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 Received : 2012.06.25
  • Accepted : 2012.09.19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perception in the gifted education fiel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teachers, 10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dividually or i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character, creativity, leadership and morality as the important capabilities to have in the future society. Also, they wanted to explore science as much as they wished, form values as a leader,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The study suggested that it needed to construct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scientific investigation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들과 학부모, 영재 담당교사들이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들을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그 학부모, 영재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룹 또는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봉사로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인성, 과학적으로 뛰어난 역량과 사고 능력으로서의 창의성, 추진력과 설득력을 통한 리더십, 그리고 일관성 있는 행동과 실천력으로서의 도덕성을 미래 사회에 필요한 과학영재의 자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영재교육과정 속에서 과학에 대해 마음껏 탐구하고 배우며, 리더로서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친구들과의 협동을 통해 새로운 산출물을 완성해내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길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은 다양한 과학적 체험과 탐구가 개별적이 아닌 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완성됨으로써 상호관계 속에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자질을 키우고 과학영재로서의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지(2011). 중학교 영재교육원의 인성교육 현황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탐색.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언주, 이군현, 이기문, 하종덕(1998). 과학 영재 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대전: 한국과학재단 김성춘(2009).
  3.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연구-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1(2), 17- 32.
  4. 김회용, 박수홍, 홍광표, 박운형(2009). 철학적 탐 구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영재리더십 프로그램 효과 연구. 교육사상연구, 23(2), 1-24.
  5.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2011). 사회-정서적 어려 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6. 문용린, 최인수(2010). 창의∙인성 교육과정 총론. 창의.인성교육 현장적용도 제고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7.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8. 박은이, 홍훈기(2010).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접근. 영재교육연구, 20(3), 703-720.
  9. 심재영, 김언주(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14-255.
  10. 양규모, 김정섭(2010). 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 연구, 20(3), 743-765.
  11.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2007). 대학부설 과학영 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3.
  12. 오미진, 이성태, 하동수, 조현욱(2010).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중등생물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2(2), 19-38.
  13. 유미현, 전미란, 홍훈기(2007). 과학영재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7(1), 99-122.
  14. 윤경희(2009). 과학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지능 및 인성의 관계. 인문논총, 24, 223-256.
  15. 이명자(2002). 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교육학논총, 23(1), 127-140.
  16. 이재호, 진석억, 류지영(2010). 창의∙인성을 갖춘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 의재단. 연구보고서 2010-16.
  17. 이정철, 강순민, 김동렬, 허홍욱(2010). CAQDAS에 의한 부모의 관찰 기록 및 질적 선발 자료에 나타난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행동 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영재교육연구, 20(2), 427-459.
  18.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19. 이항로(2011). 과학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2(3), 294-305.
  20. 장은정, 전영석(2010). 리더십 향상을 위한 초등 과학 영재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29(3), 252-261.
  21. 조연순, 최규리, 최문경(2009).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과학연구, 40(3), 215-237.
  22. 최규리(2012).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영재교육연구, 22(2), 167-190.
  23.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 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24. 하상우, 김선자, 박종욱(2008).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8(3), 497-518.
  25. 한국과학창의재단(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 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홍종관(2009). 영재의 이해와 교육 및 상담에 관한 연구. 청소년행동연구, 14, 123-146.
  26.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 time of creativity. Buffalo, NY: CEF Press.
  27. Andreani, O., & Pagnin, A. (1993). Nurturing the moral development of the gifted. In K. Heller, F. Mo..nks, &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539- 553). Oxford: Pergamon Press.
  28. Brandwein, P. (1986). A portrait of gifted young with science talent. Roeper Review, 8(4), 235-243. https://doi.org/10.1080/02783198609552981
  29. Cho, Y., Chung, H. Y., Choi, K., Suh, Y., & Seo, C. The creativity of Korean leaders and its implications for creativity educatio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5(4), 235-257. Clark, B. (2008). Growing up gifted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0. Cropley, A. J. (1993). Creativity as an element of gifted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 17-17.
  31.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325-33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Davis, G. A., & Rimm, S. B. (1989).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33. Feldman, D. H. (1988). Creativity: dreams, insights, and transformations.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271-27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Frasier, M. M., & Passow, A. H. (1994). Towards a New Paradigm for Identifying Talent Potential.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Research Monograph 94112.
  35. Karnes, F. A., & Stephens, K. R.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Lovecky, D. V. (1997). Identity development in gifted children: Moral sensitivity. Roeper Review, 20, 90-94. https://doi.org/10.1080/02783199709553862
  36. Marland, S. P.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 S. Commissioner of Education.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7.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8. Nokelainen, P., & Tirri, K. (2010). Role of motivation in the moral and religious judgment of mathematically gifted adolescents. High Ability Studies, 21(2), 101-116. https://doi.org/10.1080/13598139.2010.525343
  39. Patton, M. (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0. Piechowski, M. M. (199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giftedness. In N. Cok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85-306).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41. Piirto, J. (1992).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Dayton, OH: Ohio Psychology Press. Platow, J. A. (1984). A handbook for identifying the gifted/talented. Ventura, CA: Ventura County Supt. of Schools Office.
  42.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43. Renzulli, J. S. (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to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1), 33-58. https://doi.org/10.1177/003172170208400109
  44. Renzulli, J. S. (2005).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246-279).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Roeper, A. (1995). Education children for life. Monroe, NY: Trillium.
  46. Runco, M. A. (2005). Creative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295- 311).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Runco, M. A. (2007).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Burlington, MA: Elsevier Academic Press.
  4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https://doi.org/10.1177/001698629303700102
  49. Tirri, K. (2010). Combining Excellence and Ethic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for the Gifted. Roeper Review, 33(1), 59-64. https://doi.org/10.1080/02783193.2011.530207
  50. Van Tassel-Baska, J. (1998).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3rd ed.). Denver: Love Publishing.
  51. Woodman, R. W. & Schoenfeldt, L. F. (1990). An interactionist model of creative behavior.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4(4), 279-290.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0.tb00549.x

Cited by

  1. Science Teachers' Seminar between Korea and Timor-Leste: Volunteer Service, Conflict and Science Education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55
  2. 델파이 기법을 통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의 목적과 담당교사의 수업전문성 설정 vol.7, pp.1, 2012,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99
  3.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vol.24, pp.4,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4.24.4.483
  4. 과학교육에서 인성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vol.37, pp.3,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