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Streams in Rural Area - The Focus of Han-River Basin -

농촌지역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 연구 - 한강유역 지류를 중심으로 -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승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sic planning criteria required in ecologica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works of streams in rural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eam assessment methods (wa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6 study sites of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the evaluation items like a manure use, salt degree, river peripheral tree, which did not fitted to apply to domestic streams, in the SVAP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and NRCS Riparian Assessment that wer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in USDA. The area inhabitants with a little knowledge and education personally seems to utilize the evaluation methods through improvement partly with an aspect that evaluation is slightly easy. 2) From the stream assessment results, the construction of diverse pools, large woody debris and isolated backwater pool are needed to improve a few of problems observed at the mostly study sites. The result of NRCS Ripari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stream bank vegetative communities is needed by planting tree with deep-binding root masses, and managing of noxious weeds and exotic undesirable plants. 3) Summing up,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stream with totally maintenance than that with partly maintenance, the stream with slope bank than that with vertical bank, and the stream with a flood plain than that without a flood plain. So, the direction of stream maintenance projects must be set by consideration of those results.

Keywords

References

  1. 강방훈, 조승진, 손진관, 2011,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연구 : 홍동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습지학회 발표논문집.
  2. 김동찬, 이정, 박익수, 2000,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수원천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5), 138-149.
  3. 김용범, 임양재, 1990, 탄천의 대형수생식물 군락분포와 환경. 한국생태학회지, 13, 297-309.
  4. 김원식, 곽정인, 이경재, 한봉호, 2011, 한강 하천제방 호안공법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1), 17-30.
  5. 김성원, 최이송, 오종민, 2008,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적정 설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7(1), 1-9.
  6. 김준영, 장인성, 2008, 농촌 소하천 유역의 건설현장이 하천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7(3), 297-330.
  7. 김준호, 김훈수, 이인규, 김종원, 문형태, 세계홍, 김원, 권도흔, 유순애, 서영배, 김영상, 1982, 낙동강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자연대 논문집, 7, 122-163.
  8. 김창완, 이두한, 우효섭, 2006, 새로운 하천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다기능 하천실험장 구축, 대한토목학회지, 54(10), 14-23.
  9. 농엄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10. 농업과학기술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
  11. 손명덕, 조욱상, 강성욱, 신대범, 서하나, 안영찬, 2007, 와류조, 유수분리구조로 구성된 비점오염저감 장치 개발 및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007(2), 1127-1133.
  12. 손진관, 강방훈, 김남춘, 2010,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3), 46-62.
  13. 손현근, 이은주, 이소영, 최지연, 김미형, 2008, 비점원 오염물질관리 : 포장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저감기술 개발, 한국물환경학회지, 2008, 43-44.
  14. 신정이, 김수복, 김영규, 1998, 소하천 정비 이후 직강화 구간과 자연형구간의 수질과 식생 비교조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 92-103.
  15. 안태웅, 최이송, 오종민, 2009, 하도 생물서식처에 따른 양화천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009, 609-610.
  16. 오현경, 임동욱, 김용식, 2009,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귀하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05-115.
  17. 이경보, 김창환, 김종구, 이덕배, 이상복, 나승용, 2003, 만경강 소하천의 토양환경과 식생분포, EnvSciences 12, 9-21.
  18. 이경보, 이덕배, 이상복, 김재덕, 1999, 만경강 수계농업용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한국환경노학회지, 18(1), 6-10.
  19. 이승수, 이동신, 박성열, 최상미, 김현진, 이하늘, 김이슬, 2010, 청주시 유역 소하천 조사 분석,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29(2), 81-86.
  20. 이춘석, 라순애, 1997, 농촌마을 소하천의 구간별 특성에 관한 연구 : 농촌 주거지역 소하천의 구조, 수질,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3(1), 23-32.
  21. 임승빈, 이춘석, 2000, 주변 토지이용과 주민 이용 선호도를 고려한 농촌마을 소하천 표준 횡단면 설계, 농촌계획, 6(1), 29-37.
  22. 이영숙, 2003, 저수지 수변공간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식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흥시의 6개 저수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구복, 김원일, 이종식, 김진호, 이정택, 2007, 토양내 중금속 존재형태와 미나리중 함량과의 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 40(2), 164-171.
  24. 조강현, 1992,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순화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조용현, 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최정권, 2010, 도시하천의 생태적 재생계획에 관한 연구: 안양시 수암천을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3(6), 133-144.
  27. 최지연, 이소영, Maira C. Maniquiz, 강창국, 이정용, Joan B. Gorme, 김이형, 2009, 자연적물순화시스템을 가진 침투여과 비점오염저감기술 개발,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화경학회지, 2009, 645-464.
  28. 최지용, 2002, 물환경 생태복원을 위한 수질관리: 수변완충녹지(Buffer Zone)관리를 중심으로, 환경생물학회지, 20, 20-29.
  29. 충남발전연구원, 2009, 충청남도 비점오염물질저감시설의 운영실태 및 설치 방안, 유기물($BOD_5$)을 중심으로.
  30. 환경부, 2000,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31. 환경부, 2002, 하천복원 가이드라인.
  32. 환경부, 2008,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33. 환경부, 2010a, 토양환경보전법
  34. 환경부, 2010b, 환경정책기본법.
  35. 櫻井喜雄, 2003, 川づくりと すみ場の 保全, 信山社サイテ. ック.
  36. Adriano, D. C, 1992, Biogeochemistry of trace metals. Lewis publishers.
  37. Chin, A., 1989, Step-pools in stream channel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13, 391-407. https://doi.org/10.1177/030913338901300304
  38.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93, Wetland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39. Hogan, D. L., 1986, Stream Channel Morphology : Comparison of Logged and Unlogged Watersheds in the Queen Charlotte Island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40. Perez-Pedini, C, Limbrunner J. F., and Vogel R. M. 2005, Optimal Location of Infiltration-Based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Storm Water Management, J. Water Resour, Plan. Mgmt., 131(6), 441-44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5)131:6(441)
  41. Rosgen, D. L., 1996, Applied River Morphology. Wildland hydrology, pagosa springs CO.
  42. Tiner, R. W., 1999, Wetland Indicators : A Guide to Wetland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Lewis Publishers.
  43. USDA, 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WCC Technical Note 99-1.
  44. USDA NRCS. 2004, Riparian Assessment : Using the NRCS Riparian Assessment Method.

Cited by

  1. 농촌지역 소하천의 환경성 평가 연구 - 홍성군 홍동천을 사례로 - vol.14, pp.5,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1.14.5.081
  2. 농촌지역 생활하수의 비점오염 유출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vol.24, pp.4, 2018, https://doi.org/10.7851/ksrp.2018.24.4.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