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formance Test in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Lines

새로운 계통 조성을 위한 한국 토종닭 교배 조합의 능력 검정

  • Lee, Myeong-Ji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eo, Kang-Nyeong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i, Hee-Cheo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ong, Eui-Chu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Chong-Dae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이명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허강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최희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종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Received : 2014.01.23
  • Accepted : 2014.03.06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of crossbred strains using Korean native chicken (KN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2 through 2013 at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The number of chicks analyzed in this study was 375. Crossbred were (A) $R{\times}S$, (B) $D{\times}H$, (C) $D{\times}S$, (D) $C{\times}Y$ and (E) $Y{\times}H$. The fertility rates of strains were 94.9% in crossbred A, 91.9% in crossbred B, 91.8% in crossbred C, 89.7% in crossbred D and 93.8% in crossbred E, respectively. The fertility was highest in crossbred A, but crossbred C showed the lowest (p<0.05) based on the hatchability. The crossbreds B and C exhibited a superior performance on body weight gains during growing stages but crossbred D showed the lowest (p<0.05). The feed intake was to the pattern of body weight. The feed intake of crossbred 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crossbreds. Also, feed conversion ratio of crossbred D showed the lowest (p<0.05). Egg production ratio of crossbred D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crossbr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new crossbreds of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should be required for better performance.

본 연구는 토종닭 재래종과 토착종의 교잡을 통하여 생산된 교잡종의 성장과 산란능력을 추정하여,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적갈색과 황갈색의 재래계와 육용종 및 산란겸용종을 2원 교배를 통하여 발생한 암평아리 375수를 공시하여, 36주령까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A 교잡종의 수정율은 94.9%로 다른 교잡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교잡종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부화율에서는 C 교잡종이 60.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잡종별 체중을 살펴보면, D 교잡종이 다른 교잡종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B와 C 교잡종은 전 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 D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중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요구율은 16주령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D 교잡종의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교배 조합에서 산란성이 우수한 계통을 활용한 D 교배 조합의 산란율이 시험 종료 시까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석 이상진 김상호 서옥석 오봉국 1997 사료급여체계에 따른 한국재래닭 P.S와 Cornish와의 3원교잡 실용계의 능력. p. 88-89. 한국가금학회지 제1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2. 강보석 정일정 이상진 김상호 오봉국 최광수 1997 한국재래 닭과 Rhode Island Red의 교잡에 의한 주요 경제형질의 잡종강세 효과 추정 I.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 교잡종의 부화 및 육성능력. 한국가금학회지 24(3): 117-126.
  3. 강보석 홍의철 김학규 김종대 허강녕 추효준 서옥석 황보종 2011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생산 및 산란 능력 검정. 한국가금학회지 38(4): 331-338. https://doi.org/10.5536/KJPS.2011.38.4.331
  4. 강보석 홍의철 김학규 유동조 박미나 서보영 추효준 나승환 서옥석 황보 종 2010 한국토종닭 3원 교잡종의 부화 및 육성 능력. 한국가금학회지 37(4): 399-404. https://doi.org/10.5536/KJPS.2010.37.4.399
  5. 김상호 이상진 강보석 최철환 장병귀 오봉국 1998 한국재래 닭의 능력에 관한 연구 II. 한국재래닭의 계통별 능력 비교. 한국가금학회지 25 (3): 177-183.
  6. 김효선 김시동 이승수 강보석 이정규 조광현 2010 재래닭 경제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한국가금학회지 37(2): 125-130. https://doi.org/10.5536/KJPS.2010.37.2.125
  7. 박미나 홍의철 강보석 김학규 서보영 추효준 나승환 서옥석 한재용 황보 종 2010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37(4): 347-354. https://doi.org/10.5536/KJPS.2010.37.4.347
  8. 상병돈 최철환 김학규 김시동 장병귀 나재천 유동조 이상진 상병찬 이준헌 2003 한국재래닭의 경제 형질에 미치는 계통 및 환경의 효과. 한국가금학회지 30(4): 235-244.
  9. 정일정 이병현 양창범 한성욱 정선부 1992 한국재래닭과 육계의 발육 및 도체 특성 비교 연구 1. 재래닭과 육계의 발육 및 도체형질 비교. 한국가금학회지 19(4): 205-215.
  10. 최철환 김학규 장병귀 나재천 상병돈 2005 한국재래닭 순종계통과 타 품종간의 교배에 의한 실용계의 산육능력 연구. p. 94-95. 한국가금학회지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11. 최철환 김학규 장병귀 유충현 2006 한국재래닭과 육용순종간의 교배계의 능력에 관한 연구. p. 116-117. 한국가금학회지 제23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12. 홍의철 추효준 김학규 김종대 허강녕 이명지 손보람 서옥석 최희철 강보석 2012 산란전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육성 능력 검정. 한국가금학회지 39(3): 177-182. https://doi.org/10.5536/KJPS.2012.39.3.177

Cited by

  1. The breeding history and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Korean native chicken vol.73, pp.01, 2017, https://doi.org/10.1017/S004393391600088X
  2.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vol.30, pp.10, 2017, https://doi.org/10.5713/ajas.16.0514
  3. Studies on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Native Chicken using the Microsatellite Marker vol.42, pp.1,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4.42.1.15
  4. The Effect of Early Chick Weight on Market-Weight in Korean Native Chickens vol.44, pp.4, 2017, https://doi.org/10.5536/KJPS.2017.44.4.259
  5.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the New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Compared with Commercial Breeds vol.45, pp.2, 2018, https://doi.org/10.5536/KJPS.2018.45.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