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isaster Victim Management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피해자 관리시스템

  • Hwang, Hyun-Suk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Information System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Eun-Hy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Information Securit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Soo (Dept. of the IT Convergence and Appl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황현숙 (부경대학교 대학원 정보시스템 협동과정) ;
  • 최은혜 (부경대학교 대학원 정보보호학 협동과정) ;
  • 김창수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0.12.27
  • Accepted : 2011.03.03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research of psychological supporting systems as safety and welfare for disaster victims damaged psychologically as well as physically by a sudden disaster to return to effectively their social life has been carried. The domestic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NEMA) is operating the Disaster Victim Psychology Support Center that helps with curing damaged psychology and studies the transmission system of psychology management services, the classification of victims for disaster psychology support, and emergency consultation method to systemically support disaster psychology management. However, current psychology supporting centers provide the simple information for supporting centers such as medical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development research of IT-based management systems to obtain needed information to construct the proposed systems curing psychological damage is still primitive step. Therefore, this paper shall propose a 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victims and managers to effectively share related information one another and to return to victims' social life as soon as possible. Also, we implement a simple prototype system based on the Web. The proposed system supports the spatial 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map as well as keyword search, because h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disaster victims, damage occurrence places, welfare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psychological supporting centers. In addition, this system has the advantage reducing the frequency of disaster damage by providing aids in making efficient policy systems for the managers.

갑작스런 재난에 의해 물적 신체적 손상뿐 만 아니라 심리적 손상을 입은 피해자들이 원활하게 사회생활에 다시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안전복지차원의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소방방재청 주관으로"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재난 피해자들의 심리 치유를 도우고 재난 심리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심리관리 서비스 전달 체계, 재난심리지원 피해자 분류, 위기 상담 방법 등에 관한 체계를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재난 피해자 심리지원 센터에서는 지원센터 및 복지기관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체계 구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시스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피해자 및 관리자들에게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원활한 교류를 지원하고 정상적인 사회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도 기반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간단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한다. 본 시스템은 재난 피해자, 손상발생, 관련 의료, 복지, 정신센터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어, 키워드에 의한 기본 정보 검색 뿐 만 아니라 지도 기반의 공간 검색 및 통계 분석을 지원함으로써 재난 관리자들의 효율적인 정책 체계에 도움을 제공하여 심리적인 피해로 인한 피해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김창수. 2010. 공간DB 기반의 강우-유출 모의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11.
  2. 김석규, 송인호, 고광용. 2007. 지형정보를 활용한 영산강 유역의 재해위험지도 작성.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121-131.
  3. 김태훈, 김계현, 심재현, 최우정. 2008. 웹 GIS를 이용한 실시간 자연재해 피해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10(4):103-107.
  4. 민관식, 이형석. 2010. 지리정보 기반의 강우 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01-110.
  5. 배정이. 2010. 국내외 재난심리지원의 현황 분석 및 방안 모색. 국가위기관리학회보 2(1): 52-65.
  6. 부산광역시. 2010. 지역사회 안전도진단 및 중 장기 계획수립 연구용역 보고서 : 제2부 부산광역시 손상현황 및 고위험요인 분석. 1312쪽.
  7. 소방방재청(1). 2009. 재난피해자 심리지원사례 모음. 386쪽.
  8. 소방방재청(2). 2009. 방재학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491쪽.
  9. 신평식. 2007. 화재피해주민 지원센터 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6학년도 석사학위논문. 85쪽.
  10. 유현정, 이재은, 노진철, 김겸훈. 2008.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224-236.
  11. 이계복. 2001. 효율적인 재해구호체계. 방재연구. 9:5-11.
  12. 최남희. 2008. 재난피해자 심리관리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예방안전국 과학방재팀. 398쪽.
  13. 최남희, 유정. 2010.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한국피해자학회 18(1):285-309.
  14. Anke, B.W., E.V. Ploeg, I. Bramsen, A. C. Huizink, P. Slottje, T. Smid and G. M. Ploeg. 2006. Dimensionality of the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among police officers and fire fighters : An evaluation of two self-report scales. Psychiatry Research. 141:213-228.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5.09.001
  15. Becker, S.M. 2009. Psychosocial care for women servivors of tsunami disaster in Indi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9(4):654-658. https://doi.org/10.2105/AJPH.2008.146571
  16. Feinstein, D. 2008. Energy psychology in disaster relief. Traumatology. 14:127-139. https://doi.org/10.1177/1534765608315636
  17. Hwang, H.S., T.N. Sharma and C.S. Kim. 2009. A System Framework for Managing and Analyzing Disaster History Information. The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pp.297-300.
  18. Hu, Xuehui, Y. Yang, L. Liu, X. Liu and Y. Tong. 2010. Early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a study with a victim buried under rubble for 124 hour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28(1):71-74.
  19. Laituri, M. and K. Kodrich. 2008. On line disaster response community : people as sensors of high magnitude disasters using internet GIS. Sensors. 8:3037- 3055. https://doi.org/10.3390/s8053037
  20. Meyers, D. and D.F. Wee. 2005.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s. Brunner Routledge. New York.
  21. Vernberg, E.M., A.M. Steinberg, A.K. Jacobs, M.J. Brymer, P.J. Watson, J.D. Osofsky, R.S. Pynoos, C.M. Layne and J.I. Ruzek. 2008. Innovations in disaster mental health : psychological first ai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9(4):381-388.

Cited by

  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xtraction Mashup for Reported Disaster Information on SNSs vol.16, pp.11,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3.16.11.1297
  2. A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Model to Decide Medical Institutions/Mental Health Centers for Disaster Victims vol.9, pp.4, 2011, https://doi.org/10.6109/jicce.2011.9.4.358
  3. 재해정보를 이용한 우회경로 및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개발 vol.15,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1.034
  4.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혼잡구간 정보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vol.15, pp.2,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