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ttlement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Rural Residents - Focusing on Jeollabukdo -

농촌주민의 정주여건 인식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 전라북도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

  • 지남석 (인천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부) ;
  • 이창우 (전북발전연구원 새만금지역개발연구부)
  • Received : 2013.10.14
  • Accepted : 2013.11.18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of the living environment for rural residen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re as. Jeollabukdo rural residents survey and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utilizes improvement of rural environment and living conditions were discuss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ural residents use the facility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economic burden, there was a tendency to recognize the important, good natural environment or their children / relatives for the distance was a low awareness. Second, the location and land a job for men, the women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inclination showed less than 50 age group showed higher awareness. Third,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of residents' satisfaction with 3.544,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village life showed a high propensity men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women. Finally,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tability and economic awareness of a higher living environment was found that high satisfaction. These findings further improve the rural environment, improve satisfaction in that you can plan the basis for an effective strategy can be. More sustainable in the future, including the analysis of various parameters in progress by being linked to policy measures that will be provided.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성, 2012,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정주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양포마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0(3): 47-59.
  2. 김득희, 황경열, 1998, 농촌과 도시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 만족도, 건강상태간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연구 제21권: 95-126.
  3. 김명숙, 200), 농촌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46-157.
  4. 김소희, 2009,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1): 117-142.
  5. 농림축산식품부 www.mafra.go.kr
  6. 문승태, 2008, 농촌주민들의 영농 유형 및 규모와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4): 145-163.
  7. 박순미, 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노인복지연구 통권 47: 137-160.
  8. 박윤호,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계획수립지침개발연구(1),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9. 박진도외, 2005, 농촌개발정책의 재구성, 한울아카데미
  10. 배연정 외, 2013, 농촌마을 정주환경분석을 통한 과소화마을 임계규모 결정지표 개발, 농촌계획 19(1): 109-122.
  11. 송미령, 박주영, 2004,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체계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오승환, 윤동성,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 복지연구 2006 여름호 통권 21호: 119-147.
  13. 이성근, 정시희, 2008,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3(2): 13-36.
  14. 이성우, 2006, 우리나라 농촌지역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농천연구센터 제155회 정기 월례 세미나 주제 발표논문
  15. 이장영, 2009, 도시와 농촌의 여가와 생활 만족도 비교, 사회과학연구 통권 21호:113-132.
  16. 이정환 외, 1990, 농촌생활환경정비와 면단위 정주권 개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이창우, 2013, 농어촌 과소화마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전북발전연구원
  18. 이창우, 지남석, 2013,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귀농.귀촌자의 주거안정 관점에서, 농촌계획 19(3): 169-182. https://doi.org/10.7851/ksrp.2013.19.3.169
  19. 정현숙, 2010, 미혼남성농업인의 생활특성과 농촌생활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1-30.
  20. 조영재, 조은정, 2012, 농촌지역 전원주거단지 정주실태 및 입주자 만족도 분석, 농촌계획 18(2): 13-26. https://doi.org/10.7851/ksrp.2012.18.2.013
  21. 지남석, 임병호, 2013,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비교 및 상관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4): 33-51.
  22. 최윤지, 황정임, 2010, 농촌 주민의 생활환경 및 사회서비스 만족도, 한국농촌지도학회지 농촌지도와 개발 17(4): 685-216.
  23. 통계청 http://kostat.go.kr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5. 황홍도, 1991, 경남낙후농촌지역의 개발전략, 경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6. 황홍도, 이동현, 2007, 낙후농촌정주권개발을 위한 농촌정주생활여건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1(4):79-89.

Cited by

  1. A Study on the Depopulation Village Improved Settlement Environment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91
  2. An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by Rural Area Types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65
  3. An Analysis of Satisfaction in the Rural Settlement of Returning Farmers vol.25, pp.3,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3.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