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Breastfeeding Infants and Non-Breastfeeding Infants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모유수유 영아와 비모유수유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이유미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01.02
  • Accepted : 2015.02.07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impact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3-month-old, breastfeeding and non-breastfeeding infa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based on the K-ASQ scale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533 3-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in the Seoul and Kyeong-gi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eastfeeding mothers felt less child-rearing stress than their non-breastfeeding counterparts, especially in parent-role stress. Second, breastfeeding infants exhibited a better personal sociality than non-breastfeeding infants. Third, it was found that mothers' child-rearing stress had an impact on all aspects of infant development in breastfeeding infants, and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al skills, having an impact of 12.4%. However, in non-breastfeeding infants, mothers' child-rearing stress had an impact only on communication and personal sociality development and exhibited a nonsignificant impact on other aspects. Lastly, it was found that mothers' parent-role stress, out of all aspects of child-rearing stress, was the main factor of negative impact on infant development in both breastfeeding and non-breastfeeding inf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ave suggested family-level and society-level support measures to reduce mothers' parent-role stress and promote breastfeeding.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모유수유 영아와 비모유수유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3개월의 영아 533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K-ASQ에 의한 영아발달 측정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유수유 어머니가 비모유수유 어머니에 비해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낮았고, 특히 부모역할 스트레스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유수유 영아가 비모유수유 영아에 비해 개인-사회성 발달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모유수유 영아의 모든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의사소통 발달에는 총 12.4%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모유수유 영아의 발달에는 의사소통과 개인-사회성 발달에만 영향을 미치며 그 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에서도 부모역할 스트레스는 모유수유 영아와 비모유수유 영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유수유 실천과 어머니의 부모역할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가족과 사회의 지원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한나, 박혜원 (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613-622. https://doi.org/10.6115/fer.2013.51.6.613
  2. 권경숙 (2008). 영아 인사행동의 특성 및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28(2), 143-168.
  3. 권인수, 이수연, 백경선, 양영옥, 이지원, 정향미 등 (2006). 모유수유아의 성장발달 상태와 어머니의 양육경험. 아동간호학회지, 12(4), 495-505.
  4. 권인수, 최소영, 강영실, 양영옥 (2008). 모유수유모의 모유수유 임파워먼트과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의 관계. 여성간호학회지, 14(1), 20-27.
  5.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6(3), 143-160.
  6. 김기남, 현태선, 강남미( 2002).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성들의 수유양상 기초조사 : 수유관련 지식 수준 및 모유수유율.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3), 345-353.
  7. 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 (2010).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31(5), 101-113.
  8.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9. 김미예, 장군자 (2009) 모유수유모와 분유수유모의 모아 애착 및 영아기질.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1), 107-115.
  10. 김선희 (2010).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0(2), 225-235.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25
  11. 김수연 (2010). 아버지의 영아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4, 110-153.
  12. 김수정, 곽금주 (2010). 영아기 어머니의 신체접촉에 대한 고찰: 국내.외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289-313.
  13. 김수진 (2002). 영아기 어머니의 수유방법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승권, 김유경, 김혜련, 박종서, 손창균, 최영준 등 (2012).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5. 김유미 (2009). 뇌를 알면 아이가 보인다: 행복한 육아를 위한 우리 아이 두뇌 들여다보기. 도서출판 해나무.
  16. 김융희 (2006). 모유수유를 중심으로 한 '어머니 되어가기'의 심리적 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5(6), 279-298.
  18. 김혜라, 김진경 (2012). 아동의 발달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 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53-67.
  19. 문혁준 (2001).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05-219.
  20. 민현숙, 문영경 (2013).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 22(1), 43-56. https://doi.org/10.5934/KJHE.2013.22.1.43
  21. 박낭자, 강숙현, 박경희, 백미열, 성정숙, 오채선 등 (2007). 아동발달. 정민사.
  22. 박수연(2013). 영아와 부모의 특성 및 육아유형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월령단계 별 종단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23. 박정희, 장영애(2004).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지, 8(2), 327-353.
  24. 백영숙 (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삼성출판사 편 (2009). 임신출산육아 대백과. 서울: 삼성출판사.
