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f Implementing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Comparison with 6 OECD Nations'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선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3.12.15
  • Accepted : 2014.02.15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6 OECD countries' (Australia, New Zealand, Sweden, Norway, England, South Korea) national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urriculum (framework)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its implementation. Its design and development always focus on how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will be applied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s in a correct and faithful way. As a result, teachers are considered the user or deliverer of the national curriculum rather than the one who interprets it and construct their ow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ir students. Five OECD countries which have achieved an integrated system between early education and care systems, take the constructive view of designing and applying the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ly, a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within an integrated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Korea, in order to accept the constructive view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본 연구는 OECD 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 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 정의 실행 관점을 '충실도', '상호적응', '생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의 내용은 각국 영유아보육과정의 명칭, 문서의 목적, 학습 및 발달 목표, 적합성 검토 방법, 자체 영유아보육과정 수립의 자율성, 영유아보육과정 설계 과정, 실행자료 지원의 7가지 영역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국가의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은 '상호적응'과 '생성'의 관점에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상호적응'의 관점에서 실행을 지향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충실도'의 관점에서 실행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향후 개발될 0-5세 통합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충실도'의 관점을 벗어나 '상호적응' 혹은 '생성'의 관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그 관점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3. 김희연, 정선아, 오문자(2011).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의 조직 체계와 운영 전략에 관한 비판적 검토: 유치원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설정을 위한 제언. 교육과정연구, 29(2), 69-98.
  4. 김희진(2013). 유아교사의 만3-5세 누리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나귀옥(2013).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의 방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425-447.
  6. 문무경, 권미경, 황미영(2011).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 추진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7. 박민정(2012).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교육과정연구, 30(3), 247-270.
  8. 박종덕(2011). 교사의 해석적 실천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내러티브적 관점. 교육과정연구, 29(4), 113-135.
  9.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10. 윤은주, 이진희(2011). 위에서 아래로의 유아교육 질 향상에 대한 우려: 영국유아교육개혁의 교훈.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293-311.
  11. 이성희, 박은혜(2012).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4), 319-353.
  12. 이연승, 지성애, 정선아, 고영미(2010).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 평가 연구. 유아교육연구, 30(3), 309-335.
  13. 이영환, 서현아, 윤정진 (2013).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09-342.
  14. 조재식(2002).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15. 태성란, 황혜정(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53-272.
  16.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and Workplace (2009). Belonging, Being & Becoming: The Early Years Learning Framework for Australia. Former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and Workplace Relations.
  17.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and Workplace (2010). Educators: Belonging, being, and becoming: Educators' guide to the early years learning framework for Australia. Former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Employment and Workplace Relations.
  18. Ayers, W. (2012). To Teach : The journey of a teacher, 가르친다는 것(홍한별 옮김). 서울 : 양철북 (원판 2010).
  19. Department for Education (2012). Statutory Framework for the Early Years Foundation Stage. UK : Department for Education.
  20. Ministry of Education (1996). Te Whariki. New Zealand: Learning Media Limited.
  21. Norweg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011). Framework Plan for the Content and Tasks of Kindergarten. Norway :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2. OECD (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영유아 교육.보육정책II.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23.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서울 : 덕성여자대학교.
  24. Skolverket (2011) Curriculum for compulsory school, preschool class, and the recreation centre. Stockholm : Skolverket.
  25. Skolverket (2011). Curriculum for the Preschool Lpfo 98 Revised 2010. 출력일 2013년 10월 1일, http://www.skolverket.se/ publikationer?id=1068

Cited by

  1. Seeking a Way for the Connection of Curriculum of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Centered on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in America-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223
  2.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vol.17,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629
  3. An Aanalysi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Curriculum Autonomy and Diversity vol.11, pp.1, 2014, https://doi.org/10.5718/kcep.2017.11.1.209
  4. 교사의 표준보육·교육과정 실행이 유아의 발달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실내·외 자유놀이 시간과의 비교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