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Dietary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Regularity of Meal and Number of Meal Per Day-

남녀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조사 -식사의 규칙성과 1일 식사횟수에 대하여-

  • Kim, Geum-Ran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Anyang University) ;
  • Kim, Mi-Jung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Anyang University)
  • 김금란 (안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미정 (안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12.07
  • Accepted : 2011.01.1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As for regularity of meal,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regular than those of the male students in a day. They answered 'between 4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As for a highly influential meal, males were higher answered 'lunch (41.0%)' while females were higher answered 'breakfast (39.8%)'. About 'number of meals per day by the grade', they ate 3 times per day mostly. As for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before 4th to 6th in elementary school'> 'before elementary school'. In the result of regularity of me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 family of 5 was higher in regularity and those with pocket money showed lower regularity in meal. As for the person who prepares a meal, mothers prepared meals regularly. Also, higher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resulted in more regularity in meals. In number of meals per da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were eating 3 times; moreover, this trend was evident as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the household income was higher. Students answered generally regularity in meal in family where parents' jobs were administrative assistant (father job (56.9%)) and housewife (mother (56.9%). In the formation time of meal intake numbe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answered order 'middle school'> 'before elementary school'. A highly influential meal, they answered as the highest 'lunch' (37.6%). This study may provide information on dietary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nutrition education or counseling can improve food habits and develop positive behavior.

서울 시내와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하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의 식생활 실태 중 식사 규칙성과 식사횟수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녀 고등학생의 식사의 규칙성에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는 남녀학생 모두 대체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섭취횟수의 형성 시기에 대한 결과에서는 남녀학생은 모두 '중학교'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에 있어서는 '학령기 이전'이라고 답한 경우도 28.7%로 높게 나타났다. 활동에 가장 영향을 주는 식사에 대한 답변은 남학생은 점심(41.0%)이라고 답한 결과가 가장 높은 반면 여학생은 '아침'(39.8%)이라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 빈도와 규칙성의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차가 없었다(p<0.05). 1일 식사횟수에서는 1~3학년 모두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횟수 형성시기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중학교'와 '학령기 전'의 순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일반사항의 분석 결과, 가족 수 '5명'과 '용돈이 적을수록'의 항목에서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용돈 중 '3만원 이하'의 경우 '5만원 이상'의 식비 지출의 경우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과 교육정도가 높고 월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는 아버지 '사무직'(149명(56.9%))과 어머니 '전업주부'(279명(56.9%))인 경우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와 일반사항과의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5만원 이하'의 경우 54.3%가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경우, '스스로' 이외에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 부모 학력, 월 가족소득에 따라 식사횟수와 차이를 보여주었다. 식사 섭취횟수의 형성 시기와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용돈'과 '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결과는 '중학교'>'학령기전' 순으로 나타났다. 수면 시간과의 분석결과에서는 '5~8시간'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경우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는 결과가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령기 전'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월가구소득과 식사섭취횟수와의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학령기 전'이라고 답변한 결과가 높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가 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령 전'(23.8%), '초등학교 4~6학년 전'(13.7%), '초등학교 2학년 전'(11.8%) 순으로 나타났다. 한 끼 식사 중 자신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사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점심'이 3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침'(35.8%), '저녁'(22.8%)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 '점심'이 자신의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9만원 이하'의 경우 '점심'이, '10~20만원'의 경우 '아침'이, '21만원 이상'의 경우 '저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수면시간과의 분석 결과에서는 4, 5, 6시간의 경우 '아침'이, '7시간 이상' 수면을 하는 경우 '점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였다. 아버지의 연령은 낮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은 높을수록 '아침'의 영향력이 크다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월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아침'의 영향력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결과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는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를 나타내어 차별화된 영양교육과 식생활 태도에 관련한 기초지식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횟수에 있어서는 부모의 특성과 월 가족 소득에서 차이가 나타나 고등학생 개인의 영양교육은 물론이고 가정을 연계한 영양지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사횟수의 형성은 이미 고등학생 이전에 만들어져 고정되어 있는 결과가 나타나기에 특히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그 중요성을 인지하도록 만들고 올바른 식습관으로 개선된 후 유지되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었다. 아침식사보다 점심식사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아침식사에 대한 결식과 영양불균형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영양 섭취가 세 끼니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영양지도의 중요성과 아침식사와 결식에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의 후속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조사의 결과는 남녀 고등학생이 식생활태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하여 분석해서, 실천적인 식습관 형성 및 개선에 대한 개별적이면서 세부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지속적이면서 다각적인 식사관련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영양교육 시간이 정규 수업시간으로 정착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ang HW, Lee SS. 2006. A study on weight control and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Korean J Nutr 39: 817-831.
  2. Anderson JB. 1990. Dietary calcium and bone mass through the life cycle. Nutrition Today 25: 9-14. https://doi.org/10.1097/00017285-199003000-00003
  3.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1992. Highlights of the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blood cholesterol leve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riatrics 89: 495-501.
  4. Slattery ML, Schumacker MC, West DW. 1990. Food-con-sumption trends between adolescent and adult years and subsequent risk of prostate cancer. Am J Clin Nutr 52: 752-757. https://doi.org/10.1093/ajcn/52.4.752
  5. Lee KS. 1996. The first Workshop: The 3rd Subject: National surveys related nutrition in foreign countries- Japan-. Korean J Nutrition 29: 396-398.
  6. Lee YN, Lee JS, Ko YM, Woo JS, KIm BH, Choi HM. 1996. Study on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189-299.
  7. Kang YJ, Hong CH, Hong YJ. 1997.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ition 30: 832-839.
  8. Kim HY, Song KH. 1994. Study on snack intakes and content of body f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ju. J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 125-139.
  9. Huh KB. 1990. Pathogenesis of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3: 333-336.
  10. Han MJ. 1992. A survey of college student behaviors on fast food restaura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7: 91-96.
  11. Lee YM, Han MS. 1996.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11: 305-316.
  12. Mortimer JT, Finch MD, Dennhy K, Lee C, Beebe T. 1994. Work experience in adolescenc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19: 39-70.
  13. Bae SJ, Lee SM, An HS.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practice level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between part-time working and nonworking adolesc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i-Do. Korean J Food Culture 25: 17-24.
  14. Choi MK.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 188-200.
  15. Park IJ, Park YW. 2009. Surveys on intake of snacks and self-purchased snake due to lack of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ure 24: 256-266.
  16. Kwon WJ, Chang KJ, Kim SK. 2002.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dietary behavio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iron nutritional statu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urban and rural areas in Kyunggi-do. Korean J Nutrition 35: 90-101.
  17. Lee B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0: 364-374.
  18. Lee KH, Hoang KJ, Huh Y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577-591.
  19. Kim YK. 2001.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905-920.
  20. Lee GS. 1997. Th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the youth in rural areas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294-304.
  21. Jin YH. 2001. The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mall city.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 320-330.
  22. Kim HS, Lee YH. 1993.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large cities. Korean J Nutrition 26: 182-188.

