability of open inquiry activities. The reason for selecting open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ason why they want to conduct the activity, degree of getting help and the object of getting help. The types of the open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ield of inquiry, the inquiry method and the period of inquiry. Suitability of the open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ason of suitability or unsuitability.

이 연구는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자유탐구활동을 위한 학년별 자유탐구활동 주제 내용 의 특성을 알아보고, 학년에 적합한 자유탐구활동 주제를 선정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I 초등학교 3, 4, 5, 6학년 4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생들이 작성한 자유탐구활동 실험계획서를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 이유 및 도움 정도, 주제 내용, 주제의 적합 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던 주제와 흥미로운 주제를 자유탐구활동 주제로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도움을 받아 자유탐 구활동 주제를 선정할 때는 중학년은 가족, 고학년은 인터넷의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탐구활동 주제 영역은 생물 영역에 관한 주제가 많았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화학과 물리영역에 관한 것이 많아졌다. 탐구 방법은 주로 실험이나 조사 활동이 많았고, 탐구 기간은 '1주'정도가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들이 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는 내용 수준, 방법 수준, 과학적 의문, 안전과 생명 존중의 면에서 지도가 필요한 부적합한 주제도 많았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이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 시 고려할 점은 초등학생들이 평소 알고 싶었던 과학적 의문점이나 흥미로운 주제를 자유탐구활동 주제로 선정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을 위한 대략의 큰 영역을 학년별로 제시해야한다. 초등학생들이 자유탐구활동의 성공을 경험하여 탐구에 대한 긍정적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얼마나 탐구할 것인가에 대하여 자유탐구활동 주제에 대한 구체적 진술을 하도록 지도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형 (2001). 중학생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 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 주식회사.
  3.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4.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 (1999). 과학 수업에서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I)-학생 질문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60-569.
  5. 김수경, 차희영, 김중복 (2005). 과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54-764.
  6. 김재우 (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탐구 문제 설정 과정에 대한 사례적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률, 박정희, 박예리 (2005). 중학생의 탐구 능력을 위한 지구과학 모듈의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3), 183-198.
  8.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고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9. 류시경, 박종석 (2008). 구조화 정도가 다른 탐구 상황에서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60-869.
  10. 박승재 (1998).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 보고서. 사단법인 한국과학교육 단체 총연합회.
  11. 박승재, 조희형 (1995). 과학학습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12.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 (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0(2), 271-280.
  13. 박종원 (2005). 학생의 과학적 탐구분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새물리, 50(4), 203-211.
  14. 배진호, 김진수, 윤봉희 (2005). 식물을 활동한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관찰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제30집, 37-68.
  15. 신동훈 (2007). 과학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의문 유형과 초등교사들의 설명 유형과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26(2), 149-160.
  16. 이봉우 (2005).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17.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 (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18. 임청환, 남진수 (1999). 초등학생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른 과학남구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41- 447.
  19.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G.,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 Tuan, H.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https://doi.org/10.1002/sce.10118
  20. Kyle, Jr. W. C. (1980). The distinction between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and why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gnizant of the distin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2), 123-130. https://doi.org/10.1002/tea.3660170206
  21. Laudan, L. (1997). Progress and its problems: Toward a theory of scientific growth.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22.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3.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4. Roth, W. M., & Bowen, G. M. (1994). Mathematization of experience in a grade 8 open-inquiry environment: An introduction to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3), 293-318. https://doi.org/10.1002/tea.3660310308
  25. Schwab,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In The Teaching of Science(pp. 1- 103).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6. Simpson, R. D., & Anderson, N. D. (1981).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A guide for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Cited by

  1.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vol.15,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3.603
  2.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vol.31, pp.8,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99
  3.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vol.32,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03
  4.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04
  5. The Influence of Free Inquiry Instruction of Science Teacher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vol.52, pp.3, 2013,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29
  6. An Analysis on the Variable Types of Inquiry Topic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hibited in Inquiry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vol.54, pp.3, 2015, https://doi.org/10.15812/ter.54.3.201509.393
  7. Analys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ivities on Topic of ‘Functions of Plant Root’ applying Behavioral Domain-centered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vol.44, pp.1,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67
  8. The Development of Descriptive Paper Test Items for Evalu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uctive Scientific Knowledge Generating Ability - Focused on the Duck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Test I vol.44, pp.4,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4.723
  9. A Study of Content Suitability Analysis in the Special Education Science Textbook from the Viewpoint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vol.9, pp.3, 2016, https://doi.org/10.24005/seci.2016.9.3.47
  10.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vol.39, pp.2, 2011,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2.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