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rainee's Characteristics & Satisfaction on Education for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in Jeju

제주지역 귀농.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 고상환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 김동현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 for the return farm and rural training program through the analyzed trainees' satisfa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polled 89 trainees who presented the Return farm and rural training program by 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rainees'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ed very various at an age structure, stage and type of return farm and rural. Seco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r the training program was normal bu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rainees' general characteristics, stage and type of Return farm and rural. This result was due to the unilateral training program. Consequently, it required a lot of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through reflecting the trainees' properties in the training plan.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2. 강대구. (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59-98.
  3. 구본석. (1999). 귀농자의 영농정착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53-65.
  5. 김정섭. (2009).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지방자치단체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6(3), 533-556.
  6. 김형용. (1998). 귀농자의 실상과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14(1), 205-223.
  7. 박공주, 윤순덕, & 강경하.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12(4), 63-76.
  8. 박공주, 김양희, & 박정윤. (2007).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이주 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 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9.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귀농자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10. 윤순덕, 강경하, 박공주, & 이정화. (2005). 도시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 이주의사결정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25(3), 139-153.
  11. 이민수, & 박덕병. (2011). 도시민 농촌이주에 대한 주요쟁점과 시사점. 농촌지도와개발, 18(1), 1-33.
  12. 이상호. (2008). 경북지역 귀농인의 지역 및 지역주민과의 만족도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5(3), 551-565.
  13. 정철영. (2000). IMF에 따른 귀농희망실업자를 위한 영농교육훈련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2(1), 1-25.
  14.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 귀농·귀촌자의 주거안정 관점에서 - vol.19, pp.3, 2011, https://doi.org/10.7851/ksrp.2013.19.3.169
  2. 귀농인의 영농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vol.23, pp.3, 2011, https://doi.org/10.12653/jecd.2016.23.3.0335
  3.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