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f the Use and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cused on Teacher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 초등학교 1.2학년을 담당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8.2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emphasized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curriculum is currently applied to all grad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full implications and apply them to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eachers employ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their instruction and how they perceived i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lack of understanding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y also did not use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discussion-based activities as expect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was reported by teachers as a main barrier to promote mathematical communication, but it did not make substantial differences in practice. Building on the result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부각하였는데, 현재는 모든 학년에서 이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다.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려면 교사가 그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여 수업에 적용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수학을 가르친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고려한 수업에 대한 실태와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중심 수업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하였고, 다양한 표현 활동이나 토론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급당 학생 수가 많아서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업을 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실제 활용 실태에서는 학급당 학생 수에 따른 답변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한 인식의 개선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지도서 6-1. 서울: 두산동아(주).
  2. 김상화 . 방정숙 (2010a).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와 성취요소 설정: D.R.O.C 유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4(2), 385-413.
  3. 김상화.방정숙 (2010b).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23-545.
  4. 김진호 (2008).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22(1), 41-52.
  5. 김진호 (2009).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초등수학교육, 12(2), 9-115.
  6. 박미혜 ․ 방정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실험 적용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초등 1․2학년 탐구 활동과 이야기 마당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1), 163-183.
  7. 박영숙․Glenn, J. & Gorden, T. (2009). 2020년 위기와 기회의 미래 유엔미래보고서 2. 파주: 교보문고 (주).
  8. 방정숙 (2004).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수학교육학연구, 14(3), 283-304.
  9. 방정숙 ․ 정희진 (2006).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97-321.
  10. 송경화․임재훈 (2007).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정확한 수학적 언어 사용 문화의 형성. 학교수학, 9(2), 181-196.
  11. 신준식 (2007). 수학 수업에서 의사소통 분석: 언어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0(1), 15-28.
  12. 안병곤 (2011).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61-178.
  13. 이해영 (2005). 초등학교 5, 6학년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미진 . 권성룡 (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3(1). 127-153.
  15. 조영준 . 신항균 (2010).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681-700.
  16. 홍우주 ․ 방정숙 (2008).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01-219.
  17. Chapin, S. H., O'Connor, C., & Anderson, N. C. (2003). Classroom discussions: Using mathematics talk to help students learn. Sausalito, CA: Math Solutions.
  18.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1(3), 175-190.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103&4_3
  19. Hufferd-Ackles, K., Fuson, K. C., & Sherin, M. G. (2004). Describing levels and components of a math-talk learning commun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2). 81-116. https://doi.org/10.2307/30034933
  20. Lerman, S. (2003). Cultural, discursive psychology: A sociocultural approach to stud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C. Kieran, E. Forman, & A. Sfard (Eds.),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87-113). Dordrecht: Kluwer.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 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외 5인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1). Mathematics assessment: Cases and discussion questions for grades K-5. Reston, VA: Author.
  23. O'Connor, M. C. (2003). "Can any fraction be turned into a decimal?" A case study of a mathematical group discussion. In C. Kieran, E. Forman, & A. Sfard (Eds.),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43-185). Dordrecht: Kluwer.
  24. Sfard, A. (2003). There is mores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 In C. Kieran, E. Forman, & A. Sfard (Eds.),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3-57). Dordrecht: Kluwer

Cited by

  1. A Case Study of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View Change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Teacher Education of La main à la pâte Program vol.52, pp.2, 2013, https://doi.org/10.15812/ter.52.2.201308.215
  2.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first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A case study vol.37, pp.1, 2011,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