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diness for Death and Death Anxiety among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 Received : 2013.06.25
  • Accepted : 2013.08.05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adiness for death and death anxiety among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 convenience sample of 183 cancer patients admitted to four hospitals in Korea was recrui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201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ean scores of readiness for death and death anxiety were 1.99(${\pm}0.69$) and 2.21(${\pm}0.59$) out of 4, respectively. 'Psychological readines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among the death anxiety domains, and 'dying process' had the highest mean score among the death anxiety domai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adiness for death and death anxiety. Readiness for dea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fterlife beliefs, stage of cancer, duration of disease, and number of symptoms. Death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ith in God and afterlife beliefs. Distress in the process of dying needs to be managed for cancer patients and spiritual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relieve death anxiety.

본 연구는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암으로 진단 받고 4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183명으로 자료수집은 2010년 5월에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죽음준비 정도는 4점 만점에 1.99(${\pm}0.69$)점으로 심리적 준비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죽음불안 정도는 4점 만점에 2.21(${\pm}0.59$)점으로 죽음과정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죽음준비와 죽음불안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죽음준비 정도는 연령, 내세관, 암 병기, 투병기간 및 증상 수에서, 죽음불안 정도는 신앙심과 내세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환자들은 특히 죽음과정에 대한 불안이 높기 때문에 투병 및 임종과정에서 겪게 되는 불안을 경감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영적 간호중재가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국립암센터, 통계로 본 암 현황, 보건복지부.국립암센터, 2012.
  2. 오복자, "암환자의 대응양식과 불안과의 관계", 종양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23-30, 2009.
  3. 김복련, 김영혜, 김정순, 정인숙, 김주성, "암환자의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3호, pp.321-330, 2003.
  4. 양진향, "암환자의 생활세계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1호, pp.140-151, 2008.
  5. 전영기,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6. M. R. Leming and G. E. Dickinson, Understanding dying, death, and bereavement,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002.
  7. G. Gonen, S. U. Kaymak, E. S. Cankurtaran, E. H. Karslioglu, E. Ozalp, and H. Soygur, "The factors contributing to death anxiety in cancer patients," J Psychosoc Oncol, Vol.30, No.3, pp.347-358, 2012. https://doi.org/10.1080/07347332.2012.664260
  8. 김숙남, 최순옥, 이정자, 신경일, "죽음교육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41-153, 2005.
  9. 김은희, 이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9,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
  10. 오진탁,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출판, 2004.
  11. 박진흥,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이이정, 노인 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3. 최소영, 노인의 죽음준비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김심복,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준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5. 박지은,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정서.인지.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회복지실천, 제8권, pp.79-109, 2009.
  16. 김연숙, 김지미,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죽음불안의 세부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275-289, 2009.
  17. 오미나, 최외선,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3호, pp.105-118, 2005.
  18. 서혜경, "죽음불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탐색적 연구-죽음불안도 4가지 영역에 따른 노년층과 비노년층의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09-125, 2007.
  19. 박기정, 노인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이예종, 노인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최외선,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55-773, 2007.
  22. 박선애, 허준수, "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59-88, 2012.
  23. 오진탁, 김춘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51-69, 2009.
  24. P. Tang, C. Chiou, H. Lin, C. Wang, and D. Liand, "Correlates of death anxiety among Taiwanese cancer patients," Cancer Nurs, Vol.34, No.4, pp.286-292, 2011. https://doi.org/10.1097/NCC.0b013e31820254c6
  25. D. W. Sherman, R. Norman, and C. B. McSherry, "A Comparison of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or AID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J Assoc Nurses AIDS Care, Vol.21, No.2, pp.99-112, 2010. https://doi.org/10.1016/j.jana.2009.07.007
  26. S. Adelbratt and P. Strang, "Death anxiety in brain tumour patients and their spouses," Palliat Med, Vol.14, pp.499-507, 2000. https://doi.org/10.1191/026921600701536426
  27. 김진화, 말기암환자의 건강통제위와 죽음불안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8. 정혜숙, 암 환자의 삶의 의미와 죽음불안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과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30. 유희옥, 중노년기의 죽음 불안태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1. 박은경, 죽음불안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2. 오세근, 조준, 김영희, 최정민, "노인의 우울감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43-25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43
  33. 오진탁, "우리 사회에 죽음이해가 크게 부족하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31-13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