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Sound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가계의 재무건전성과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 Kim, Soon-Mi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onsumers' Life Information)
  • 김순미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 Received : 2014.10.01
  • Accepted : 2014.10.30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inancial soundness of Korean households and its effects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nsisted of 1,031 households selected from the 4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2.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are gender, occupation type, residence,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and type of financial soundness-sound households or insolvency-risky households. In other words, more female-headed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higher levels of occupation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The households that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are those that are lived in metropolitan areas as opposed to the countryside; further, households that are more economically sound are also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In particular, sound households and insolvency-risky households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compared to liquidity-risky household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2. 곽인숙.홍성희(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3. 국민연금연구원(2012).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국민연금연구원.
  4. 권택호(2010). 한국 가구의 은퇴재무설계 적정성 분석. 재무관리연구, 27(3), 151-181.
  5. 권혁성.신기철(2013).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실태 및 시사점 :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제4회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01-118
  6. 김건우.이창선(2012). 가계부실지수로 본 가계부채.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2-18.
  7. 김민정(2010). 은퇴자가계의 지출수준과 노후자금 고갈가능성에 관한 연구. Financiall Planning Review, 3(1), 77-108.
  8.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9. 김양이.이채우(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10. 김완중.손정락.김지환.김승룡(2012). 국내 부동산 개발금융 현황과 시사점. 하나금융정보, 5, 1-32.
  11. 김우영.김현정(2010).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국제경제연구, 16(1), 39-78.
  12. 김현정(2010).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특징과 민감도 분석. 한국경제포럼, 3(3), 77-94.
  13. 문화일보(2012). 한국 가계저축률 추락, 작년 3.1%... 13년새 20.1%P ${\downarr}$. 2012. 5. 29.
  14. 박창제(2008a).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4), 139-166.
  15. 박창제(2008b).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16. 백은영(2012). 가계의 부채부담 및 부채문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비교분석. 소비문화연구, 15(3), 119-138.
  17. 백은영.성영애(2012). 부채 취약가계 결정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21(2), 225-240.
  18. 백은영.정순희(2012). 베이비부머의 재정현황과 주택자산이 은퇴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5(1), 141-160.
  19. 변혜원.유진아(2011). 주간 이슈 : 가계금융 조사로 본 가계 재무건전성 분석. KIRI Weekly(주간포커스) , 1-10.
  20. 석재은.임정기(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1), 1-22.
  21. 성영애(2012).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한 가계의 특성. 금융소비자연구, 2(2), 25-47.
  22. 세계일보(2014). 2014. 9. 25.
  23. 손원(2010). 중년기가계의 경제적 노후준비 분석 : 부부취업상태를 중심으로. 충남대학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손원.김순미(2010). 중년기 가계의 은퇴 후 경제적 노후준비결정요인 연구 : 부부취업상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 2010(5), 349-349.
  25. 신동진.이영환(2013). 대출규제가 가계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경제연구, 26(5), 1995-2016.
  26.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안종범.전승훈(2005). 은퇴자가구의 적정소득대체율. 한국경제연구학회, 15, 5-33.
  28. 양세정.이성림(2009). 노후 경제적 대비 여부에 따른 가계 경제의 차이와 재무관리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16.
  29. 양세정.정지영(2010). 국내FP(Financial Planner)를 대상으로 한 가계재무지표값 조사. Financial Planning Review, 3(1), 1-28.
  30. 양정선(2012). 독신의 선택과 노후준비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23-148.
  31. 여윤경.정순희.문숙재(2007).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 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0(3), 129-155.
  32. 여윤경(2011). 개인은퇴준비지수에 관한 연구. 보험금융연구, 22(3), 33-68.
  33. 연합뉴스(2014). 2014. 5. 15.
  34. 이서영(2014). 중년기 기혼여성의 노후준비와 위기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29-46.
  35. 이선형(2009). 자녀교육비 및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20-45세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42-63.
