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n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and Its Verification for Competenc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 개발 및 타당화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08.09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re was a great need to consider a core competency-based approach as a new direc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the value and vision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ies. Therefore we developed a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and examined its validity as a prerequisite for a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order to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developing questionnaire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various resources such as paper, book, and newspaper article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behavioral event interview, and the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re competency model with the 5 cluster units of competency and the 15 core competencies was potentially constituted. And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ore competency model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gnitive cluster consisted of 5 competencies and they were as follows: creative, comprehensive, exploratory, analytical, and conceptual thinking competency. The achievement-orientation cluster consisted of 3 competencies and they were as follows: initiative, preparation & problem solving, and strategic influence competency. The scientific attitude cluster consisted of 3 competencies and they were as follows: flexible thinking & attitude, passion for research, and views about science competency. The personal effectiveness cluster consisted of 2 competencies and they were as follows: diverse experiences and global attitude competency. Finally, the networking cluster consisted of 2 competencies and they were as follows: person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Findings were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as well as introducing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to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effectively.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나 비전에 따른 과학 영재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선결 요건으로서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문, 도서, 신문 기사, 행동사건면접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역량군, 15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잠재적인 핵심 역량 모델을 구성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탐색된 핵심 역량 모델의 신뢰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에서 '인지' 역량군은 '창의적 사고', '종합적 사고', '탐색적 사고', '분석적 사고', '개념적 사고'의 5개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성취지향' 역량군은 '주도성', '준비 및 문제해결력', '전략적 영향력'의 3개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고, '과학적 태도' 역량군은 '유연한 사고와 태도', '연구 열정', '과학에 대한 견해'의 3개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개인 효과성' 역량군은 '풍부한 경험과 체험', '글로벌 자세'의 2개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킹' 역량군은 '대인이해', '의사소통'의 2개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자의 핵심 역량 모델을 과학 영재 교육에 소개하고, 핵심 역량 중심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략 마련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
  2. 김계수 (2010). AMO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3. 김나유, 심재우 (2013). 고등학생들의 문법학습전략 개념타당성과 문법성적과의 상관관계연구: 확인적 요인분석 적용. 현대문법연구, 73, 183-204.
  4. 김수동, 안재진, 이정연 (2014).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1), 81-104.
  5. 김해윤, 허난, 노지화, 강옥기 (2012).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핵심 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05-625.
  6. 김혜숙 (2008). 한국 영재교육의 현황: 평가와 과제. 창의력교육연구, 8(2), 73-90.
  7. 남정은, 정정희 (2013). 자녀양육 양상을 통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1980년대 중반-2000년대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2), 53-78.
  8.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2007).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안). 2007. 8. 13.
  9.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 영재학생의 사고 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10. 박연옥, 김성혁, 김용일 (2014). 한국고속열차의 물리적 환경이 인지반응과 생리적 반응을 통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1), 135-152.
  11.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해정 (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99-320.
  12. 박인숙, 강순희 (2012).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10-235.
  13. 방재현, 정철영 (2012).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129-147.
  14. 배성우, 신원식 (2005). CES-D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 사회과학, 18, 165-190.
  15.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16. 성진숙 (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19-237.
  17. 소경희 (2007). 학교교육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18. 소경희 (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3(27), 1-20.
  19. 소경희, 강지영, 한지희 (2013).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 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3(3), 153-175.
  20. 양대승 (2011). 대학생들의 교양 체육 참여 동기와 여가만족 및 여가지속 의도와의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3), 17-27.
  21. 양병화 (2000).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2.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성과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23.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이도현, 윤지현, 강성주 (2014).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93-105.
  25. 이상우, 조문식 (2011). 호텔기업 구성원의 가치성향이 서비스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15(3), 89-108.
  26. 이영준 (1991). 요인분석의 이해. 서울: 석정.
  27. 이찬, 정철영, 나승일, 김진모, 임재원, 백아롱 (2010). 차세대 영재기업인 역량모델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155-176.
  28. 이홍민 (2009). 인적자본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평가. 서울: 리드리드출판.
  29. 이효녕, 이현동 (2013). 과학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시스템 사고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237-1247.
  30. 정충덕, 강경희 (2009). 초.중등 과학영재의 생애능력 중 핵심능력 분석: 의사소통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3(2), 290-303.
  31.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32. 조규필 (2014). 취약청소년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2), 273-310.
  33. 조윤동, 윤용식 (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24(1), 45-65.
  34. 최경희 (2005). 과학자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및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5(2), 49-67.
  35. 황석근, 임석훈, 김익표, 김애숙 (2004). 창의적 사고기법 적용을 통한 문제해결력 함양. 중등교육연구, 52(1), 383-396.
  36. Braben, D. (1994). To be a scienti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7. Bridgstock, M., Burch, D., Forge, J., Laurent, J., & Lowe, I. (1998). Science, teaching and society: An introdu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Burgoyne, J. G. (1993). The competence movement: Issues, stakeholders, and prospects. Personal Review, 22(6), 7-13.
  39. Cho, S., Ahn, D., Han, S., & Park, H. (2008). Academic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Korean gifted during the 18 years after identific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8), 784-789. https://doi.org/10.1016/j.paid.2008.08.007
  40. Comrey, A. L., & Lee, H. B. (1992).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2nd ed.). Hillsdale, NJ: Erlbaum.
  41.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Amherst, MA: HRD.
  42. Hinkin, R. H. (1998).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 104-121. https://doi.org/10.1177/109442819800100106
  43. Jones, L., & Moore, R. (1995). Appropriating competence: The competency movement, the new right and the culture change projec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8(2), 78-92. https://doi.org/10.1080/0269000950080206
  44. Krzystofiak, F., Cardy, R. L., & Newman, J. (1988). Implicit personality and performance appraisal: The influence of trait inferences on evaluation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 515-521. https://doi.org/10.1037/0021-9010.73.3.515
  45. Lucia, A. D., & Lepsinger, R.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New York, NY: Pfeiffer.
  46. Newman, F. M. (1991). Classroom thoughtfulness and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Common indicators and diverse social studies course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9, 410-433. https://doi.org/10.1080/00933104.1991.10505649
  47.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aris.
  48.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49. Resnik, D.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London: Routledge.
  50. Riggs, P. J. (1992). Whys & ways of science. Melbourne: Melbourne University Press.
  51.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2), 90-105. https://doi.org/10.1111/1468-2419.00069
  52. Schmidt, A., & Kunzmann, C. (2007). Sustainable competency-orien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ontology-based. In: Cunningham, M., Cunningham, P. (eds.) Competency catalogs, eChallenges.
  53. Spencer, L. M.,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역). (2007) 5쇄.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팅.
  54.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2nd ed.). Seoul: Hakjisa.
  55. Voorhees, A. A. (2001). Competency-based learning models: A necessary future.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110, 5-13.
  56. Williams, B., Brown, T., & Onsman, A. (201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8(3), Article 1.
  57. Yang, B., Watkins, K. E., & Marsick, V. J. (2003). The construc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1), 3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