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ifted Class Management by the Teachers of Elementary Gifted Class in Science

단위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2.02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in the gifted class manag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tudy was conducted in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that individually used their own gifted program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derived from Giorgi. Data collection focused on the feelings, thoughts, behaviors, and changes in life of the teachers of the gift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12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deduced; based on these significant statements, 26 themes and 12 focal meanings were examined closely. Then, the focal meanings were combined to propos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s of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At the same time, by integrating th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s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s,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organized as a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This study examin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f the gifted who are the subjects of the gifted class management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and also attempted to examine what these teachers wanted on site and what their experiences with the gifted education meant to them. The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individual elementary schools and in improving the gifted class management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위 학교 초등과학영재학교 영재교사 4명이며, 연구 참여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인 Giorgi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영재교사들의 느낌, 생각, 행동, 생활변화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123개의 유의미한 진술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총 26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중심의미와 주제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경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상황적 구조적 진술과 일반적 구조적 진술을 하였다. 단위학교 초등과영재학급 운영에서 영재교사가 경험하는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영재학급 운영에 대한 개선점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0(2), 101-126.
  2.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2013-2017). 서울: 저자.
  3. 권민경, 유미현 (2013).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 평가 및 교사 요구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105-119.
  4.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5.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유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6. 김미숙, 이희현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RR2008-34). 한국교육개발원.
  7.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수,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8. 김옥분, 김항중 (2012). 초등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1(2), 47-72.
  9. 남영만, 김대현 (2009). 단위학교에서의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수학 영재반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9, 5-20
  10.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11.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교원교육, 23(2), 195-208.
  12.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 2013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저자.
  13. 서혜애 (2008).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행.재정 지원의 요구분석. 영재교육연구, 18(2), 175-200.
  14.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5. 유경재, 이경숙, 서혜애 (2012). 영재교육과정 운영 지침 개발 연구(I) - 과학영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R 2012-52). 한국교육개발원.
  16. 윤초희, 우성조 (2013). 관찰추천 영재선발의 실제에 대한 질적 탐구: 영재교사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2(2), 141-168.
  17. 이미순 (2010).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419-436.
  18.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9. 이혜경 (2007). 여성정신장애인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전미란 (2013).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영재교육연구, 23(1), 25-47. https://doi.org/10.9722/JGTE.2013.23.1.25
  21. 최선영 (2007).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6(3), 252-259.
  22. 최정경 (2013). 이혼한 아버지와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경험: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20(12), 73-99.
  23. 한기순, 공영재 (2011).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283-304.
  24. 한기순, 황현경 (2012). 무엇이 영재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방해하는가?: 영재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 운영 장애요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1(2), 147-170.
  25.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7).
  26.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