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cre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nongovernment -

농촌지역 전원주거단지 정주 실태 및 입주자 만족도 분석 - 전원마을조성사업지구와 일반전원주거단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Cho, Young-Jae (Dept. of Rural & Agricultural Research,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Cho, Eun-Jung (Dept. of R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
  • 조영재 (충남발전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
  • 조은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6.0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licy issues and direction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by analyzing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10 sub-urban residential complexes in Chungnam Province were surveyed for general situation, phys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atisfac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is more higher in case of the complex created by the public organization. 2)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terminant of the settlement, while the economic environment have a relatively lower impact. 3) The residents community is the more active, the satisfaction in the social environment is the more improved. 4) The source of income or the activity of consumption doesn't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in the economic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re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policy were suggested. First, the various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attract city dwellers. Second, the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has to consider residential preference fact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r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idents community should be activated and especially the activation of community with residents in other village is very important.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10,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7(4), 743-771.
  2. 강방훈, 김은자, 윤순덕, 김상범, 윤희정, 2009, 전원 마을조성사업 평가항목 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469-479.
  3. 구동회, 1999, 전원주택의 출현과 입지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4(2), 193-208.
  4. 구동회, 1998, 대도시 주민의 도시탈출 이주과정 - 수도권 전원주택 거주자를 사례로, 도시연구, v.4, 141-155.
  5. 구동회, 1998,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주과정과 생활 양식, 공간과 사회, v.10, 187-203.
  6. 김갑열, 2000, 전원주택 입지요인과 시장분석, 지역개발연구, v.8, 109-123.
  7. 김성희, 김신원, 2002, 원삼면 전원주택단지 기본계획, 농촌계획, 8(3), 49-57.
  8. 김영환, 박재평, 2009, 전원마을조성계획의 내용 및 방향에 관한 연구 - 보령죽림지구 전원마을조성사업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31(1), 127-142.
  9. 김정섭, 김광수, 2011, 귀농.귀촌 동향과 지역의 대응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김충묵, 설주원, 2007, 단지형 전원주택개발에 관한 연구 - 전원주택개발법규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7(1), 103-134.
  11. 농림부 농촌정책과, 1999, 문화마을조성사업 추진계획(내부자료).
  12. 농업기반공사, 2002, 문화마을조성사업 친환경 계획 설계 업무편람.
  13. 박경옥, 이상운, 류현수, 홍옥선, 이연선, 리웨이쟈, 2011,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공동체마을의 개발 특성,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v.1 (춘계), 176-181.
  14. 박공주, 김양희, 박정윤, 2007,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15. 박공주, 윤순덕, 강경하,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12(4), 63-76.
  16. 배상욱, 공희숙, 이만희, 2005, 전원주택 마케팅 믹스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수도권과 부산.경남권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18(5), 1931-1955.
  17. 백호진, 정상국, 2008, 전원마을의 입지선정평가에 관한 연구 - 풍수지리측면에서, 부동산학연구, 14 (2), 75-96.
  18. 서인국, 2010, 전원마을조성사업 실무를 통한 문제 점 및 성공요인 분석, 한국농촌건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19. 엄붕훈, 우형택, 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 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1), 64-78.
  20. 옥한석, 박우평, 2002, 북한강 유역에 있어서 경관 풍수에 의한 전원주택 후보지의 선정, 사진지리, v.13, 59-72.
  21. 이상호, 2008, 경북지역 귀농인의 지역 및 지역주민과의 만족도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5(3), 551-565.
  22. 장익근, 2007, 전원마을조성사업 추진과 한국농촌공사의 역할 - 자체수익사업과 연계한 전원마을조성사업 추진방향, 농어촌과 환경, v.94, 43-51.
  23. 정종술, 김강섭, 강병환, 이상정, 2010, 전원마을조성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2), 125-133.
  24. 조영재, 장동호, 윤진옥, 박지혜, 2010, 도시근교 농촌지역의 실태 및 계획과제 - 충남 아산시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기본연구 2010-06.
  2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농업전망 2011.
  26. 한국농촌공사, 2006, 전원마을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27. 한석종, 강만호, 손승광, 주석중, 2011, 농촌이주를 고려한 농촌마을개발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원마을 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3(1), 63-70.
  28. 홍정기, 이관규, 2010, 도시와 전원 거주자의 자연 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차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1), 103-111.

Cited by

  1. An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by Rural Area Types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65
  2. 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ttlement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Rural Residents - Focusing on Jeollabukdo -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055
  3. A Study on the Depopulation Village Improved Settlement Environment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91
  4.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the Settlement and the Community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 Focused in Chungnam Province -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