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alysis of Remodeling Target Institution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라키비움 공간기획을 위한 리모델링 대상 기관의 현황 분석 연구

  • 최영실 (브로드콘 에이치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실,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3.05.20
  • Accepted : 2013.06.20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re are increasing needs for complex information services for user of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recently. And the concept of "Larchiveum", merging of functions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s suggested in United States and researches associated with this concept are progressed on Korean information science. At present, however, the larchiveum has not been materialized, and hence researches focus on theoretical framework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s plans for an analysis with planning of institutions that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are remodeled into larchiveum. Methodologically, the research processes of existing larchiveum spatial planning are specified. More realistic implementing measures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are suggested through utilization of related law & guidelines as analysis tools.

최근 문화유산기관에 대한 이용 요구가 복합화 되어 가는 가운데 미국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이후 국내 정보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유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라키비움은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구현되지 않은 기관이므로 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 또한 이론적인 전개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을 대상으로 라키비움 리모델링에 필요한 기관 현황 분석 활동 계획을 수립하였다. 방법적으로는 기존 라키비움 공간기획 연구의 절차를 정밀화하였고 분석 도구로는 관련 법률과 지침 등을 활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라키비움 공간기획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축법 (법률 제11763호).
  2. 건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4568호).
  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690호).
  4.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4425호).
  5. 국가기록원 (2011). 기록관 및 특수기록관의 시설.장비 및 환경 기준. 서울: 국가기록원.
  6. 국립국악원 (2010). 국악아카이브 구축 전략 수립 연구. 서울: 국립국악원.
  7. 국립예술자료원 (2010). 예술자료관리 전문화 방안 연구. 서울: 국립예술자료원.
  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798호).
  9. 국회도서관 (2010). 의정활동 관련 기록 통합관리 기본계획 수립. 서울: 국회도서관.
  10. 기후과학연구단 (2010). 한반도 기상역사기록 발굴연구회. 서울: (재)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
  11. 김기태 (2008. 8. 10). '일단 짓고보자'... 콘텐츠없는 박물관 난립. 한겨레신문.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303371.html
  12. 김유승 (2012a). 문화유산기관의 협력정책에 관한 연구: 국회 라키비움에 대한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97-116.
  13. 김유승 (2012b).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대한 연구: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93-115.
  14. 도서관법 (법률 제11310호).
  15. 도서관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4453호).
  16.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2010). 라이브러리파크 공간구성 및 전시개념설계: 아시아문화정보원 상세업무프로세스 및 매뉴얼 개발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17.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설립.운영전략 매뉴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8. 문화체육관광부 (2011a). 2011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9. 문화체육관광부 (2011b). 공립박물관 운영실태 조사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0.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법률 제10367호).
  21.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3759호).
  22. 박신의 (2009). 한국의 박물관 건립 현황 분석에 따른 박물관 건립 계획(Museum Planning)의 필요성. 문화정책논총, 22, 151-172.
  23. 병무청 (2010). 병무행정기록전시관 스토리보드 연구. 서울: 병무청.
  24. 신숙영 (2001). 박물관 건립 프로젝트에서의 '프로그래밍'의 이론과 실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5. 윤병화 (2012).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학. 파주: 예문사.
  26. 윤희윤 (2008). 대학도서관경영론. 대구: 태일사.
  27. 이소연 (2012). 함께 만드는 미래: 디지털 융합과 문화유산기관의 협력. 정보관리학회지, 29(3), 235-256.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235
  28. 장지혜 (2009). 한국의 박물관 건립 과정 실태와 개선방안: 뮤지엄 플래닝 적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9. 장혜란, 이명희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321-338. http://dx.doi.org/10.3743/KOSIM.2008.25.3.321
  30. 전홍필 (2005). 公共圖書館 建築프로그래밍의 構成體系에 關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31. 전홍필 (2009). 아카이브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32. 정부청사관리규정시행규칙 (안전행정부령 제1호).
  33. 조정임 (2011).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34. 최영실 (2012a).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2(2), 53-80.
  35. 최영실 (2012b).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기획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36. 최영실, 이해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
  37. 통계청 등록 박물관/미술관 현황.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640
  38.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8). 친일반민족관련 사료관 건립과 운영방안 연구.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39.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편람 편찬위원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40.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41. 한국행정학회 (2007). 국가기록박물관 건립방안. 서울: 한국행정학회.
  42. 한희정, 김용 (2010).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193-217.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4.193
  43. 행정안전부 (2007). 대통령기록관 설치.운영 방안. 서울: 행정안전부.
  44. Ambrose, T., & Paine, C. (1993). Museum basics. 이보아 역 (2001). 실무자를 위한 박물관 경영 핸드북. 서울: 학고재.
  45. Lord, G. D., & Lord, B. L. (2001). Manual of museum planning (2nd ed.). Lanham: AltaMira Press.
  46.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3). ISO 11799-Document storage requirements for archives and library materials.
  47. Kuzyk, R. (2008, July 30). LJ talks to Megan Winget, who studies preservation of online games. Library Journal, Retrieved from http://www.libraryjournal.com/article/CA6582968.html
  48. Marty, P. F. (2009). An introduction to digital convergence: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e information age.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4(4), 295-298. https://doi.org/10.1080/09647770903314688
  49. NARA (2007). Architecture and design standard for presidential libraries - Supplement to NARA 1571.
  50. Rayward, W. B. (1998). Electronic information and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In Higgs (Ed.), History and electronic artefacts (pp. 207-226). Oxford: Clarendon Press.
  51. Yarrow, A., Clubb, B., & Draper, J-L. (2008). Public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Trends in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IFLA Headquarters, IFLA Professional Reports No. 108. Retrieved from http://www.ifla.org/files/assets/public-libraries/publications/prof-report-108/108-en.pdf
  52. Zorich, D. M., Waibel, G., & Erway, R. (2008). Beyond the silos of the LAMs: 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OCLC Programs and Research. Dublin, Ohio: OCLC Research. Retrieved from http://www.oclc.org/content/dam/research/publications/library/2008/2008-05.pdf

Cited by

  1.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Larchiveum in a Small University vol.14, pp.4, 20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