Cited by

  1.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by High School Type in Chungnam Area vol.25, pp.2, 2015, https://doi.org/10.17495/easdl.2015.4.25.2.213
  2. Effects of 12-week Vegetarian Diet on the Nutritional Status, Stress Status and Bowel Habi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vol.5, pp.2, 2016, https://doi.org/10.7762/cnr.2016.5.2.102
  3.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vol.46, pp.5, 2013, https://doi.org/10.4163/jnh.2013.46.5.440
  4. Analysis of consumption frequencies of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06, 2011) vol.9, pp.4, 2015, https://doi.org/10.4162/nrp.2015.9.4.411
  5. A Comparison on Dietary Habit and Foodservic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vol.22, pp.6,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6.711
  6. Secular trends in height, weight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6-2015 vol.33, pp.2, 2016, https://doi.org/10.14367/kjhep.2016.33.2.1
  7. Eating Behaviors by Breakfast Frequen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Area vol.44, pp.1, 2015, https://doi.org/10.3746/jkfn.2015.44.1.066
  8.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vol.45, pp.5, 2012, https://doi.org/10.4163/kjn.2012.45.5.452
  9. 청소년의 인구·사회적 요인이 식사 및 식품섭취빈도에 미치는 영향 - 제11차(2015)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 vol.23, pp.4, 2011, https://doi.org/10.14373/jkda.2017.23.4.397
  10. 청소년의 규칙적 아침식사를 위한 수면 관련 요인 분석 vol.30, pp.3, 2017,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317
  11. 청소년들의 수면시간에 따른 정신건강 및 영양섭취 상태 -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6년)자료를 이용하여 - vol.30, pp.4, 2011, https://doi.org/10.19031/jkheea.2018.12.30.4.1
  12. 인천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아침결식에 따른 식행동 및 식사의 질 평가 vol.34, pp.6, 2011, https://doi.org/10.7318/kjfc/2019.34.6.726
  13. 여고생의 아침식사와 라이프스타일, 외모 가꾸기 관심도 및 아침식사관련 태도의 관련성 vol.53, pp.3, 2011, https://doi.org/10.4163/jnh.2020.53.3.288
  14. Developments for Collagen Hydrolysate in Biological, Biochemical, and Biomedical Domains: A Comprehensive Review vol.14, pp.11, 2011, https://doi.org/10.3390/ma14112806
  15. Prediction model study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vol.21, pp.1, 2021, https://doi.org/10.1186/s12887-021-02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