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 - 과학교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4.26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anings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seek ways of implementing it in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study adopted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in order to elicit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various ways of integrating educational aims and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ion.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four science teachers with the themes of the concept and potential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and systemic support, respectively.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deriving major themes comprising teachers' perception on convergence education: they are 1) related concepts and rationales, 2)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subject that make it suitable for convergent education, 4) teacher perception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for implementing convergent education, and finally 5)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putting the idea into practice.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discusses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ways that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and reorienting science education towards the future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제적인 의미와 수행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이용하였으며, 과학교육의 관점으로부터 교육적 목적과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을 도출하였다. 4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2차의 포커스 그룹 면담에서는 융복합 교육의 개념, 가능성, 수행, 체계적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질문되고 논의되었다. 면담의 결과는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섯 가지 주요 주제로 구분하여 주요 범주로 사용하였다. 이들은 1) 관련 개념과 근거, 2) 내용, 방법 및 평가, 3) 융복합 교육에 적합한 과학교과의 특성, 4) 융복합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인식과 전문성과 5) 이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 조건 등이었다. 이로부터 융복합교육을 수행하고 미래 사회를 위해 과학교육을 재정향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적이고 실제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2. 권재술 (1991). 학문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과 생활 소재의 과학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117-126.
  3. 김영석 (1999).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4. 김진국, 남상준 (2007). 좋은 지리수업에 대한 현장 지리교사들의 개념: 포커스 그룹(Focus Group)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2), 153-166.
  5. 박귀선, 남상준 (2009). 다문화 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교원교육, 25(3), 108-129.
  6.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7. 박현주 (2012). 우리나라 STEAM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 2012년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61차 동계학술대회 주제 발표. pp. 27-30.
  8.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9. 오성배 (2012). 융합인재교육 활성화 방안 및 추진 현황. 2012년 한국과학교육학회 총회 및 제 61차 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p. 20-21.
  10. 이영만, 홍영기 (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1. 이인식 (2008). 지식의 대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은 어떻게 만나는가. 서울: 고즈윈.
  12. 이혜원 (2008). 교육적 통합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14. 주형선, 이선경 (2011).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 발전교육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지, 24(1), 102-113.
  15. 홍성욱, 박상욱, 박형욱, 변학문, 임종태 (2012). 융합이란 무엇인가: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서울: 사이언스북스.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Bingle, W. H., & Gaskell, P. J. (1994). Scientific literacy for decisionmak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8(2), 185- 201. https://doi.org/10.1002/sce.3730780206
  18. Bybee, R. (Ed.) (1985). Science-Technology-Society. In 1985 NSTA yearbook. Washingt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 Dewey, J. (1952).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20. Fogarty, R. (1991). Ten ways to integrate curriculum. Educational Leadership, 42(2), 61-65.
  21. Fontana, A., & Frey, H. J. (2005). The interview: From neutral stance to political involvement,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Denzin, N. K & Lincoln, Y. S. (eds.), (pp. 695-728).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2. Hwang, S. (2010). Rethinking the contribu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A literature review.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1), 26-38.
  23. Gibbons, M., Limoges, C., Norway, H., Schwartsman, S., Scott, P., & Trow, M. (1994).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The dynamics of science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societies. London ; Thousand Oaks, Calif. : SAGE Publications.
  24. Ingram, J. E.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learning. 배진수, 이영만 역( 2002).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서울: 학지사.
  25. Jacobs,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6. Klein, J. T. (1996). Crossing boundaries: Knowledge, disciplinarities and interdisciplinarities. Charlottesvill, VA: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27.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Nuffield Foundation.
  28. Morgan, D. L. (199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김성재 등 역 (2007).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서울:군자출판사.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0. Newmann, F., Marks, H., & Gamoran, A. (1995). Authentic pedagogy and student performance. Madison, WI: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University of Wisconsin.
  31. Sergiovanni, T. J. (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2. Solomon, J., & Aikenhead, G. (Eds.), STS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for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3.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https://doi.org/10.1002/sce.20048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23
  2. Current status and remaining challenges of STEAM :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Yungbokhap education vol.31, pp.1, 2012, https://doi.org/10.15708/kscs.31.1.201303.007
  3.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vol.27, pp.3,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276
  4.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vol.19, pp.3,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713
  5. 중등 과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vol.35, pp.6,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49
  6.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on STEAM education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 vol.20, pp.1,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6.20.1.50
  7.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교육전략 제안: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vol.11, pp.1, 2012,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1
  8. Exploring Strategies for Integra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Education in Schools vol.31, pp.2, 2012, https://doi.org/10.17965/kjee.2018.31.2.83
  9. STEAM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향 -STEAM 교육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견해를 바탕으로- vol.39,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573
  10.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vol.40,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4.359
  11.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vol.23, pp.4, 2012, https://doi.org/10.7468/jksmec.2020.23.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