  26.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27. 성현란, 이현진, 김혜리, 박영신, 유연옥, 손영숙 (2011). 인지발달. 서울: 학지사.
  28. 손수민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9. 송연숙, 김영주 (2008).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81-203.
  30. 신현정 (2006). 모유수유체험의 의미 탐색. 교육인류학연구, 9(2), 87-115.
  31. 안재진 (2011). 부의 양육참여가 출산 후 초기 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 부부관계의 질을 매개로. 한국아동복지학, 35, 127-159.
  32. 안지연 (1999). 아동의 정서능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략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미간행).
  33. 양미선, 김양은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34. 오정순 (2012).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2(2), 51-65.
  35. 이경선 (201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타일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7-145.
  36. 이경하, 서소정 (2009).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3), 87-102.
  37. 이선옥, 정은순, 안숙희, 문길남, 박남희 (2003). 모유수유실천 예측요인. 아동간호학회지, 9(4), 368-375.
  38. 이유미, 김진숙, 박진옥, 안지혜, 윤은영, 정영희 등 (2014). 영아발달. 서울: 동문사.
  39. 이유미, 이정은 (2014). 어머니의 기질, 양육스트레스, 배우자의 지지가 3개월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6, 259-281.
  40. 이유진, 박경 (2005).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심리치료, 5(2), 39-57.
  41. 이주영 (2012). 유아의 어머니의 기질 프로파일과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련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31(3), 801-822.
  42. 이화자, 김영혜, 조영란 (2005). 모유수유 영아모의 애착 지향적 양육행동 및 관련요인-모유수유아 선발대회 참가자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11(2), 185-195.
  43. 임명희, 박윤조 (2011).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영아특성 변인, 어머니 특성 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4), 57-82.
  44. 임현주, 이대균 (2013). 영아의 기질과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25-144.
  45. 장군자, 김미예, 서순림, 신영희, 정귀애, 이인혜 등 (2008). 대구지역 '2005년 건강한 모유수유아 선발대회' 참가 대상자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 (1), 71-78.
  46.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애착안정성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민감성이 12개월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6), 335-352.
  47. 정미라, 이정은, 박혜성 (2013). 출생조건과 일상생활습관에 따른 12개월 영아의 신체발육과 발달. 한국영유아보육학, 81, 25-47.
  48. 정옥분 (2010). 영아발달. 서울:학지사.
  49. 최정미, 우희정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 회지, 13(3), 361-369.
  50. 한유미, 조경자, 강기숙 (2012).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어린이문화교육연구, 13(3), 441-457.
  51. 허계형 (2006). 영유아의 장애 조기발견을 위한 발달선별도구 K-ASQ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의 적용. 총신대논총, 26, 478-500.
  52. Abidin, R. P. (1992). Parent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irginia: Pediatric Press.
  53.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r situation. Hillsdale, NJ: Erlbaum.
  54. Casey, B. J., Tottenham, N., Liston, C., & Durston, S. (2005). Imaging the developing brain: What have we learned about cognitive development?.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3), 104-110. https://doi.org/10.1016/j.tics.2005.01.011
  55. Evans, G. R., Boxhill, L., & Pinkva, M. (2008). Povert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The role of maternal stress and social re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2(3), 232-237. https://doi.org/10.1177/0165025408089272
  56. Huth-Bocks, A. C., & Hughes, H. M. (2008).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amilies experienc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23(4), 243-251. https://doi.org/10.1007/s10896-007-9148-1
  57. Jensen, E. (2010). Introduction to brain-compatible learning, 뇌 기반 교육의 원리(정종진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58. Memisevic, H., & Hadzic, S. (2013). Development of fine motor coordination and visual-motor intergration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14(1-2), 45-53.
  59. Wong, D. L., Hockenberry, M. J., Wilson, D., Winkelstein, B. A., & Kline, L. E. (2003).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St. Louis: Mosby.

Cited by

  1. Association of Parenting Stresses,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Types of Feeding during Hospital Stays at Birth to Breastfeeding Adaptation vol.21, pp.4, 2015,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262