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STEAM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기술 및 공학 분야에 대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 Received : 2012.09.21
  • Accepted : 2013.05.15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science education explores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can foster students' interest toward science and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in 'STEAM leader school' and 'STEAM teacher association for research'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e analyzed the linking frequency with each of STEAM education's fields and teachers' perception for the convergence strategy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inking frequency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is lower than the field of arts and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but higher in middle and high school. 'Introduction technology contents in lives' in technology and 'crafts activity' in engineering are the most u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STEAM education. But, although 'crafts activity' is engineering's major way of learning, many teachers understand and use it as a technological teaching learn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each of STEAM education's field has a unique natur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STEAM education, we need to conside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various way.

21세기 과학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창의적 융합 사고의 신장을 위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STEAM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원하는 2011년 'STEAM 리더스쿨', 'STEAM 교사연구회'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STEAM 교육의 각 분야별 연계 빈도와 아울러 기술 및 공학 분야와의 연계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총 1,277차시, 751개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술 및 공학 분야와의 교수학습 전략 분석을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생활 속 관련 내용 소개', '원리 이해 및 적용', '구상 및 설계' 등의 공통 전략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기술 및 공학의 연계 빈도는 초등학교의 경우 예술 및 수학 분야보다 낮았으며, 중 고등학교로 갈수록 연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술 분야와의 연계 전략으로는 '생활 속 기술 내용 소개', 공학 분야의 경우는 '공작 활동'이 가장 많은 교수학습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공작 활동'의 경우 공학의 주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사들이 기술적인 내용으로 이해하며 학습 전략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STEAM 교육이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내용 중심적인 연계에서 나아가 각 분야의 본성과 교육적 함의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적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깊은 고찰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2.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3. 권난주, 나상훈 (2012). 초등학교 융합 과학 교육 도입을 위한 국내외 융합 과학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국립과천과학관, 2월 3일.한국과학교육학회.
  4. 김경순, 신석진, 임희준, 노태희 (2008).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90-900.
  5. 김성원 (2011). 과학교육에서의 창의.인성과 STEAM융합교육.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교원대학교, 8월 9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6.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피라미드 모형과 큐빅 모형.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교원대학교, 8월 9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7. 김현영, 박수경, 김영민 (2012).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64-81.
  8. 박도영 (2011). 미국 과학교육의 동향- STEM education as a reformative engine in the United States.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춘천교육대학교, 8월 5일.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9. 박인호 (2011). 창의적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초.중등 과학교육 정책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경북대학교, 8월 16일. 한국과학교육학회.
  10.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연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2-12.
  11. 서혜애 (2011). 과학영재교육의 발전 배경과 과학적 소양 및 과학적 창의성 논의에 근거한 과학교육 및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경북대학교, 8월 16일. 한국과학교육학회.
  12. 이효녕, 박경숙 (2010).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자와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6(4), 61-82.
  13. 조재주, 최유현, 이소이, 김연진 (2011).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210-227.
  14. 조향숙 (2012). 과학교사와 함께하는 융합인재교육과 교육기부, 2012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학슬대회, 이화여자대학교, 8월 17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5. 최정훈 (2011).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교원대학교, 8월 9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6. 홍성욱 (2005). 과학과 예술; 그 수렴과 접점을 위한 서론. 과학기술학연구, 5(1), 1-30.
  17. Apedoe, X., Reynolds, B., Ellefson, M., & Schunn, C.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 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 454-465. https://doi.org/10.1007/s10956-008-9114-6
  18. Clark, B., & Button, C. (2011). Sustainability transdisciplinary education model: Interface of arts, science, and community (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2(1), 41-54. https://doi.org/10.1108/14676371111098294
  19. Fortus, D., Krajcik, J., Dershimer, R. C., Marx, R. W., & Mamlok-Naaman, R. (2005). Design-based science and realworld problem solv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7), 855-879. https://doi.org/10.1080/09500690500038165
  20. Fralick, B., Kearn, J., Thompson, S., & Lyons, J. (2009).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1), 60-73. https://doi.org/10.1007/s10956-008-9133-3
  21. Jarratt, T., Eckert, C., Caldwell, N., & Clarkson, P. (2011). Engineering change: An overview and perspective on the literature. Research in Engineering Design, 22(2), 103-124. https://doi.org/10.1007/s00163-010-0097-y
  22. Owens, K. D. (2000).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Clearing House, 73(3), 150-152. https://doi.org/10.1080/00098650009600935
  23. Platz, J. (2007). STEM to STEAM; How do you turn STEM into STEAM?. http://www.oaae.net/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8&Itemid=114. 2012년 3월 19일 검색.
  24. Robelen, E. W. (2011). Building STEAM: Blending the arts with STEM subjects. Education Week, 31(13), 8-9.
  25.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26. Sanders, M. (2011). An introduction to integrative STEM education. STEAM 교육 국제 세미나, 이화여자대학교, 6월 25일.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7. Silvera, A. & Rushtonb, B. S. (2008). Primary-school children's attitudes towards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their image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ry Elementary and Early Years Education. 36(1), 51-67.
  28. Tarnoff, J. (2010). STEM to STEAM; Recognizing the Value of Creative Skills in the Competitiveness Debate. HuffPost Education Group. http://www.huffingtonpost.com/john-tarnoff/stem-to-steam-recognizing_b_756519.html. 2012년 3월 28일 검색.
  29. Yakman, G. G. (2011). Introducing Teaching STE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STEAM 교육국제 세미나, 이화여자대학교, 6월 25일.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Cited by

  1.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vol.35, pp.7,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72
  2.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vol.34, pp.2,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2.224
  3. Design thinking in integrated STEAM learning: Surveying the landscape and exploring exemplars in elementary grades vol.118, pp.3-4, 2018, https://doi.org/10.1111/ssm.12268
  4. The Influences of STEAM Program Using Infragram for Plant Health Monitoring o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Domain vol.44, pp.1,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72
  5. STEAM 기반 학생 연구 활동 분석을 통한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25
  6. STEAM 수업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 적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적용 유형과 어려움 및 지원을 중심으로- vol.39,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77
  7.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lanning practices vol.120, pp.4, 2013, https://doi.org/10.1111/ssm.12400
  8.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Flipped Learning for Korean Nursing Students vol.17, pp.18, 2013, https://doi.org/10.3390/ijerph17186829
  9. 지역기관을 활용한 중·고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vol.23, pp.5,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0.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