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tracting the Core Input and Output Variables in Construction Company using DEA and PCA

DEA와 PCA를 이용한 건설기업의 핵심 투입-산출변수 추출에 관한 연구

  • 이경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정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2.02.24
  • Accepted : 2012.06.29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ecentl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unsold houses in Korea are construction companies to assess their efficienc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nalyzing the efficiency of a company is the input-output variable. However, systematic stud the core input-output variable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fficiency analysis. Thus, to the core input-output variables for efficiency analysis of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propose a model that includes all combinations of input-output variables and to find the core input-output variable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Existing research and theories were studied variables and 21 models were established to measure efficiency. were obtained that the core input and output variable in 2006 the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For 2008, the core input variable was capital stock and the core output variable was quarterly net profit. For 2010, the core input variable was fixed asset and the core output variable was sales. Through obtaining the variables that greatly affect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companies, it is considered that individual construction companies will be able to prepare a priority strategy to enhance efficiency.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미분양 주택의 증가 등으로 인해 건설기업의 효율성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기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시 가장 중요한 것은 효율성 측정에 사용된 투입-산출변수이다. 하지만 건설기업의 효율성 분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투입-산출변수를 추출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핵심 투입-산출변수를 추출을 위해 투입-산출변수 별로 모든 조합을 제시한 모형을 제시하고 DEA모형과 PCA분석을 통하여 건설기업의 효율성을 분석에 중요한 요소인 투입-산출변수를 추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 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하고, 효율성 측정을 위한 변수 및 21개 모형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효율성 및 PCA분석을 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적인 투입 및 산출변수는 2006년의 경우 투입변수는 종업원수, 산출변수는 매출액, 2008년의 경우 투입변수는 자본금, 산출변수는 당기순이익, 2010년의 경우 투입변수는 고정자산, 산출변수는 매출액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업 효율성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 추출을 통해 개별 건설기업들이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한 중점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건식 (2005). "외환위기 이후 국내건설회사의 효율성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1호, pp. 151-161
  2. 김종기.강다연(2008).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아파트 건설 기업(상장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8권 제7호, pp. 201-207
  3. 박만희(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
  4. 서광규.최다영 (2011). "AHP와 DEA 결합모델을 이용한 상장 건설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11권 제6호, pp. 302-310
  5. 오동일 (2010). "의료기관평가의 유용성 증대를 위한 AHP와 DEA_AR 기반의 효율성 분석 모델 구축",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집, 제11권 제7호, pp. 2406-2419
  6. 이규상 (2011). "DEA/Window모형을 이용한 국내 건설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형록.김경훈.김재준 (2009). "EnPAS를 이용한 철골공사 DEA적용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pp. 251-254
  8. 이형록.문성곤.김상기.김경환.김재준 (2010). "DEA 기법을 이용한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건설업체 운영효율성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6권 제5호, pp. 125-132
  9. 임성묵 (2009). "DEA에서 투입?산출요소선택방법", 대한산업공학회 논문집, 제22권 제1호, pp. 44-55
  10. 장현승(2007). "해외 건설시장 확대를 위한 국내 주요업체의 내부역량 진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1. 지홍민.유태우(2003). "외환위기를 전후한 상장건설회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논문집, 제32권 제3호, pp. 809-833
  12.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 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pp.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3.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 pp.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4. Cinca, C. S. and Molinero, C. M. (2003). "PCA as a Tool for the Selection of Inputs and Output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27 Congress Nacional de Estadistica e Investigation Operativa, pp. 1-14
  15. Robert N. A. and John D. (1980). "Management Control Systems", Richard D Irwin Inc, p.8

Cited by

  1. Education Efficiency Analysis of Architectural Design Firms Using a Combined AHP and DEA Model vol.14, pp.3,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078
  2. A Survey of DEA Applications in Measuring the Efficiency Performance of Construction Organizations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