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Dimensional Printing for Mesh Types of Short Arm Cast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그물형 손목 부목의 3D 프린팅

  • 성열훈 (청주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4.11.10
  • Accepted : 2014.12.23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3D printer, was tried to fabricate the short arm cast of mesh types that can be hygienic and adequate ventilation with a good radiography. We used the multi channel computed tomography (MDCT) with three dimension printer device of the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techniques. The material is used a degradable plastic (poly lactic acid, PLA).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short arm were obtained in the MDCT and then make the three-dimensional volume rendering. Three dimension volume rendering of the short arm is implemented as a tomography obtained in MDCT. Virtual mesh type cast model was output as three-dimensional images is design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short arm. As a results, the cast output by 3D printers were able to obtain excellent radiograph images than the conventional cast, and then it can decreased itching with unsanitary, and can break down easily to the cast. In conclusion, the proposed virtual mesh type cast output by 3D printer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three-dimensional printing cast productions and offered help to patients in the real life.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통풍이 원활하고 위생적이며 선명한 방사선영상을 구할 수 있는 그물형 손목 부목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스캐너는 의료용 다중단층영상장치(MDCT)를 이용했으며, 3D 프린터 기기는 용융 적층 조형술(fused deposition modeling, FDM)의 프린팅 방식을 이용했다. 소재는 분해성 플라스틱 (poly lactic acid, PLA)을 사용하였다. 손목의 3 차원 볼륨렌더링은 MDCT에서 획득된 단층영상으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손목 3 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가상의 그물형 부목 모형을 디자인하고 출력하였다. 그 결과 3D 프린터로 출력된 부목이 기존 부목보다도 우수한 방사선 손목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가려움증 및 비위생적인 단점을 개선하고 부목 해체 작업이 용이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모델링된 3D 부목 모형은 향후 3D 프린팅 부목 제작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hira.or.kr
  2. A. Barenholtz and A. Wolff, "Elbow Fractures and Rehabilitation," Orthop Phys Ther Clin North Am, Vol.10, No.4, pp.525-539, 2001.
  3.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4판, 최신의학사, 1993.
  4. 이봉순, 윤여헌, 석고붕대법 이론과 실제, 대한석고치료사협회, 1992.
  5. 이종헌,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정형외과용 캐스트, 한국특허청, 등록번호 100448098, 2004.
  6. 최은지, 김상아, 배지윤, "3D 프린터의 활용 및 현황 고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21권, 제2호, pp.385-388, 2013.
  7. 곽기호, 박성우, "글로벌 3D 프린터산업 기술 동향 분석", 대한기계학회저널, 제53권, 제10호, pp.58-64, 2013.
  8. 김정현, 정호제, "3D 프린터를 사용한 정밀 스테이지의 제작", 한국정밀공학회지, 제31권, 제3호, pp.277-283, 2014. https://doi.org/10.7736/KSPE.2014.31.3.277
  9. 문호진, "3D 프린터를 이용한 관악기 출력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18권, pp.105-118, 2014.
  10. 최해운, 윤성철, 마재권, 방대욱, "3D 프린터를 이용한 마이크로 리액터 가공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18-222, 2014. https://doi.org/10.7735/ksmte.2014.23.3.218
  11. 오왕균, "FDM 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한 골반 골절 환자의 맞춤형 모델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370-37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370
  12. 김용환, "PLA (Poly Lactic Acid) 생산 기술 동향", 한국생물공학회, 제18권, 제2호, pp.13-15, 2011.
  13. 성열훈,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한 무릎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 평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1권, 제5호, pp.319-324, 2013.
  14. 안동규, 양동열, "쾌속제품개발(RPD)을 위한 쾌속조형기술의 최근 동향", 한국정밀공학회지, 제17권, 제10호, pp.5-10, 2000.
  15. 안동규, "3D Printing 기술의 금형산업분야 응용", 대한기계학회, 제54권, 제4호, pp.46-51, 2014.
  16. 손홍문, 이준영, 하상호, 유재원, 이상홍, 안동규, "쾌속조형공정 지원 정형외가 골절 수술 - 증례보고",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39권, 제7호, pp.845-848, 2004.
  17. M. Goto, T. Katsuki, H. Noguchi, and N. Hino, "Surgical simulation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bone defects using photocurable plastic skull models: Report of three cases," Vol.55, No.7, pp.772-780, 1997. https://doi.org/10.1016/S0278-2391(97)90597-8
  18. 오왕균, 임기선, 이태수, "CT 영상을 이용한 3D 프린팅으로 환자 맞춤형 대퇴골 첨삭가공", 한국방사선학회, 제7권, 제5호, pp.359-364, 2013. https://doi.org/10.7742/jksr.2013.7.5.359
  19.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광학세계, 제152권, pp.48-65, 2014.

Cited by

  1. Making Aids of Magnetic Resonacnce Image Susing 3D Printing Technology vol.10, pp.6, 2016, https://doi.org/10.7742/jksr.2016.10.6.403
  2. A Systematic Review of Manufacturing Method for Splint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vol.26, pp.2, 2018, https://doi.org/10.14519/jksot.2018.26.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