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Use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 Received : 2010.12.30
  • Accepted : 2011.03.2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As a case study on the use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by plan, performance, and reflection-evaluation stages of the classes. To do this, we observed two teachers'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during twelve classes and analyzed the taped videos, their journals, and the transcripts for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classes, showe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reduction of the psychological burdens of developing the programs, and some efficiency loss due to the joint preparation of the class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classes include the seamless progression of the classes through the division of roles,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opportunity to explore, the supplement of the teachers' inadequate descriptions and the overlooked contents, the increa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or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the reduction of the risk of accidents in experiments, and the reduction of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Finally, the characteristics in the reflectionevaluation stage of the class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diversity of the evaluation viewpoints, the increase of the lear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he increase of the fear for assessing my own classes.

이 연구는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의 특징을 수업 계획, 수업 진행, 수업 반성 및 평가 단계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두 명의 교사가 코티칭을 활용하여 진행한 12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관찰하고, 수업동영상과 교사들이 작성한 일지 및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의 특징으로 수업 계획 단계에서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감소, 공동 수업 준비로 인한 일부 효율성 감소가 나타났다. 수업 진행 단계에서 나타난 특징으로는 역할분담을 통한 원활한 수업 진행, 학생들의 탐구 기회 증가, 교사의 미흡한 설명과 간과한 내용의 보완, 교사와 학생 및 학생간의 상호작용 증가, 실험안전사고의 위험 감소, 수업 진행에 대한 책임감 감소가 있었다. 수업 반성 및 평가 단계에서 나타난 특징은 평가 관점의 다양화,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배움의 기회 증가, 자신의 수업 평가에 대한 두려움 증가로 분류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김영수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72-86.
  2.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3. 김홍원, 윤초희, 윤여홍, 김현철 (2003).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 및 정의적 행동특성과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3-25.
  4.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5.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학회, 26(1), 30-40.
  6.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7.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8. 서혜애, 이선경 (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9.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0. 신미영, 전미란, 최승언 (2005). 서울대학교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87-395.
  11.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2. 윤지현, 노태희, 한재영 (2008). 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9-168.
  13.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4.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5.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6. 임재근, 이소리, 양일호, 이윤경 (2010). 초등과학 수업에서 실험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요인 조사. 초등과학교육, 29(1), 93-101.
  17. 장지은,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생물 분류 단원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4), 505-516.
  18.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9.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 (2007). 과학영재 수업에 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20.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에 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21. 주희영, 동효관, 김성하, 김희백, 이길재 (2006).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발생학수업 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57-268.
  22. 최선영 (2007).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6(3), 252-259.
  23. 한재영 (2005). 코티칭(coteaching): 새로운 교육 실습 방식. 교육연구논총, 26(3), 49-69.
  24. 한재영 (2008). 코티칭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2(4), 404-411.
  25. 한재영, 윤지현 (2009).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수업 과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1), 152-163.
  26.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27. 홍준의, 이인호, 전영석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6(3), 267-275.
  28.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29.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Wellington (Eds.),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93-108). London: Routledge.
  30. Roth, W.-M. (2002). Being and becoming in the classroom. Westport, CT: Ablex Publishing.
  31. Roth, W.-M., & Tobin, K. (2002). At the elbow of another: Learning to teach by coteaching. New York: Peter Lang.
  32. Roth, W.-M., & Tobin, K. (2005).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New York: Peter Lang.
  33.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34.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John Wiley.
  35. Tobin, K., & Roth, W.-M. (2006). Teach to learn: A view from the field.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Cited by

  1. 중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vol.31,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970
  2.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코티칭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적용 능력과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vol.32,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41
  3.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vol.32,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55
  4.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73
  5.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21
  6.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