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the Weights of Country Risk by Participants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건설사업 참여주체 별 해외건설공사 국가리스크 핵심요인 도출 및 비교분석

  • 안병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김진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2.11.23
  • Accepted : 2013.01.09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activation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n the long term. In recent years Public construction contract as well as design, engineering, construction management(CM) are gradually expanding into other countries, but risk analysis cases in the field are slight. In this study, We utilized PI scale and drew a conclusion about the importance of overseas risk by participants. We compared its features from the risk factor based on Risk Matrix. As a result of this study total of 6 section 31 Country Risk factors for the importance of overseas risk by participants were drawn, and the key risk factors (17 constructor, 14 designers, 17 CMr) based on Risk Matrix were derived. By uti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isk management strategy to meet each business and planning evaluation model.

정부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건설사업의 활성화와 수주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 도급공사 뿐만 아니라, 설계 및 엔지니어링, 건설사업관리(CM)) 사업의 해외진출 역시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해당 분야에 대한 리스크 분석 사례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주체 별 해외건설공사 리스크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하여 리스크를 계층화하고, 도출 된 리스크요인에 대하여 PI척도를 활용한 전문가 대상 설문을 실시하여 그 특징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해외건설 국가리스크를 총 6 Section, 31개의 요소로 계층화 하였고, 이를 기초로하여 참여주체 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Risk Matrix에 따라 시공사 17개, 설계사 14개, CM사 17개의 핵심리스크 요인을 선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건설사업 참여주체 별 사업 특성에 맞는 리스크관리전략 수립 및 평가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용.김예상(2012), "건설사업관리자 관점에서의 주요 사업비 초과 리스크 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12, 제13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47-155 https://doi.org/10.6106/KJCEM.2012.13.2.147
  2. 유위성.성유경.이영환 (2012), "맞춤형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모델(안) 제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이슈포커스 2012-18, pp4-5
  3. 홍화욱.한승헌(2010), "건설산업 관점의 국가리스크 평가체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토목학회
  4. 한승헌.김두연 (2006), "해외건설공사의 리스크분석에 기초한 수익성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대학토목학회논문집 Vol.26, pp.635-647
  5. 이정석.안병주.김재준(2012), "발생영역별 리스크 위계에 따른 투자개발형 해외건설사업의 핵심 리스크 인자 도출 및 평가"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13권 제 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70-79 https://doi.org/10.6106/KJCEM.2012.13.2.070
  6. 해외건설협회(2012), '해외공사 손익 분석 및 수익성 제고방안'
  7. Caltrans(2007), "Project Risk Management Handbook 2nd" pp.29-35
  8. Sedat HAN(2005), "Estimation of cost overrun risk in International Projects by using Fuzzy Set Theory" , pp.51-55
  9. 해외건설협회, "http://www.icak.or.kr"
  10. ENR, "http://enr.construction.com"

Cited by

  1.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Condition and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022
  2. A Study of Pre-assessment Framework for Business Environment for Delivering Projects in a New Overseas Market vol.16, pp.3, 2015, https://doi.org/10.6106/KJCEM.2015.16.3.078
  3. A Study on the Entry Strateg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Landscape Contractors to Vietnam by Risk Analysis in Overseas Projects vol.46, pp.6, 2018, https://doi.org/10.9715/KILA.2018.46.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