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 Participating in Peer Coaching Meetings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 Received : 2012.10.02
  • Accepted : 2013.02.0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rocess of experience that science teachers go through when participating in peer coaching meetings to improve teaching ability and to find out factors that affect each process of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cording of peer coaching meetings, videotapes of science class, and interviews. All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ven though Teacher K broke the ice and formed consensus among the peers by developing Content Representation (CoRe) at the beginning of the meetings, he became self-defensive rather than receptive of peers' opinions on the recorded class at the discussion session. But as the peer coaching went on, he realized that peer coaching was not about evaluation but rather on improving his teaching ability. In turn, he was able to look at his teaching in a more objective point of view and accepted suggestions from peer coaching discussion. The self-reflection of Teacher K acted as the key factor in the efforts to improve his teaching ability. He sought the concrete alternatives through the class analysis with fellow teachers and showed major changes in his teaching practice from the language habits, pronunciation, and speed of his speech to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class design. However, there was little change in knowledge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due to his strong orientation to improve students' grades as an academic high school teacher. Likewise, it was found that while peer coaching exert a strong influence on instruc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of Teacher K, his strong orientation to improve students' grades hinders a balanced development of subcomponents of PCK.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개선을 위해 동료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가 어떤 경험 과정을 거치는지 탐색하고, 각 경험 과정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동료장학 모임 과정 녹음과 수업 촬영,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를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 교사는 동료장학 모임 초반, CoRe를 개발하면서 동료교사들과의 어색함을 깨고 동료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였으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논의에서 동료교사들의 논의를 수용하기 보다는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동료장학이 점차 진행되면서 자신의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 다른 참여교사의 수업에 대한 논의, 동료장학이 수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개선하려는 것이라는 인식을 통해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통해 동료장학 모임에서 나온 논의를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K 교사의 반성적 성찰은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는데, 그는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면서, 사소한 언어 습관이나 말의 속도, 발음에서부터 학생과의 상호작용, 수업의 구조화까지 교수 실행에 큰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나 평가에 관한 지식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그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강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동료장학은 K교사의 교수 방법이나 전략에는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견고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이 PCK 하위 요소의 균형 있는 발달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례.남정희.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2. 곽영순(2007).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의 이론과 실제. 열린교육실행연구, 10, 81-114.
  3.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4. 교육인적자원부(2005).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도기(2005). 컨설팅장학에 관한 실행연구.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6. 김정한(2003). 장학론: 이론.연구.실제. 서울: 학지사.
  7. 김지영(2005). 초등학교 동료장학 활성화를 위한 교사간 협력 방안 연구.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서울 교육대학원.
  8. 노태희.김희백.김영희.성을선.홍정림(2003). 고등학교 과학 이수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50-659.
  9. 박영석(2005). 수업 장학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사회과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0. 성숙경(2010).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07-123.
  11. 이신영(2009). 생물수업에서 나타난 수업 중 반성과 수업 후 반성의 수준별 차이와 PCK 변화. 교육학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2. 이재덕(2008).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기법의 특징과 활용방안. 초등교육연구, 21(2), 307-332.
  13. 임청환(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35-249.
  14. 장효순.최병순(2010).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70-885.
  15. 정유정(2010).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의 의미 탐색.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6. 주삼환(1998). 학내 동료장학 방법. 교육발전논총, 20(1), 47-65.
  17.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Traditions.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역)(2005).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학지사.
  18. Gess-Newsome, J. (1999a).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3-17).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Gess-Newsome, J. (1999b).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51-9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Lederman, N. G., & Gess-Newsome, J. (1999). Reconceptualiz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educ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199-213).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Lee, E. (2007). Literature Revi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pecialized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8), 699- 710.
  22. Lee, E. & Luft, J. A. (2008).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represent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343- 1363.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58
  23.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Publishers.
  25.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26.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7. Van Driel, J. H., Beijaard, D. (2003). Enhanc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collegial interaction, Chapter 6 in Wallace, J. and Loughran, J. (Eds),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Education: New possibilities for enhancing teacher learning (pp. 99-115). Routledge Falmer: London.
  28.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37::AID-TEA1001>3.0.CO;2-U
  29.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30. Veal, W. R., Tippins, D. J., & Bell, J. (1998). The evolu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ospective secondary physics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an Diego, CA.

Cited by

  1.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on Their Practice Teaching vol.57, pp.6,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3.57.6.830
  2.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Content Representation)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PCK 특징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