  36. 이선형.김영훈(2011). 노후준비를 위한 경제적 의사결정에 가족이 미치는 영향 : 수도권 고령자의 주택연금제도 이용의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69-188.
  37. 이소정(2009). 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 분석. 사회복지연구, 40(1), 235-261.
  38. 이신영(2009).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계명대학교사회과학논총, 28(1), 205-224.
  39. 이창선.김건우(2012).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본 가계 부실위험 진단.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12-17.
  40. 전혜성(2009). 노후가치관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의 모색: 중.장년층의 인식 및 태도 조사를 중심으로. OUGHTOPIA, 24(1), 267-293.
  41. 정수훈(2012). 노인가계의 노후준비자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정지영.양세정(2013). 객관적 은퇴자금준비도와 주관적 은퇴자금준비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13-127.
  43. 정지영.양세정(2013). 경제적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 세대간 자산이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99-219.
  44. 조경진(2011). 중년기 가계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공교육비지출 유무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조경진.김순미(2012). 중년기 가계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적자본 투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31-152.
  46. 조세일보(2014). 벼랑 끝에 내몰린 고금리 생계형 대출의 악순환 개인회생 파산제도로 벗어나. 2014. 10. 8.
  47.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인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48. 조혜진.김정현(2013).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재무건전성. 2013년 한국금융소비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5-71.
  49. 차경욱.박미연.김연주(2008). 20.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49-163.
  50. 차경욱(2012). 베이비붐세대 가계의 자산.부채상태 분석: 2006년과 2011년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53-176.
  51. 채원영(2012). 국내금융 뉴스 : 가계 재무건전성은 개선. 부채 보유 가구 수는 증가. KIRI Weekly(주간포커스), 23.
  52. 최현자.이희숙.양세정.성영애(2003). 재무 비율을 이용한 가계재무상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4(1), 99-121.
  53. 최현자.주소현.김민정.김정현(2009). 한국의 은퇴준비지수산정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0(3), 189-214.
  54. 최현자.김민정A.이지영.김민정B(2012). 경제수명의 산정을 통한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Financial Planning Review, 5(4), 47-71.
  55. 최현자.김민정A.이지영.김민정B(2013). 장수위험과 금융자산 활용 비율을 고려한 은퇴소득준비도 평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59-178.
  56. 통계청(2013). 2013 사회조사. www.kostat.go.kr
  57. 통계청(2014). 2014 고령자 통계. www.kostat.go.kr
  58. 하나금융경영연구소(2012). 금융시장 모니터. 자금 : 가계부분의 재무건전성 악화 우려 부각. 하나금융 포커스, 22(11), 20-26.
  59. 한국노동연구원(2012). 고령화패녈조사. 한국노동연구원.
  60. 한겨레(2014). 2014. 6. 17.
  61. 현대경제연구원(2014). 가계 재무상태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한국경제주평 14-03, 574, 1-19.
  62. 홍성희.곽인숙(2012).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69-92.
  63. Kilth, K. M. & Behling, J. H.(1985).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among professional works. The Gerontologist, 26(5), 525-530.
  64. Love, D. A., Smith, P. A. & McNair, L. C.(2008). A new look at the wealth adequacy of older U. S. household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4(4), 616-642. https://doi.org/10.1111/j.1475-4991.2008.00292.x
  65. Scholz, J. K., Seshadri, A. & Khitatrakun, S.(2006). Are Americans Saving 'Optimally' for Retiremen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4, 607-643. https://doi.org/10.1086/506335
  66. Skinner, J.(2007). Are you sure you're saving enough for retirement?.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1(3), 59-80. https://doi.org/10.1257/jep.21.3.59
  67. The Economist(2014). Hole in won: Korean households are struggling under mounting debt. 2014. 5.31.
  68. Wolff, E. N.(2007). The retirement wealth of baby boom generation.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4,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