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

도시공원 서비스권역 내 · 외 이용인구 정밀 분석 -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주민등록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 Son, Seung-Wo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Ahn, Tong-M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손승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3.09.24
  • Accepted : 2013.10.23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Urban parks are public spac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any urban resident to use and enjoy. Parks should be fairly distributed so that the urban parks can be equally used amongst different regions, generations and classes. Research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rom the past based on the principles of fairness with variety, and it was evident that their techniques have become more elaborate and sophisticated. Ye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resi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urban parks. The research done so far was unable to apply the real number of the residents and it was carried out by on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population by the same scale(grid in the same sizes), postal(zip) cod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The actual population that resides within the usable range of urban parks was not used.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that the residents can use on foot, by utilizing the service areas and the residents' registration data by addresse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quare measure of the service areas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ithin and outside of the service area, network analysis techniques were employed and the residents' registration data were utilized. Major findings were that the Square measure of service areas of neighborhood parks turned out to be 31.23% of the square measure of the residential areas and also, that only 43.03% of the population of the Daegu Metropolitan area lives within the service areas of the neighborhood parks.

본 연구는 도시공원 공간적 분포의 문제점을 도시공원 서비스권역과 주소별 주민등록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공원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치"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1)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분석, 2)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분석, 3) 기존 연구와의 비교 검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거주민 분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차별성을 두어, 각 주소별로 등록된 거주민 주민등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거주하는 주민수를 적용하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또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직선거리를 적용한 버퍼분석이 아닌 보행로, 새주소길 등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전체면적의 7.99%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 주거지역 중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면적은 31.23%의 비율을 보였다.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대구광역시 인구의 43.03%만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인구 반 이상의 인구가 서비스권역 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방법과의 비교 검토 결과는 근린공원 서비스권역 및 서비스권역 내 외 인구 수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292호, 2012.2.1., 일부개정.
  2. 국토해양부(2010)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 지침 일부 개정안. 국토해양부 보고서.
  3. 국토해양부(2011) 2011년도 주택업무 편람. 국토해양부 보고서.
  4. 대구광역시(2012) 2012년 대구광역시통계연보. 대구광역시.
  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국토해양부령 제456호. 2012. 4.13. 타법개정.
  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3718호. 2012.4. 10. 타법개정.
  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0599호. 2011.4.14. 타법개정.
  8. 서현진, 전병운(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221-237.
  9. 성현찬, 이양주(2012) 신, 구시가지의 도시공원 불균형 분포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3): 1-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3.001
  10. 신지영(2010) 신구도시가 공존하는 지역내 도시공원 접근성의 형평성 평가연구: 수도권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안동만, 최형석, 김인호, 조형준(1991)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7-28.
  12. 오규식, 정승현(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3): 189-203.
  13. Bach, L.(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e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8): 955-978. https://doi.org/10.1068/a130955
  14. Chiesura, A.(2004)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1): 129-138.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08.003
  15. Lotfi, S. and J. M. Koohsari(2009) Measuring objective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facilities in the city (A case study Zone 6 in Tehran, Iran). Cities 26: 133-140. https://doi.org/10.1016/j.cities.2009.02.006
  16. Pearce, J., K. Witten and P. Bartie(2006) Neighborhoods and health: a GIS approach to measuring community resource accessibilit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0: 389-395. https://doi.org/10.1136/jech.2005.043281
  17. Samoyer-Tonic, K. E,, J. N. Hewko and M. J. Hodson(2004) Spatial accessibility and equity of playgrounds in Edmonton, Canada. Canadian Geographer 48(3): 287-302. https://doi.org/10.1111/j.0008-3658.2004.00061.x
  18. Sister, C., J. Wilson and J. Wolch(2008) Access to parks and park facilities in the green visions plan reg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enter for Sustainable Cities and GIS Research Laboratory, Los Angeles, CA.
  19. Talen, E. and L. Anselin(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0: 595-613. https://doi.org/10.1068/a300595
  20. Talen, E.(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provider: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pedestrian acc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30: 181-200. https://doi.org/10.1068/b12977
  21. Walker. C.(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22. Wolch, J., J. P. Wilson and J. Fehrenbach(2005) Parks and park funding in Los Angeles: an equity mapping analysis. Urban Geography 26(1): 4-35. https://doi.org/10.2747/0272-3638.26.1.4
  23. http://www.kopss.go.kr
  24. http://www.daegu.go.kr
  25. http://www.gis.go.kr
  26. http://www.mlt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