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 Received : 2011.10.12
  • Accepted : 2012.02.1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aim, an assessment framework, four assessment items, and detailed rubrics for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developed. The assessment framework had three dimensions (i.e. science contents, inquiry process, and thinking skills) and sub-elements for each dimension. The assessment items were tested with 320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reliability,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Science teachers and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checked the validity of the items and the rubrics.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ssessment tool was reliable enough to evaluate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3차원 평가 틀(과학내용, 과학 탐구 기능, 사고력)을 개발하였으며, 이 평가 틀에 맞추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현장 과학 교사들의 검토를 거쳐 예비 검사에 투입할 3과제로 구성된 4개 문항을 확정하였고,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문항의 구체적인 채점 기준과 배점을 결정하였다. 완성된 최종 검사 도구는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한 과학 교육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중학교 1, 2, 3학년 320명에게 투입되었으며,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받았다. 채점 결과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틀과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교 급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순희 (2008). 창의적 사고 지향 교수 모델 개발 및 적용. 제5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구두발표.
  2. 강순희 (2010).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평가 도구와 평가 준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서울: 도서 출판 새로문화.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4. 교육사전편집회 (1960). 교육대사전. 서울: 신장사.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김경자 (2000).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7.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김영채 (2004a).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9. 김영채 (2004b).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10.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기초 연구 편-. 한국교육개발원.
  11. 김홍원, 김명숙, 방승진, 황동주 (1997). 수학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I)-검사 제작 편-. 한국교육개발원.
  12. 김희정, 박은진 (200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개정판). 서울: 아카넷.
  13.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박인숙, 강순희 (2011).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314-327.
  15. 박종원, 박종석 (2003). 과학적 창의성 평가를 위한 3차원 틀. 제4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과학영재 평가 체제의 구축, 56-69.
  16. 방담이, 박지은, 송주연, 강순희 (201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I보). 대한화학회지, 55(2), 290-303.
  17. 성태제 (2004).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개정판). 서울: 학지사.
  18. 우종옥 (2003). 과학 영재의 평가틀. 제4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과학영재 평가 체제의 구축, 31-55.
  19. 이인제, 김범기 (2004). 과학과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연구보고 RRE 2004-5-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조석희, 장영숙, 정태희 (2003).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 30(1), 259-296.
  21. 한기순 (2000).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22. 한상기 (2007). 비판적 사고와 논리. 서울: 서광사.
  23. Cangelosi, J. S. (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24. Chi, M. T. H. (1997). Creativity: Shifting across ontological categories flexibly. In T. B. Ward, S. M. Smith & J. Vaid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pp. 209-23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5. Csik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Perennial.
  26. Ennis, R. H. (1962). A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Harvard Educational Review, 32(1), 81-111.
  27. Feist, G. J. (2009). 인간의 창의적 재능에서 진화되어 온 유동적 특수성.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pp. 97-135). 서울: 학지사. (원저 2004 출판)
  28. Feldman, D. H. (1994).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2nd e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9. Gardner, H. (2000). Fostering creativit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교원교육 85주년 국제학술심포지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30.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The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https://doi.org/10.1037/h0063487
  31. Lipman, M. (2005). 고차적 사고력 교육(박진환, 김혜숙 공역.). 서울: 인간사랑. (원저 2003년 출판)
  32. Lubart, T. I. (1994).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p. 289-332). New York: Academic Press.
  33. Lubart, T. I. & Guignard, Jacques-Henri. (2009). 창의성의 일반성과 특수성-다변량적 접근. In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pp. 77-96). 서울: 학지사. (원저 2004 출판)
  34.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449-46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Meeker, M. (1969). The structure of intellect: Its interpretation and uses. Columbus: Merrill.
  36. Meeker, M. (1976). The structure of intellect: Evaluation source book. CA: SOI Institute.
  37. Nickerson, R. S.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92-43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Nosich, G. M. (2009). Learning to think things through: A guide to critical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3rd ed.). New Jersey: Person Prentice Hall.
  39. Paul, R. & Elder, L. (2006). Critical thinking: Learn the tools the best thinkers use, Concise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40. Plucker, J. A. & Beghetto, R. A. (2009). 창의성이 영역 일반적인 이유와 영역 특수적으로 보이는 이유, 그리고 그 구분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 In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pp. 243-264). 서울: 학지사. (원저 2004 출판)
  41. Runco, M. A. (1999). Divergent thinking.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77-68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2. Runco, M. A. & Okuda, S. M. (1991). The instructional enhancement of the flexibility and originality scores of divergent thinking test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5, 435-441. https://doi.org/10.1002/acp.2350050505
  43. Singer, J. L. (2009). 결론적 논평-영역 일반인가 혹은 영역 특수인가. In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pp. 305-318). 서울: 학지사. (원저 2004 출판)
  44.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https://doi.org/10.1037/0003-066X.51.7.677
  45.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6.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NJ: Personnel Press.
  47. Torrance, E. P. (1998).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figural(streamlined) forms A & B,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48. Treffinger, D. J., Isaksen. S. G., & Stead-Dorval. K. B. (2006).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4th ed.). TX: Prufrock press Inc.
  49. Wallach, M. A. (1985). Creativity testing and giftedness. In F. D. Horowitz & M. O'Brien (Eds.), The gifted and talented: Developmental perspectives (pp. 99-12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0. Weisberg, R. W. (2009). 창의성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김미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6 출판)
  51. Woolfolk, A. E. (1998). Educational psychology (7th ed.). MA: Allyn & Bacon.

Cited by

  1.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93
  2. Exploring the Effects of Grouping by Learning Style of Gifted-Student in Science on the Verbal Interaction vol.58, pp.4,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4.406
  3. Effects of Forensic Science Program on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vol.34, pp.3,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3.265
  4.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vol.24, pp.4,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4.24.4.509
  5. Development of A Convergence-Oriented Digital Textbook on the Structureand Function of Plant using iBooks Author vol.42, pp.4, 2012,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4.414
  6.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vol.31, pp.1, 2012, https://doi.org/10.7468/jksmee.2017.31.1.125
  7. 고등학생을 위한 생물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vol.45, pp.1, 2012,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92
  8.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공학제품 설계수업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경험 연구 vol.7, pp.1, 2012, https://doi.org/10.17703/jcct.2021.7.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