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Report of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대퇴골 간부 골절 후 골절유합이 지연된 환아의 한의치료 증례보고

  • Sung, Hyu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Dongguk Univ-Seou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
  • Kim, Ja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Dongguk Univ-Seou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
  • Min, Sa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Dongguk Univ-Seou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 성현경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11.03.25
  • Accepted : 2011.04.2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Methods: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 medicine named Kamiboatang and Pyritum. Child took Kamiboatang and Pyritum for 2 months, and Kamiboatang for 1 month. After 3 months treatments, we examined the case with radiological findings. Results: The patient's delayed femoral shaft fracture was improved after 3 months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nclusions: This case showed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was effectiv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amiboatang and Pyritum, the more clinical stud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this case might be also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서울:고문사. 2000:1015-7.
  2.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최신의학사. 1999;557-59,568-71,572-80,580-92,742.
  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5:197-202.
  4. Sibert JR, Maddocks GB, Brown Bm. Childhood accidents- an endemic of epidemic proportions. Arch Dis child. 1981;56:225-34. https://doi.org/10.1136/adc.56.3.225
  5. 이석현 외. 이석현의 소아정형외과학해설. 서울:이퍼블릭 2009:149-56.
  6. 원중희, 정문상, 이춘성. 90-90 골견인술을 이용한 소아 대퇴골 간부골절의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90;25(5):1385-90.
  7. 김익동, 이수영, 김풍택, 박병철, 박희진. 경골골절의 지연 및 불유합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4;19(1):157-64.
  8. 王燾. 外臺秘要. 서울:성보사. 1975:749-50.
  9. 지선영. 골절에 응용되는 내치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5;8(1):113-29.
  10. 李挻. 新校 編註醫學入門. 서울:대성문화사. 1996;491-630.
  11. 趙倍. 聖濟總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7: 460-4.
  12. 이홍초. 동의광물학. 부산:부산대학교출판부. 1998:296-308.
  13.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1522,1525, 2006.
  14. 백현, 장규태, 김장현. 한방병원에 내원한 소아 골절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 18(1):1-9.
  15. 강충남, 김종오, 김동욱, 고영도, 유재두, 김성만. 소아대퇴간부골절 치료후 골절각 및 골과성장의 변화에 대한 분석. 대한골절학회지. 1998;11(1):123-8.
  16. 정필현, 강석, 채동주, 김종필, 박승복. 외고정기구를 이용한 소아대퇴간부골절의 치료. 대한골절학회지. 2002;15(3):421-6.
  17. 신경민, 정찬영, 황민섭, 이승덕, 김경호, 김갑성. 자연동이 초기골절생쥐 정강이뼈의 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26(5):65-75.
  18. 南京中醫學院. 諸病源候論校釋.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1026-8.
  19.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454-5.
  20. 陳師文 等 編. 太平惠民和劑局方. 中國:旋風出版社.1976:220-7.
  21. 趙倍. 聖濟總錄.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7: 460-4.
  22. 王守東. 中醫骨傷科臨床手篇.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6:139-46.
  23. 배춘식, 조영성, 강경진. 전기자극과 Vitamin A,D,E가 rat의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의학회지. 1997;37(4):863-73.
  24. 엄기동. 비타민 D3와 인산칼슘의 토끼 대퇴골 골절치유효과에 대한 골수강내 정맥조영술.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993;10(2):185-92.
  25. 김현우.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백서에서 간헐적인 부갑상선호르몬 투여가 골절치요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99;34(1):207-17.
  26. 정윤정. 토끼의 비골골절에서 산화구리의 골재생효과.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3;20(4):458-66.
  27. 배춘식. 트기가 다른 전압의 전기자극이 rat의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명과학지. 1996;3:11-21.
  28. 정문상. 각운동이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1;16(1):20-7.
  29. 이한구, 정문상, 윤강섭. 한국 인삼이 골절 치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4:19(3);483-91.
  30. 서현주, 김준한, 곽동윤, 전선민, 구세광, 이재현, 문광덕, 최명숙. 늑골골절을 유도한 흰쥐에서 홍화씨 분말 및 분획들의 급여가 골절 회복 중 골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0:33(4);411-20.
  31. 송해룡, 라도경, 김종수, 정태성, 김용환, 강호조, 강정부, 연성찬, 김은희, 이후장, 신기욱, 박미림, 김곤섭. 홍화씨가 신생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2:12(1);167-87.
  32. 황태경, 오민석, 송태원. 가미신통축어탕이 흰 쥐의 골절유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9;8(1):727-38.
  33. 염익환, 오민석, 송태원. 가미궁귀탕 및 가미궁귀탕가 녹용이 흰 쥐의 골절유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9;8(1):675-87.
  34. 손원택. 순기활혈탕이 흰쥐의 골절유합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9;9(2):350-62.
  35. 금동호. 자연동이 흰쥐의 골절유합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12(2):51-68.
  36. 황지혜, 안지현, 김진택, 안상현, 김경호, 조현석, 이승덕, 김은정, 김갑성. 자연동의 투여가 인체의 뼈모세포 활성과 생쥐 정강이뼈 골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26(2):159-70.
  37. 이홍초. 동의광물학. 부산:부산대학교출판부. 1998:296-308.
  38.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서울:정담.1998:1324.
  39. 최호영. 시판되는 자연동 및 하자연동의 기원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99;14(1):23-7.
  40. 설재욱, 김세진, 안혜림, 정일문, 신미숙, 장하정, 최진봉. 자연동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6;14:82-104.
  41. 李時珍. 校訂本 本草綱目. 서울: 의성당. 1993:466-8.
  42. 동의학연구소. 동의학총서8(동약법제). 서울:여강출판사. 1994;387-8.
  43. 민평기, 서영배. 자연동의 수치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2001;10(1):47-53.
  44. 최호영, 김기동, 우경하. 자연동 포제의 규격화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99;14(1):29-35.
  45. 국윤범. 자연동의 품질 표준화 및 포제전후의 성분비교. 대한본초학회지. 2003;18(1):21-31.
  46. 최호영. 시판되는 자연동 및 포자연동의 기원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3;18(1):21-31.
  47. 윤혜경, 노영수. 약용 자연동 중 금속원소의 흰쥐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경희동서약학연구소보. 1994; 11권단일호:145-6.
  48. 정인희, 최현식. 산골이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대회초록집. 1968: 단일호:29.
  49. 황지혜, 안지현, 김진택, 안상현, 김경호, 조현석, 이승덕, 김은정, 김갑성. 자연동의 투여가 인체의 뼈모세포 활성과 생쥐 정강이뼈 골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26(2):15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