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Imag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 Received : 2013.11.18
  • Accepted : 2013.12.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ag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in drawing images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among the students who have taken STEAM class and the ones who haven't. One hundred and eighty seven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with a brief explanation. Based on students' pictures, researchers categorized their perception about convergence and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by using an inductive method. The result indicated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were categorized into convergence as individual cognitive processing and collective cognitive processing and convergence as outcomes. The image of the convergence in a talented person leaning toward individual cognitive processing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ven types: idea banker type, various talented celebrity type, multi-tasking master type, multi-talented career type, active problem-solver type, creative developer type, and unrealistic ideal man type. Another image of collective cognitive processing was split into expert group type and interactive-mates group type. The other image was transformer type which is the subcategory of convergence as outcomes. From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express the various images of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depending on experiencing STEAM or no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유형으로 형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 융합인재 이미지 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중등학생 187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적도록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중등학생들의 '융합' 및 '융합인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인식은 크게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산물로서의 융합'으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유형으로 '두뇌수준 사고융합형', '누구나 아는 유명 인사형', 생활의 달인형', '다양한 직업인형', '문제해결자형', '창조적 개발자형', '실존하지 않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었으며,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로는 '전문가 집단형'과 '학생 집단형'이 있었고, '산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에는 '단순 융합체형'이 나타났다. 중등학생들은 융합인재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2.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2012). 융합인재교육 (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3. 김세미, 김은진, 김성원(2013). 집단지성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과학지식 형성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963-980.
  4. 김현영, 박수경, 김영민(2012).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64-81.
  5. 박상욱(2012). 융합은 얼마나: 이론상의 가능성과 실천상의 장벽에 관하여. 홍성욱(편). 융합이란 무엇인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6. 박성진, 유병길(2013). 과학 기반 STEAM에 의한'빛'단원 학습이 과학 학습 동기, 흥미 및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3), 225-238.
  7. 방담이, 박은미, 윤회정, 김지영, 이윤하, 박지은, 송주연, 동효관, 심병주, 임희준, 이현숙(2013).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형 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1041-1054.
  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9. 서동인(2012). 융합연구를 경험한 과학 및 과학기술자의 교역지대 교류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손연아(2012).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과 예술 융합 수업 준비와 시연과정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 생물교육, 40(4), 475-493.
  11. 양미경(2010).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8(4), 1-30.
  12. 오필석, 이선경, 김찬종(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13. 유은정, 이선경, 오필석, 신명경, 김찬종(2008). 중등 과학 수업의 참여구조 사례 연구: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 의 형성 가능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03-617.
  14. 이성희(2013). 스마트러닝 기반의 생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등과학교육, 32(3), 250-259.
  15.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2008). 초.중.고 학생과 예비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1-8.
  16. 조상식(2002). 현상학과 교육학. 서울: 원미사.
  17. 조향숙, 김훈, 허준영(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 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이슈페이퍼(OR 2012-02-02).
  18. 최영미, 홍승호(2013). 초등과학'작은 생물의 세계'단원에 대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과학교육, 32(3), 361-377.
  19. 홍성욱(2008).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융합시대의 과학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 홍성욱(2011). 성공하는 융합, 실패하는 융합. 홍성욱(편).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 사이언스북스.
  21. Bhabha, H. K. (1994). The Location of Culture. London, UK: Routledge.
  22. Wallace, C. S. (2004). Framing new research in science literacy and language use: Authenticity, multiple discourses, and the “Third Space”. Science Education, 88(6), 901-914. https://doi.org/10.1002/sce.20024
  23.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and Children, 7(2), 255-265.
  24. Collins, H. (2004). Interactional expertise as a third kinds of knowledge.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3, 125-143. https://doi.org/10.1023/B:PHEN.0000040824.89221.1a
  25. Collins, H., Evans, R., Gorman, M. (2007). Trading zones and interactional expertise.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38, 657-666. https://doi.org/10.1016/j.shpsa.2007.09.003
  26. Galison, P. (1997). Image & Logic: A material culture of microphys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Kim, H. S. (2012). Climate change, science and communi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21(3), 268-285. https://doi.org/10.1177/0963662511421711
  28. Mills, C. W. (1956). The Power Elit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9. Narayan,R., Park, S., Peker, D., & Suh, J. (2013). Students' Images of Scientists and Doing Scien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2013, 9(2), 115-129. https://doi.org/10.12973/eurasia.2013.923a
  30. Stohr, K. (2003). A multicentre collaboration to investigate the cause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The Lancet, 361, 1730-1733.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3376-4
  31. Surowiecki, J. (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New York: Doubleday.
  32.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33. van der Veen, J. (2012). Draw Your Physics Homework? Art as a Path to Understanding in Physics Teach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9(2), 356-407. https://doi.org/10.3102/0002831211435521
  34. Yue, X. D., Bender, M., & Cheung, C. K. (2011). Who are the best-known national and foreign creator? A comparative study among undergraduates in China and German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5, 23-37. https://doi.org/10.1002/j.2162-6057.2011.tb01082.x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23
  2.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vol.25, pp.2, 2013, https://doi.org/10.9722/jgte.2015.25.2.195
  3.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OS(History of Science) Cases as a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8, pp.4, 2013, https://doi.org/10.17965/kjee.2015.28.4.242
  4. 인공지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미지 탐색 vol.37, pp.2,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8.37.2.126
  5. A review of the effect of integrated STEM or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vol.5, pp.1, 2013, https://doi.org/10.1186/s41029-019-0034-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