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lood Storage Plans of Farmlands for Extreme Flood Reduction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농경지의 저류지화 방안 연구

  • Kang, Hyeong-Sik (Division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Cho, Seong-Yun (Division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Song, Young-Il (Environmental Appraisal Center,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순환연구실) ;
  • 조성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순환연구실) ;
  • 송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검토센터)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treme flood.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lateral river space, Gumi upstream region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chosen as a target area and flood reduction analysis of the washland by using LISFLOOD model have been examined. The 500-year frequency flood was simulated for the estimation of possibly occurable flood level and it turns out that the secured lateral river space on the selected site effectively lowers about 0.53 m flood level and reduces the flood damage of the city on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In addition, based on this result, multilateral river space securing plans were compared, and conservation easement and natural disaster insurance were suggested for sustainable and cost-effective alternatives. The costs of land purchase and conservation easement for securing the river space were also compared.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실효성 검증을 위해 낙동강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에 대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저감효과분석에는 LISFLOOD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를 저류지로 활용 하였을 경우 5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최대 약 0.53 m의저감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대상농경지의저류지화를위해해외선진사례분석을통한다각적공간확보방안들이 검토되었으며 그 중 평상시 활용가능성, 비용효과, 토지의 공공성 확보와 계약과 보상에 따른 마찰 등을 고려하여 지역권 설정 및 재해보상제를 활용한 방안들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낙동강 대상지에서의 토지매수제와 지역권 설정을 통한 공간확보 비용을 비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2007). "홍수범람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 권, 제6B호, pp. 583-590.
  2. 강형식, 장재호, 안종호, 김익재(2011).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한국수자 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7호, pp. 577- 589. https://doi.org/10.3741/JKWRA.2011.44.7.577
  3. 건설교통부(2006). 한국수문조사연보.
  4. 국토해양부(2008). 천변저류지 조성 촉진 및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5. 금강수계관리위원회(2007). 금강수계 토지매수 및 관리기본계획 수립 연구.
  6. 국토해양부(2009). 낙동강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7. 국토해양부(2009). 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8. 김덕길,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2008). "천변저류지 조성 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483-489.
  9. 곽재원, 김재근, 김형수, 유병국(2010).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1B호, pp. 13-21.
  10. 박창근, 박재현, 이종진(2007).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2007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31- 335.
  11. 소방방재청(2006). 재해연보.
  12. 소방방재청(2007). 주요통계 및 자료.
  13. 안태진, 강인웅, 백천우(2008). "수문학적 홍수저감효과 기반의 천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 권, 제7호, pp. 725-735.
  14. 안태진, 변천일, 노희성, 백천우(2010). "경제성 분석에 의한강변저류지최적위치선정에대한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8호, pp. 681- 694.
  15. 이미연(2005). 천변저류지의 토지보상방안에 대한 비용 효과분석: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경수, 김원, 윤병만(2006).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의 불확실성 분석." 2006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67-270.
  17.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2010). 2010년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게획수립 지침. 소방방재청.
  18.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2005).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2005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3-236.
  19. 환경부(2001). 토지임차제.휴경보상제 등 매수제 대안의 타당성 연구.
  20. Bates, P.D., and De Roo, A.P.J. (2000).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plain inund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 54-77.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78-X
  21. Bates, P.D., Dawson, R.J., Hall, J.W., Horritt, M.S., Nicholls, R.J., Wick, J., and Hassan, M.A.A.M. (2005). "Simplifie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ling of coastal flooding and example applications." Coastal Engineering, Vol. 52, pp. 793-810.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5.06.001
  22. Bates, P.D., Horritt, M., Wilson, M., and Hunter, N. (2005). LISFLOOD-FP User manual and technical note, University of Bristol, UK.
  23. Dawson, R.J., Hall, J.W., and Bates, P.D. (2005). "Quantified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flooding in the thames estuary under the imaginable worst-case sea level rise scenari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Vol. 21, No., pp. 577-591. https://doi.org/10.1080/07900620500258380
  24. Hunter, N.M., Bates, P.D., Horritt, M.S., and Wilson, M.D. (2007). "Simple spatial-distributed models for predicting flood inundation: A review." Geomorphology, Vol. 90, pp. 208-225.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6.10.021
  25. Purvis, M.J., Bates, P.D., and Hayes, C.M. (2008). "A probabilistic methodology to estimate future coastal flood risk due to sea level rise." Coastal engineering, Vol. 55, pp. 1062-1073.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8.04.008

Cited by

  1. Spatial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for Ensuring Stream Space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2652/Ksce.2015.35.2.0341
  2.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Inundation Areas by Levee Breaching using LISFLOOD vol.16, pp.3, 2014, https://doi.org/10.17663/JWR.2014.16.3.383
  3. Application of the LISFLOOD-FP model for flood stage prediction on the lower mankyung river vol.49, pp.6,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6.459
  4.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LiDAR and LISFLOOD Model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001
  5. Applying conservation easement policy to river spaces to mitigate natural hazards in South Korea pp.1573-0840, 2018, https://doi.org/10.1007/s11069-018-3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