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ral Strain Theory approach to the Use of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일반긴장이론(GST)을 이용한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심현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 이일현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이현실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3.11.25
  • Accepted : 2014.01.15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using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 based on Agnew's GST. A total of 2,151 questionnaires were used to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2010. Analytical method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verified by AMOS 21.0 Ver.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ly, The fit of definitive model was $X^2=1398.997$, df=144, GFI=.937, NNFI(TLI)=.902, CFI=.918, RMSEA=.061. Model was proper to verify the use of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s. Secondly, The strain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make negative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negativ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the use of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 We need to provide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ellular phone dependence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는 Agnew의 GST에 기반하여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 중1 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2,151명을 최종 연구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AMOS 21 Ver.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1398.997$, df=144, GFI=.937, NNFI(TLI)=.902, CFI=.918, RMSEA=.061으로 나타나 GST이론을 통해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대해 검증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긴장요인이 부정적 삶의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부정적 삶의 만족도는 휴대폰 의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중재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려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심영, 박영선,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 Vol.43, No.4, pp.1-16, 2005.
  2.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12 방송통신산업통계연보," 서울: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pp.1-325, 2012.
  3. 성은모, 황경아, "중학교 2학년 청소년의 뉴미디어활용이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1-162, 2012.
  4. L. Bourke, J. Humphreys, and F. Lukaitis, "Health behaviours of young, rural residents: a case study," Aust J Rural Health, Vol.17, No.2, pp.86-91, 2009. https://doi.org/10.1111/j.1440-1584.2008.01022.x
  5. 이인정, 최해경, 인간 행동과 사회 환경, 나남 출판, 2000.
  6. R. J. Havighurst,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1972.
  7. 곽민주,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3, No.1, pp.183-205, 2004.
  8. S. L. Rauschenberger and S. J. Lynn, "Fantasy proneness, DSM-II-R Axis 1 psychopathology, and dissoci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4, No.2, pp.373-380, 1995. https://doi.org/10.1037/0021-843X.104.2.373
  9. 송은주,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Vol.15, No.3, pp.325-333, 2006.
  10. 송명준, 허유정, 이은정, 권정혜, "인터넷 중독: 중독적 특성, 중독의 결과 및 중독자의 하위유형",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Vol.5, 2001.
  11. 이혜선, 강차연,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애착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Vol.20, pp.79-95, 2007.
  12. 김하늘, 황의갑,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범죄학회, Vol.4, No.1, pp.115-141, 2010.
  13. 김미숙, "청소년들의 휴대폰 사용이 청소년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Vol.1, No.1, pp.115-138, 2011.
  14. 현정석, 박찬정, 하환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성별 시간관 차이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pp.412-42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412
  15. R. Agnew and H. R. White, "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Vol.30, No.4, pp.475-500, 1992.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2.tb01113.x
  16. R. K. Merton,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 No.5, pp.672-682, 1938. https://doi.org/10.2307/2084686
  17. R. Agnew,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Vol.30, No.1, pp.47-88, 1992.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2.tb01093.x
  18.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Vol.16, No.2, pp.61-94, 1994.
  19. P. Mazerolle and J. Maahs, "General strain and delinquency: An alternative examination of conditioning influences," Justice Quarterly, Vol.17, No.4, pp.753-778, 2000. https://doi.org/10.1080/07418820000094751
  20. R. Paternoster and P. Mazerolle,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cy: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Vol.31, No.3, pp.235-263, 1994. https://doi.org/10.1177/0022427894031003001
  21. S. D. Lamborn, N. S. Mounts, L. Steinberg, and S. M. Dornbusch, "Patterns of competence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Vol.62, No.5, pp.1049-1065, 1991. https://doi.org/10.2307/1131151
  22. M. Poster, The second media age, Polity Press, 1995.
  23. 손선경, 채준호, "청소년의 불안, 자의식 및 방어기제에 따른 심상능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pp.247-266, 2009.
  24. K. Kim, E. Ryu, M. Y. Chon, E. J. Yeun, S. Y. Choi, J. S. Seo, and B. W. Nam,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3, No.2, pp.185-192, 200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02.005
  25. F. L. Cao and L. Y. Su,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prevalence and psychological feature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Vol.33, No.3, pp.275-281, 2007.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6.00715.x
  26. B. D. Ng and P. Wiemer-Hastings, "Addiction to the internet and online gaming,"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8, No.2, pp.110-113, 2005. https://doi.org/10.1089/cpb.2005.8.110
  27. 구현영,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Vol.39, No.6, pp.818-828,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6.818
  28. 정화실,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 단국대학교, 2009.
  29.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서울: 홍익대학교 1991.
  30.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4, 1987.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1.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2. 조현철, 강석후,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항목묶음이 인과 모수의 검정과 적합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Vol.17, No.3, pp.133-153, 2007.
  33.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 "한국 청소년발달 지표조사 I : 결과부 측정지표 검증,"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1-161, 2006.
  34.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이세용, 김선남, 배진한, 최명목, 양지윤,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
  35.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411, 1988.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36.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37.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38. R.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New York, p.366, 2005.
  39. 이성식, 전신현, "인터넷사용, 일상긴장, 비행의 관계", 형사정책연구, Vol.23, No.3, pp.293-318, 2012.
  40. 정소희, "청소년비행의 발달궤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pp.31-64, 2009.
  41. D. R. Hollist, L. A. Hughes, and L. M. Schaible, "Adolescent maltreatment, negative emotion, and delinquency: An assessment of general strain theory and family-based strai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37, No.4, pp.379-387, 2009. https://doi.org/10.1016/j.jcrimjus.2009.06.005
  42. 이성식, "청소년들의 긴장, 부정적 감정의 경험과 사이버 공간에서의 비행", 한국공안행정학회, Vol.-, No.18, pp.273-299, 2004.
  43. 이현응, 곽윤정,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Vol.18, No.7, pp.59-83, 2011.

Cited by

  1. The Effects of Cell-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Moderated Analysis of Self-Esteem vol.11, pp.2, 2017,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