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Types and Periodontiti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대상자 특성에 따른 비만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 Kong, Young-Mi (Dep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Gachon University) ;
  • Han, Gyeong-Soon (Dep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Medical Science, Gachon University)
  • 공영미 (가천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한경순 (가천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it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429 subjects aged 19 years or older from March to May, 2010. Data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Statistics were analyz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WHR had dose-effect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sextants with periodontitis. With regard to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type and periodontiti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objects, the WHR obesity group showed results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for twice(OR: 2.24; 95% CI: 1.17-4.28) and three times or more(OR: 3.34; 95% CI: 1.53-7.27) in frequency of daily teeth brushing, 0-3 points(OR: 2.47; 95% CI: 1.09-5.59) and 4-6 points(OR: 3.99; 95% CI: 1.75-9.08) in the self-perception of stress level, and the group with 8 hours or more(OR: 4.20; 95% CI: 2.11-8.34) in the sleeping time. If anyone is judged to have obesity by WHR, we can say that the risk to have periodontitis together with it is 2.56 times more likely(95% CI: 1.58-4.1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여러 가지 비만유형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자원봉사센터에 봉사자로 등록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429명의 자료를 chi-square tes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그리고 Statistics were analyzed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특성에 따른 비만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은 WHR에 의한 비만 판정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칫솔질 횟수에서 일일 2회에서는 2.22배(95% CI: 1.17-4.28), 3회에서는 3.34배(95% CI: 1.53-7.27)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자각수준에서 0-3점에서는 2.47배(95% CI: 1.09-5.59), 4-6점에서는 3.99배(95% CI: 1.75-9.08) 높게 나타났으며, 수면시간에서는 8시간 이상 군에서 4.20배(95% CI: 2.11-8.34) 높게 나타났다. 2. 치주질환과 관련성을 나타낸 비만유형은 WHR로 복부비만 군은 정상 군에 비해 치주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2.56배(95% CI: 1.587-4.138) 높았으며, BMI와 PBF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WHR은 비만진단 지표 중 치주질환에 가장 영향력 있는 지표로 비만으로 판정 받은 경우 치주질환을 함께 가지고 있을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들에 대한 정기적인 치주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비만 바로알기.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9.
  2. Ervin RB: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age,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2006. Natl Health Stat Report 5(13): 1-7, 2009.
  3.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9년도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년도(2009).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10.
  4. 김혜련 등: 부문 간 협력을 통한 비만의 예방관리체계의 구축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5. 백혜진 등: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3): 338-345, 2010.
  6. Morita T et al.: A cohort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J Periodontol 81(4): 512-519, 2010. https://doi.org/10.1902/jop.2010.090594
  7. 송경희, 조숙진: 치주질환과 비만 및 건강위험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13(1): 47-60, 2011.
  8. Linden G et al.: Obesity and periodontitis in 60-70-year-old men. J Clin Periodontol 34(6): 461-466, 2007.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7.01075.x
  9. Wood N, Johnson RB, Streckfus CF: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and periodontal disease using nutritional assessment techniques: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J Clin Periodontol 30(4): 321-327, 2003. https://doi.org/10.1034/j.1600-051X.2003.00353.x
  10. 차상원: 광주광역시 동구 지역 50대 이상 주민의 비만과 치주질환의 연관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광주, 2010.
  11. Saito T et al.: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glucose toleranc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women: the Hisayama study. J Periodontal Res 40(4): 346-353, 2005. https://doi.org/10.1111/j.1600-0765.2005.00813.x
  12. D'Aiuto F et al.: Tonetti. Short-term effects of intensive periodontal therapy on serum inflammatory markers and cholesterol. J Dent Res 84(3): 269-273, 2005. https://doi.org/10.1177/154405910508400312
  13. 장기완, 김진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구강건강조사법. 초판. 고문사, 서울, pp.45-48, 2000.
  14. 이경화: 주요 비만 판정 지수의 비만 기준 비교. 복식문화연구 18(1): 93-108, 2010.
  15. 이호진: 성인남성의 BMI, 측정방법에 의한 평가분류와 WHR, %Fat, 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서울, 2010.
  16. 심수정, 박혜순: 한국인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체지방률 기준치. 대한비만학회지 13(1): 14-21, 2004.
  17. Alberti KG, Zimmet PZ: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Part 1: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rovisional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Diabet Med 15(7): 539-553,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6-9136(199807)15:7<539::AID-DIA668>3.0.CO;2-S
  18. 황인철, 조영민, 김경곤: NCEP-ATP III 진단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에서 생체 전기저항 분석법에 의해 추정된 허리-엉덩이둘레비의 유용성. 대한비만학회지 18(3): 79-86, 2009.
  19. 고진호, 김기진: 성인여성의 체지방률, BMI 및 허리둘레로 구분한 비만 유형간 신체구성의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5(1): 1-7, 2007.
  20. Han DH et al.: Visceral fat area-defined obesity and periodontitis among Koreans. J Clin Periodontol 37(2): 172- 179, 2010.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9.01515.x
  21. Ekuni D et al.: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periodontitis in young Japanese adults. J Periodontal Res 43(4): 417-421, 2008. https://doi.org/10.1111/j.1600-0765.2007.01063.x
  22. Amaral Cda S, Luiz RR, Leo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ependence and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79(6): 993-998, 2008. https://doi.org/10.1902/jop.2008.070525
  23. 한경순 등: 대상자 특성에 따른 전문가치면세정술 및 세균막관리교육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4): 453-463, 2008.
  24. 한지형, 황지민: 청소년의 BMI와 건강 및 구강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10(1): 141-156, 2010.
  25. 김민영, 정의정: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의 비만도와 흡연에 따른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조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7(3): 273-282, 2007.
  26. 김은주 등: 한국 과체중 및 비만 여성에서 우울 및 스트레스와 비만지표와의 상관관계. 한방비만학회지 11(1): 15-24, 2011
  27. Kyrou I, Tsigos C: Stress mechanisms and metabolic complications. Horm Metab Res 39(6): 430-438, 2007. https://doi.org/10.1055/s-2007-981462
  28. 김지현, 심인섭: 스트레스와 복부비만.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news 6: 8-14, 2007.
  29. Vettore MV et al.: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anxiety with chronic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30(5): 394-402, 2003. https://doi.org/10.1034/j.1600-051X.2003.10271.x
  30. Spiegel K et al.: Brie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11): 846-850, 2004. https://doi.org/10.7326/0003-4819-141-11-200412070-00008
  31. Taheri S et al.: Short sleep duration in associated with reduced leptin, elevated ghrelin, and increased body mass index. PLoS Med 1(3): e62, 2004. https://doi.org/10.1371/journal.pmed.0010062
  32. 옥선명 등: 성인여성에서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관련성. 대한비만학회지 17(3): 110-116, 2008.
  33. Khader YS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obesity among adults in Jordan. J Clin Periodontol 36(1): 18-24, 2009.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8.01345.x
  34. Nibali L et al : Severe periodontitis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and a dysmetabolic status: a casecontrol study. J Clin Periodontol 34(11): 931-937, 2007.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7.0113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