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ease Occurrence on Red-pepper Plants Survey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2007-2008

2007-2008년도 경북 북부지역 고추산지의 병해 발생상황

  • Received : 2011.03.10
  • Accepted : 2011.07.14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disease occurrence on red-pepper plants in relation to cultivation methods of the farmers and to the precipitation was investigat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The major diseases were mosaic, anthracnose and Phytophthora blight in 2007 and 2008. In 2008, mosaic was more severe than that in 2007, but the other diseases were milder than those in 2007.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saic incidence in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 precipitation during May wa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Phytophthora blight in September and the precipitation during August. The occurrence of anthracnose, Phytophthora blight and mosaic in the surveyed pepper plants grown in plastic houses were milder than those in fields, although the farmers cultivating red-pepper plants in the plastic houses were less than 5% in the northern Kyungbuk Province.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주요 고추 산지를 대상으로 생육기별 발병상황을 조사하고, 수확기 발병상황을 기상 환경 및 재배 방식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 가장 피해가 심하였던 병은 모자이크병과 탄저병, 역병이었다. 2008년에는 2007년에 비하여 모자이크병 발생이 심하였으며, 그 외의 병 발생은 2007년에 비하여 적었다. 수확기 모자이크병 발생 정도는 5월의 강수량과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8월의 강수량과 9월의 역병 발생 사이에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비가림 시설재배 고추에서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탄저병과 역병, 모자이크병에 의한 피해가 적었다. 그러나 비가림 시설재배를 하는 고추 재배 농가는 5%에 불과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천섭, 이순구. 2002. 고추 탄저병의 발병 생태 특성. 식물병연구 8: 120-123. https://doi.org/10.5423/RPD.2002.8.2.120
  2. 김병수, 김광용, 김상기, 성진근. 1995 고추 수지맞는 기술과 유통전략. 농민신문사. 331 pp.
  3. 김세종, 박준홍, 김정혜, 박소득, 최부술. 2001. 작약 비가림재배에 따른 병 발생억제효과 및 생육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 150-155.
  4. 김지영, 이영근, 송유한. 1998. 경북지역 시설원예작물의 병해발생 상황. 식물병연구 14: 41-45.
  5. 김충회. 2002. 2001 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8: 1- 10.
  6. 김충회. 2003. 2002 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9: 10- 17.
  7. 김충회. 2004. 2003 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10: 1-7.
  8. 노재종, 최동철. 2001. 이랑높이와 비가림터널이 노지수박의 병해발생에 미치는 영향. J. Kor. Soc. Hort. Sci. 42: 158-162.
  9. 농림수산식품부. 2008. 2008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591 pp.
  10. 농촌진흥청. 2008. 2008 병해충 발생정보. http://www.rda.go.kr.
  11. 마경철, 변만호, 방극필, 고숙주, 이용환. 2008. 재배양식에 따른 무화과 역병의 발생 및 친환경적 방제. 식물병연구 14: 107- 111. https://doi.org/10.5423/RPD.2008.14.2.107
  12. 명인식, 박경석, 홍성기, 박진우, 심홍식, 이영기, 이상엽, 이승 돈, 이수헌, 최홍수, 최효원, 허성기, 박영섭, 서흥수. 2008. 고추 주요병해충 방제를 위한 종합방제기술 농가실증. 원예과학기술지 26: 55.
  13. 명인식, 홍성기, 이영기, 최효원, 심홍식, 박진우, 박경석, 이상 엽, 이승돈, 이수헌, 최홍수, 김용기, 신동범, 나동수, 예완 해, 조원대. 2005. 2004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11: 89-92. https://doi.org/10.5423/RPD.2005.11.2.089
  14. 신동범, 나동수, 예완해, 한성숙, 조원대. 2006. 2005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식물병연구 12: 153-157. https://doi.org/10.5423/RPD.2006.12.3.153
  15. 이수헌, 이재봉, 김상목, 최홍수, 박진우, 이준성, 이기운, 문제선. 2004. 시설 및 노지재배 고추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분포. 식물병연구 10: 231-240. https://doi.org/10.5423/RPD.2004.10.4.231
  16. 이승돈, 윤창만, 이영기, 최용철, 조용섭. 1999.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에 의한 고추 궤양병. 식물병연구 5: 105-110.
  17. 이영근, 서혁수. 2000. Pseudomonas fluorescens biovar 2에 의한 고추의 무름병. 식물병연구 6: 1-5.
  18. 이영근, 황의홍. 1994. 1993-1994년도 경북북부지역 담배병해. 식물병연구 10: 292-296.
  19. 조점덕, 김정수, 이신호, 최국선, 정봉남. 2007. 우리나라 고추 바이러스 종류, 병징 및 발생 형태. 식물병연구 13: 75-81. https://doi.org/10.5423/RPD.2007.13.2.075
  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농업전망: 한국 농업.농촌,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444 pp.
  21.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제5판. 853 pp.
  22. Choi, G. S., Kim, S. H., Lee, D. H., Kim J. S. and Ryu, K. H. 2005.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viruses infecting pepper in Korea. Plant Pathol. J. 21: 258-261. https://doi.org/10.5423/PPJ.2005.21.3.258
  23. Hwang, B. K. and Kim, C. H. 1995.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and its control in Korea. Plant Dis. 79: 221-227. https://doi.org/10.1094/PD-79-0221
  24. Kim, H. K., Park, J. H. and Choi, S. L. 1989. Influence of various in vitro conditions on growth of Phytophthora capsici, pathogen of pepper crown and root rot. Korea J. Plant Pathol. 5: 230-238.
  25. Lee, D. H., Lee. S. W., Choi, K. H., Kim, D. A. and Uhm, J. Y. 2006.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Plant Pathol. J. 22: 375-380. https://doi.org/10.5423/PPJ.2006.22.4.375

Cited by

  1. Impact of Elevating Temperatur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532/KJAFM.2015.17.3.248
  2.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2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vol.18, pp.4, 2016, https://doi.org/10.5532/KJAFM.2016.18.4.179
  3. Control Effects of Indole Isolated from Xenorhabdus nematophila K1 on the Diseases of Red Pepper vol.18, pp.1, 2012, https://doi.org/10.5423/RPD.2012.18.1.017
  4. Control Effects of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 Isolated Xenorhabdus nematophila K1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f Red Pepper vol.19, pp.3, 2013, https://doi.org/10.5423/RPD.2013.19.3.208
  5. Antifungal Activity of Crude Extract Compound from Rhus verniciflua Against Anthracnose Fungi (Collectotrichum spp.) of Red-Pepper vol.31, pp.1, 2012, https://doi.org/10.5338/KJEA.2012.3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