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educators vs, non-educators designed to improve dental radiographic quality control - Focusing on theories of dental radiographic and practical training an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

치과방사선 질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자 대비 비교육자 비교연구 - 치과방사선학 이론 및 실습교육과 임상실습교육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9.19
  • Accepted : 2012.10.16
  • Published : 2012.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e students of the quality assurance of dental radiation such quality assurance and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in an effort to accelerate the preparation of a curriculum for systematic quality-assur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3 dental hygien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ental radiography courses. Var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es, reliability, chi-square,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12.0. Scheffe test was also used after one-way ANOVA as post-hoc tests. Results showed that (a) the students' acknowledge level of Radiographic Quality Assurance was $7.71{\pm}1.7$ out of 12 on average. The more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students took, the higher points they got (p<0.001); (b) Most of the students experienced 1-3 lessons out of 13 in practical training and 26.3% of students did not take any practical lesson. ;(c)Students who did not take any practical training got 7.20 points out of 13, students who took 1-3 lessons got 7.84 points out of 13, students who took 4-5 lessons got 7.87 points out of 13, and students who took more than 6 lessons got 8.14 points out of 13 on average. The more practical classes they took the higher acknowledge level they were. Therefore it needs to provide adequate practical lessons to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치과방사선 장비 및 물품의 질관리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방사선 질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실습 교육정도를 조사하여 치과위생사 양성과정에서의 체계적인 방사선 질관리와 관련된 교육과정 개설 및 개편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치위생 전공 학생 중 치과방사선 과목을 수강한 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가능한 자료를 SPSS 1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변인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후 사후검정으로 scheffe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방사선 질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12점 만점 중 평균 $7.71{\pm}1.7$점으로 나타났으며 치과방사선 교과목 이수 시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을 받을수록,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둘째, 방사선 질관리에 대한 임상실습교육 수준은 13개 항목 중 1~3개를 경험한 학생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을 전혀 받지 않은 학생도 26.3%로 조사되어 방사선 질관리에 관한 적절한 실습교육을 위탁교육기관에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방사선 질관리에 대한 실습교육 13개 항목중 질관리 실습을 전혀 경험하지 못한 사람의 정답 문항 수는 평균 7.20개, 1~3개 항목을 교육받은 사람의 정답 문항수는 평균 7.84개, 4~5개 항목을 교육받은 사람의 정답 문항수는 평균 7.87개, 6개 이상 항목을 교육받은 사람의 정답 문항수는 8.14개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기간 중 질관리 관련 교육 경험수가 많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6항. 대통령령 제22075호(개정 2010.3.15).
  2. Vassileva J, Stoyanov D, "Quality control and patient dosimetry in dental cone beam CT. Radiat Prot Dosimetry", Vol. 139, No. 1-3, pp.310-312, 2010. https://doi.org/10.1093/rpd/ncq011
  3. Espelid I, Mejàre I, Weerheijm K, "EAPD guidelines for use of radiographs in children", Eur J Paediatr Dent, Vol. 4, No. 1, pp.40-48, 2003.
  4. 김희경, 김혜영, 박지일, 임희정, 홍수민, "일부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질관리에 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 34, No. 2, pp.273-281, 2010.
  5.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 Radiation Protection in Dentistry: (Report No. 145). "Maryland: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 pp.25-27, 2003.
  6. 이재서, 강병철, 윤숙자, "치과 방사선 촬영기의 표면선량 변화",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Vol. 35, No. 2, pp.87-90, 2005.
  7. 백창무, 채수인, 김정구. "방사선(학)과 학생 임상실습에 따른 스트레스 특성",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6, No 4, pp.291-298, 2012. https://doi.org/10.7742/jksr.2012.6.4.291
  8. 정원균, 한경순, 유자혜, 김남희, 장선옥, 김해선 외 1인, "구강방사선학 원리와 임상", 제3판, 서울:대한나래출판사, pp.111-119, 2009.
  9.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과학연구소, "구강영상학 제1판", 서울:고문사, pp.38-39, 2009.
  10. 강재경, "구강진단용 방사선의 이용실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치과연구, Vol. 30, No. 4, pp.67-77, 1991.
  11. 최영숙, 김진경, 장종화, 박용덕,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촬영업무의 확대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 Vol. 9, No. 2, pp.111-124, 2009.
  12. Farman AG, Parks ET. "Radiation safety and quality assurance in US dental hygiene programs, 1990". Dentomaxillofac Radiol , Vol. 20, No. 3, pp.152-154, 1991. https://doi.org/10.1259/dmfr.20.3.1807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