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한국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생각 영향요인의 남녀차이

  • Received : 2012.11.10
  • Accepted : 2012.12.19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2009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Logistic regression models and Wald chi-squar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between the gender-specific models.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revalence for depression(42.9%) than male students(31.4%), as well as higher level of suicidal ideation(girls:23.1%, boys:14.7%). Lower school achievement, worse self-rated health status, more conflic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impact of school achievement and conflicts with friends on mental health was greater among girls than boys. We suggest that the efficient strategies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2012), OECD Health data 2012,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enuId=43&bbsSeq=9&nttSeq=19087&searchKey=&searchWord=&nPage=1
  2.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2), 국내 정신질환 관련 연구현황 파악 및 우울증 자살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pp.91-178.
  3. 김보영, 이정숙 (2009), 청소년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Vol.39(5);651-661.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4. 남석인, 최권호, 민지아 (2011),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자살성 남녀 비교: 서대문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42(2);467-491.
  5. 박재연 (2010),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Vol.41(1);345-375.
  6. 김애경 (2002),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원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외현적 문제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Vol.16(3);31-50.
  7.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지, Vol.9;128-152.
  8. 김세원 (2010), 청소년 우울의 이질적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에서의 성별 차이, Vol,21(1); 171-195.
  9. 전영주, 이숙현 (2000), 청소년의 자살 구상과 관 련 변인분석, 청소년학연구, Vol.7(1);221-246.
  10. 보건복지부 (2012b), 2011년 사망원인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 ndex.board
  11. 윤재원 (2009), 학교 부적응과 부모의 기대수준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9-69.
  12. Hankin, B.L., Mermelstein, R., & Roesch, L. (2007), Sex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Stress exposure and reactivity models, Child Development, Vol.78(1);279-295.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0997.x
  1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0), 제5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통계.
  14. 유진영 (2011), 고교 청소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산업의료보건학회지, Vol.5(4);81-93.
  15. 조성진, 전홍진, 김장규, 서동우, 김선욱, 함봉진, 서동혁, 정선주, 조맹제 (2002),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Vol.41(6);1142-1155.
  16. 노혜련, 이종익, 전구현 (2012), 초.중학생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Vol.14(2);335-363.
  17. Yang S.J., Kim J.M., Kim S.W., Shin I.S., Yoon J.S.(2006), Bullying and victimization behaviors in boys and girls at South Korean primary school, J.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45(1);69-77. https://doi.org/10.1097/01.chi.0000186401.05465.2c
  18. 권재기 (2001),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 한국아동복지학, Vol.34;95-125.
  19. Cummings E.M., Daviers P.T., Simpson K.S. (1994), Marital conflict, gender, and children's appraisals and coping efficacy as mediators of child adjustment, J. of Family Psychology, Vol.8;141-149. https://doi.org/10.1037/0893-3200.8.2.141
  20. 김희숙, 박완주, 박경란, 김미향 (2012), 청소년의 인간관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Vol.21(1);278-287.
  21. 박연숙, 김종림, 이선미 (2012), 거주형태에 따른 여고생들의 스트레스, 신체화, 분노 및 학교적응,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6(3);183-195. https://doi.org/10.12811/kshsm.2012.6.3.183
  22. 조윤주 (2009), 외모 스트레스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역할 정체감 및 우울감을 매개 변인으로, 대한가정학회지, Vol.47(8);87-99.
  23. 이명희 (2009), 청소년의 외모관심, 외모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ol.59(8);97-109.
  24. 임성택, 주동범, 이금주 (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스트레스, 공부압박감의 종단적 추이와 해석, 직업교육연구, Vol.29(1);23-43.
  25. 빈성오, 강성욱, 정성화, 백혜진, 송근배 (2010), 대구광역시 일부 청소년의 영양상태 및 건강관련 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 학회지, Vol.11(2);57-69.

Cited by

  1. Analysis of Individu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Korean Adolescent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y Gender vol.29, pp.3, 201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189
  2. A Study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vol.7, pp.3,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149
  3. The Factors Associate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vol.7, pp.2,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161
  4. Structural Equation Model Related to Cell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vol.10, pp.3, 2016,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185
  5.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vol.29, pp.3, 201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267
  6. A Study on the Stress, Self-Esteem, Mental-Health and Suicidal-Ideation in Nursing Students vol.3, pp.2, 2015, https://doi.org/10.15205/kschs.2015.3.2.328
  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vol.27, pp.2, 2018, https://doi.org/10.12934/jkpmhn.2018.27.2.135
  8.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Korean adolescents’ sleep,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pp.14410745, 2018, https://doi.org/10.1111/nhs.12425
  9. The Effects of Parental Over-Control and Over-Expectation on Adolescent Mental Health : Focusing on Depression, Agg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vol.52, pp.None, 2012, https://doi.org/10.16975/kjfsw.2016..52.010
  10. 한국어판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연구 vol.68, pp.3, 2012, https://doi.org/10.20970/kasw.2016.68.3.007
  11.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vol.15, pp.9, 2012, https://doi.org/10.14400/jdc.2017.15.9.365
  12. A Comparative Study about Risk Factors Influencing Suicide Ideation between Korean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vol.28, pp.3,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3.240
  13. 비다문화 중학생과 다문화 중학생의 우울 관련 요인 비교 vol.32, pp.1, 2019, https://doi.org/10.15434/kssh.2019.32.1.10
  14. Text mining analysis of teachers’ reports on student suicide in South Korea vol.29, pp.4, 2012, https://doi.org/10.1007/s00787-019-013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