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MFT index in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지 및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 Jang, Yun-Jung (Dept. of Dental Hygiene, Mokpo Science College) ;
  • Kim, Nam-Song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장윤정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 김남송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1.07.09
  • Accepted : 2011.08.20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down-to-earth oral health policy to improve the systemic health involving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Methods : The third-year data of the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9 were analyzed, and $x^2$(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ny gaps i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stemic health state,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and oral health behavior. In terms of the DMFT index, one-way ANOVA was utilized, and then Scheffe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Besi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and the DMFT index. Results :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ystemic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both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MFT index.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and the DMFT index, the sub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exerted a significant independent influence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MFT index.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adults,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and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s there is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enior oral health plans and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s geared toward adults are both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 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서울:보건복지부;2007.
  2. 보건복지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조사결과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2010:93.
  3.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성인의 보건의식행태. 서울:보건복지부;2006:52-55.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통계지표. 서울:건강 보험심사평가원;2009.
  5.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1분기 건강보험주요통계.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2011.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치아우식(충치, K02)'에 대한 심사결정보도자료. 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1.
  7. 박승희.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비교[석사학위논문]. 익산: 원광대학교 대학원;2010.
  8. 김진아. 만성구강질환자의 치과진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02.
  9. Gift HC, Atchison KA, Drury TF. Perceptions of the natural dentition in the context of multiple variables. J Dent Res 1998;77(7):1529-1538. https://doi.org/10.1177/00220345980770070801
  10. Kushnir D, Zusman SP, Robinson PG.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 Public Health Dent 2004;64(2):71-75. https://doi.org/10.1111/j.1752-7325.2004.tb02730.x
  11. Wilson IB, Cleary PD.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 Am Med Assoc 1995;273(1):59-65. https://doi.org/10.1001/jama.1995.03520250075037
  12. 김혜영.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공교의료보험 피보험자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02.
  13. 송근배, 최연희, 홍석진, 김진범. 한국성인들의 사회 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치아우식증 실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2):319-327.
  14. 원영순, 김지현, 김수경. 서울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2009;9(4):375-380.
  15. 김혜영, 황수정, 오상환, 강경희, 박용덕. 한국 젊은 성인의 단문항 자기평가구강건강인식 수준을 구별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1):115-124.
  16. 김혜영. 단문항 자기평가에 의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4):496-505.
  17. 조남억.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 의식행태에 따른 Functioning Teeth Index와 THealth Index 의 분석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5.
  18. 김영남.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인식에 관련된 요인 [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4.
  19. 김영남, 권호근, 정원균, 조영식, 최연희. 한국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3):250-260.
  20. 유자혜. 한국인 치아우식증의 2000년과 2006년 유병상태 비교 [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8.
  21. 신명숙. 구강보건지수를 이용한 성인의 구강건강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대학원;2011.
  22. Sheiham A, Maizels J, Cushing A, Holmes J. Dental attendance and dental stat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5;13:304-309.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5.tb00461.x
  23. Davies AR, Allen HM, Manning WG, et al. Explaning dental utilization behaviour. Santa Monica California;RAND pubication No. R-3528-NCHSR RAND Corporation: 1987.
  24. 김은숙. 인지한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 증진행위 및 일상생활 구강건강인지 관계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0;24(2):145-157.
  25. 박영애, 정성화, 윤수홍, 최연희, 송근배. 포항시 일부 노인의 전신건강 및 식생활 습관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2):183-192.
  26. 이형숙. 성인의 구강건강인식과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4): 671-681.
  27. 이선영. 성인 치아우식증의 사회경제학적요인 및 식생활습관과의 관련성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고려대학교 대학원;2007.
  28. 조남억.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2009.
  29. 박영애. 노령인구에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2006.
  30. 김은애.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2008.
  31. 이병진. 치아우식발생 고위험 한국 청년의 구강건강 증진 모형개발[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07.
  32.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박사학위논문]. 대구:계명대학교 대학원;2007.
  33. 정진아.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 대학원;2007.
  34. Ostberq AL, Eriksson B, Lindblad U, Halling A. Epidemiological dental indices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in adolescents: ecological aspects. Acta Odontol Scand 2003;61:19-24.
  35. Robinson PG, Nadanovsky P, Sheiham A. Can questionnaires replace clinical surveys to assess dental treatment needs of adults. J Public Health Dent 1998;58(3):250-253. https://doi.org/10.1111/j.1752-7325.1998.tb03002.x
  36. 제만희, 정세환, 마득상, 이승우, 박덕영. 강릉시 12세 인구의 자기평가치아건강수준과 치아건강상태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4;28(1):45-55.
  37. Vered Y, Sqan-Cohen HD. Self-perceived and clinically diagnosed dental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among young ad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epidemiological surveys. BMC Oral Health 2003;3:3. https://doi.org/10.1186/1472-6831-3-3
  38. 조남억, 김민영, 유자혜 외 4인. 한국 성인의 구강 건강평가를 위한 새로운 복합지수의 활용:Functioning Teeth(FS-T)와 T-Health 지수.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1):1-11.
  39. 박현정. 구강질환의 유병과 사회경제적요인 및 보건의식행태와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서울: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2008.
  40. 문덕남. 초등학생과 어머니의 구강건강 상태와 행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2001.
  41. 신명숙. 초등학생들의 간식습관 및 구강 관리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03;21(1):133-143.
  42. 김은숙, 김영복. 근로자들의 일상생활 구강건강인지 도구 요인분석.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1;1(1):53-62.
  43. 고소영, 문혁수, 김종배, 백대일. 근로자의 구강보건의식과 구강보건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9;23(2):95-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