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teaching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Received : 2012.01.22
  • Accepted : 2012.04.03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As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teaching, this study deeply investigated the change processes in the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 selected two beginning teachers whose teaching careers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less than five years. The teachers planned, performed, and reflected together their science instructions for secondary science-gifted students during nine class hours over three times. We observed coteaching of science instructions of the teachers, and analyzed the taped videos, the materials, the transcripts for discussions between them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ir reflective journal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teaching positively changed the two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the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the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 science contents although there were some limit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teaching will be useful in improving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finding the ways to use it effectively in science-gifted education.

이 연구는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로, 그 변화 과정을 PCK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했다. 과학영재교육 경력이 5년 미만인 초임 교사 2인을 선정하여 총 3회에 걸친 9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공동으로 계획, 진행, 반성하도록 했다. 두 교사들의 모든 코티칭 수업을 참관했고, 수업 촬영 동영상과 수업 자료, 대화 및 면담 전사본, 반성일지, 관찰노트 등을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다소 제한되기는 했지만 코티칭 경험을 통해 두 교사들의 과학영재 교육과정, 과학영재 교수전략, 과학영재교육평가, 과학영재학생, 과학내용에 관한 실천적 지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에서 코티칭이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제고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2.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3.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4. 남미애 (2010). 초등과학 영재교육 학습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 (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6.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7.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9. 배미정, 김희백 (2010).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12-428.
  10. 서혜애, 박경희 (2005).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159-180.
  11.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2. 손영완, 최도성 (2010). 초등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68-93.
  13.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4. 윤지현, 노태희, 한재영 (2008). 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9-168.
  15.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6. 이해명 (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7. 정금순, 강훈식 (2011).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39-255.
  18.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19. 한재영 (2008). 코티칭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2(4), 404-411.
  20. 한재영, 윤지현 (2009).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수업 과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1), 152-163.
  21.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22. Eick, C. J., Ware, F. N., & Jones, M. T. (2004). Coteaching in a secondary science methods course: Learning through a coteaching model that supports early teacher practi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5(3), 197-209. https://doi.org/10.1023/B:JSTE.0000047085.44417.c2
  23. Gilbert, J. K., & Newberry, M. (2007).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exceptionally able in science. In K. S. Taber (Ed.),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pp. 15-31). London: Routledge.
  24. Hashweh, M. Z.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 273-292. https://doi.org/10.1080/13450600500105502
  25.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6.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27. Park, S., & Oliver, J. S. (2009). The transla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gifted students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4), 333-351. https://doi.org/10.1007/s10972-009-9138-7
  28. Roth, W.-M., & Tobin, K. (2005). Coteaching: From praxis to theory. In W.-M. Roth, & K. Tobin (Eds.),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pp. 5-26). New York: Peter Lang.
  29. Roth W.-M., Tobin, K., Carambo, C., & Dalland, C. (2004). Coteaching: Creating resources for learning and learning to teach chemistry in urban high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882-904. https://doi.org/10.1002/tea.20030
  30. Stansbury, K., & Zimmerman, J. (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San Francisco, CA: WestED.
  3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32. Tobin, K. (2006). Learning to teach through coteaching and cogenerative dialogue. Teaching Education, 17(2), 133-142. https://doi.org/10.1080/10476210600680358
  33. Tobin, K., Roth, W.-M., & Zimmermann, A. (2001).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urban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8), 941-964. https://doi.org/10.1002/tea.1040

Cited by

  1. A 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monstration of STEAM Lessons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665
  2.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vol.33,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73
  3.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21
  4.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70
  5. 중등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vol.36,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5.0769
  6. 해결자·청취자 활동이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vol.37, pp.3,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