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ituations of Enha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in Korea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4.12
  • Accepted : 2014.05.06
  • Published : 2014.05.1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results from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 pursuing the goal, different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including a)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literature regarding the affective domains included in PISA and TIMSS studies; b)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Korean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affective factors based on PISA and TIMSS results; c) case studies of best practices in relation to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 Korea and abroad; and 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supporting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so a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best practice cases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are classified into a) curriculum, which is in turn divided into national curriculum an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school and classroom; and b)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which is in turn divided into learner characteristics, motivation, teaching strategies, class group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question and feedback,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tools. Support plans in terms of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s are also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우리나라의 경우,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봄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실태를 진단하여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및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실태와 대안은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평가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지원 방안은 학교 환경을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구 (2011). 우리 나라와 프랑스, 핀란드의 수학 교과과정의 비교 및 분석 - 대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진․김현경․박지현․진의남․이명진․김선희․안윤경․서지희 (2012). TIMSS 결과를 통한 교육 환경 변화 추이 국제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1.
  3. 김영천 (2007).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서울: 문음사.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5. 이주영 (2011). 한국과 핀란드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 규칙성과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경미 (2005).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싱가포르와 인도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 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4), 497-508.
  7. 박정․정은영․김경희․한경혜․이서영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8. 최승현․구자옥․김주혼․박상욱․오은순․김재우․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 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18.
  9. 최승현․황혜정(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1.19
  10. Eggen, P. D., & Kauchak, D. P. (2010).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 (8th ed.). NJ: Pearson Education, Inc.

Cited by

  1. A Survey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Mathematics by analysis of metaphor about mathematics vol.29, pp.1,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1.51
  2.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vol.28, pp.4,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4.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